제목 [국가별동향] 식품분야_러시아 채소 종자 시장, 꾸준히 성장세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37
용량 37.7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동향] 식품분야_러시아 채소 종자 시장, 꾸준히 성장세.pdf 37.7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09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대부분 수입산에 의존

주요 수요 채소는 ‘보르시’ 수프 에 들어가는 감자, 비트, 양파, 당근 등

 

러시아 주요 수요 채소는 감자, 토마토, 비트 등 ‘보르시 세트’ 채소

 

러시아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채소는 러시아인들이 즐겨 먹는 비트 수프인 보르시에 들어가는 이른바 '보르시 세트' 채소인 감자, 토마토, 양배추, 비트, 당근 등이다. 러시아 농업부에 따르면 올해 '보르시 세트' 채소 수확량이 증가해 감자 생산량은 최소 680만 톤(2021년 생산량은 660만 톤), 노지 재배 채소는 520만 톤(2021년 생산량은 510만 톤)으로 예측된다. 이같은 생산량은 가공식품용까지 포함해 러시아 국내 수요를 충분히 충족할 만한 양이다. 러시아의 채소 수요에 따른 채소 종자(HS Code 120991)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전체 종자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약 14억 달러로 추산돼 유럽 최대 종자시장 중의 하나로 꼽힌다.

 

한편, 러시아는 최근 지정학적 긴장 상황에 따른 물류 제한, 환율 변동 등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파종 시기가 예년보다 늦어지고 다수의 업계 종사자와 생산자들이 지난해 말에서 2022년 2월 중순 사이에 필요한 종자를 이미 구입해 두었기 때문에 올해는 종자 수급에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한다. 러시아 ‘전국 육종가 및 종자 재배 종사자연합(National Union of Breeders and Seed Growers, NSSiS)’의 대표이사 아나톨리 미힐레프(Anatoly Mikhilev) 씨는 “올해 봄 파종 시기에 종자 공급 관련해서는 별 문제가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내년에 수확해야 할 수입 종자의 수급이 어떻게 될지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 밖에도 러시아 농업 재배 종사자들이 온실 용량의 부족, 유통센터와 보관시설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보르시 수프와 ‘보르시 세트’ 야채 >

 

     [자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러시아의 채소종자시장 현재는 수입산 종자가 주를 이뤄

 

2021년 러시아 채소 종자(HS Code 120991) 시장에서 수입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품종에 따라 20%에서 90%까지 다양하다. 러시아 고등경제대학(Higher School of Economics) 기술 이전센터가 2020년에 시행한 “Breeding 2.0” 연구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러시아 시장에서 수입산 종자의 비중이 크게 증가해 옥수수 종자의 수입 비중은 37%에서 58%로 해바라기 종자는 53%에서 73%, 사탕무는 50%에서 98%로 증가했다. 러시아 농업분야에서 온실재배산업은 역동적으로 성장하고 분야로 이 분야 종자의 수입 의존도는 거의 100%에 달한다. 러시아산 종자가 수입 종자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는 유일한 분야는 밀로 전체 밀 종자 시장에서 차지하는 러시아 종자의 비중은 97%이다.

 

한편,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승인한 러시아 연방 식량안보 독트린(Doctrine of Food Security of the Russian Federation)에 따르면 러시아는 2030년까지 국내에서 파종하는 종자의 75%를 러시아산 종자로 채울 계획이며, 이를 위해서는 10년 내지 15년간 국가 지원과 기술 및 생산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2020년 팬데믹 시기에 공급이 감소했던 많은 다른 산업들과 달리 러시아의 채소 종자 수입량은 2019년에 비해 상당히 증가했다. 나아가 2022년 제재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7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분야_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 발표 1도토리 정한솔
47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 IRA EV 인센티브 도입 3도토리 정한솔
470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분야_270만호 인허가 정책 발표 1도토리 정한솔
47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모비스가 쏘아올린 지배구조 개편 이슈 1도토리 정한솔
470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하이트진로_2Q22 분석, 시장 눈높이 상회 3도토리 노민우
470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헥토이노베이션_분기 최고 매출 달성하며 안정적 실적 성장 3도토리 노민우
4705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한국콜마_국내와 HK이노엔 호실적 3도토리 노민우
470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헥토파이낸셜_시장 기대치 하회했으나 매출 성장 지속 3도토리 노민우
470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G_2Q22 분석, 가치 반영 필요 3도토리 노민우
470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금호건설_2Q22 분석 1도토리 노민우
470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엔씨소프트_유일하게 기댈 곳은 리니지M뿐 1도토리 국준아
470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넷마블_반복되는 어닝쇼크 3도토리 국준아
469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덕산테코피아_반도체 부문은 안정적 성장 지속 1도토리 국준아
469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리노공업_2Q22 분석, OPM 기대치 상회 3도토리 국준아
4697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한국콜마_2Q22 분석 1도토리 국준아
469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두산퓨얼셀_CHPS 시행 수혜로 성장성 가시화 3도토리 국준아
469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범한퓨얼셀_잠수함 및 충전소 등 수소로 성장 3도토리 국준아
469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성광벤드_수주증가로 실적개선 지속 1도토리 국준아
469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씨에스베어링_내년부터 매출 성장성 가속화 3도토리 이지훈
469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코스모화학_폐배터리 사업 등 성장성 가속화 3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