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 탄소분야_멕시코, 탄소배출 감축에 관심 높아지다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40
용량 1.07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동향] 탄소분야_멕시코, 탄소배출 감축에 관심 높아지다.pdf 1.0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10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기후변화 10대 행동계획 발표하며 탄소배출 감축에 관심 높여

정부 기금 조성 노력 열심, 민간 친환경 움직임 포착

재활용, 에너지 플랜트 시공 등 한국이 선두적인 분야에 진출 기회 모색 필요

 

온실가스 배출 상위국이었던 멕시코가 탄소배출 감축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멕시코 정부는 관련 계획 및 기금을 마련 중이며 민간에서도 친환경 움직임이 포착돼 우리 기업의 시장진출 기회 모색이 중요한 시점이다.

 

배경

 

멕시코는 최근 20년간 UN 온실가스 배출 상위국 11~13위의 순위를 유지하는 등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국 중 하나이다. 국가별 탄소배출량을 집계하는 글로벌 카본 아틀라스(Global Carbon Atlas)에 따르면, 멕시코는 2020년에 총 3억5700만 톤의 온실가스, 1인당 기준으로는 2.6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하였다. 이는 전 세계 탄소배출량 16위, 1인당 탄소배출량 73위로 동 분야에서 9위, 19위를 차지한 한국에 비해서는 배출량이 적으나 등록되지 않아 집계되지 않은 산업들을 고려한다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멕시코의 주요 탄소 배출원은 석유산업, 가스, 시멘트, 석탄 순으로 특히 석유 산업 부문 탄소 배출량은 전 세계 11위이다.

 

<2020년 국가별 온실가스 배출량>

(단위: 백만 톤(Mt))

[자료: Global Carbon Atlas]

 

탄소 감축 관련 멕시코 정부의 행보

 

멕시코 정부는 파리협약(2015 Paris Convention) 및 제25차, 26차 COP(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등에서 국제사회의 탄소감축 노력에 동참할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탄소감축 관련 멕시코 정부의 행보>

파리협약(2015)

- 국가 온실감스 감축목표(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지지하며 2030년 배출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온실가스 배출 22% 감축을 선언

COP25(2019년 마드리드 총회)

- 적응 기금* 이사회 참여를 위한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그룹(GRULAC)의 지지 획득 및 글로벌 적응센터(Global Adaptation Center)와 전략적 제휴

- 캐나다와 자연기반 솔루션에 대한 협력 메커니즘 동반 출범

COP26(2021년 글래스고 총회)

- 글로벌 메탄 서약(Global Methane Pledge)에 참여함으로써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30% 감축하기로 약속

- 2040년까지 신규판매 차량의 제로 탄소 배출에 동의

주*: 적응기금: 개발도상국들이 급격한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고 기후변화로 입은 재해를 복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금

 

 

특히 최근에 열린 글래스고 총회에서 멕시코는 기후변화가 경제적 안정성을 위협한다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더 많은 자원을 동원하고 자금 조달 및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결의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7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분야_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 발표 1도토리 정한솔
47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 IRA EV 인센티브 도입 3도토리 정한솔
470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분야_270만호 인허가 정책 발표 1도토리 정한솔
47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모비스가 쏘아올린 지배구조 개편 이슈 1도토리 정한솔
470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하이트진로_2Q22 분석, 시장 눈높이 상회 3도토리 노민우
470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헥토이노베이션_분기 최고 매출 달성하며 안정적 실적 성장 3도토리 노민우
4705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한국콜마_국내와 HK이노엔 호실적 3도토리 노민우
470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헥토파이낸셜_시장 기대치 하회했으나 매출 성장 지속 3도토리 노민우
470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G_2Q22 분석, 가치 반영 필요 3도토리 노민우
470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금호건설_2Q22 분석 1도토리 노민우
470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엔씨소프트_유일하게 기댈 곳은 리니지M뿐 1도토리 국준아
470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넷마블_반복되는 어닝쇼크 3도토리 국준아
469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덕산테코피아_반도체 부문은 안정적 성장 지속 1도토리 국준아
469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리노공업_2Q22 분석, OPM 기대치 상회 3도토리 국준아
4697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한국콜마_2Q22 분석 1도토리 국준아
469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두산퓨얼셀_CHPS 시행 수혜로 성장성 가시화 3도토리 국준아
469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범한퓨얼셀_잠수함 및 충전소 등 수소로 성장 3도토리 국준아
469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성광벤드_수주증가로 실적개선 지속 1도토리 국준아
469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씨에스베어링_내년부터 매출 성장성 가속화 3도토리 이지훈
469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코스모화학_폐배터리 사업 등 성장성 가속화 3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