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 의료기기분야_대만 의료기기 시장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42
용량 51.6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동향] 의료기기분야_대만 의료기기 시장동향.pdf 51.6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10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해외의존도가 높은 대만 의료기기 시장, 첨단의료기기 위주로 수입

한국으로부터의 수술용 의료기기 수입, 3년간 성장세 지속

 

 

상품명 및 HS코드

 

제9018호의 기타 의료용 기기(HS CODE 9018.90.80907)

 

 

시장규모 및 동향

 

대만의 의료기기 판매액은 2019년 700억 대만달러를 돌파한 이후 증가세를 이어가며 2021년에는 777억8500만 대만달러(약 26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대비 2.8% 증가한 수치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병원 진료 및 수술 건수가 감소하면서 전반적인 의료기기 수요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방역제품 관련 수요가 2021년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2021년 5월 이후 대만 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자가진단키트 사용량의 증가가 판매액 증가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일 것으로 분석된다.

  

<대만 의료기기 판매액>

(단위: 백만 대만달러)

주*: 해당 통계는 대만 생산에 대한 판매액을 수치화한 것으로 수입액은 포함되어 있지 않음.

[자료: 경제부 통계처]

 

대만 의료기기시장은 크게 의료용 화학제품, 의료설비, 렌즈, 기타 의료기기 및 용품으로 나눌 수 있다. 제품별 판매액 중 가장 비중이 큰 제품은 ‘렌즈’이다. 2021년 기준 렌즈 판매액은 약 323억 대만달러(약 11억 달러)이며 의료기기 전체 판매액의 41.5%를 차지했다. 이는 대만 인구의 약 50%(1,150만 명)가 근시를 가지고 있어 시력교정을 위한 렌즈제품 수요가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한 보호안경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렌즈제품 수요 일부를 견인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렌즈제품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타 의료기기 및 용품’은 병상침대, 인공관절, 수술도구, 보조기구 및 기타 비전자 의료기기와 용품을 일컫는다. 2021년 기준 판매액은 232억 대만달러(약 8억 달러)로 전체 판매액의 29.8%를 차지했다. 

 

‘의료용 화학제품’의 판매액은 2021년 기준 134억 대만달러(약 4억 달러)로 전년대비 6.4% 증가하였으며, 판매 비중은 최근 3년동안 가장 높은 비율인 17.1%를 차지하였다. 의료용 화학제품에는 각종 진단기기 및 드레싱, 약품처리된 거즈 등이 포함되는데, 이중에서도 코로나19로 인한 PCR검사 및 자가진단키트 등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수요 급증이 판매액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의료기기 판매액 중 가장 작은 비중을 차지하는 ‘의료설비’에는 혈압기, 혈당계, 방사선 및 전자 의료기기와 관련 용품이 포함된다. 2021년 기준 해당 분류 의료기기 판매액은 89억 대만달러(약 3억 달러)로, 전년대비 13.2% 감소하였다. 판매 감소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하여 급격히 증가한 전자온도계 및 호흡기 치료기기의 구매가 2021년 들어 감소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만 의료기기 시장은 거즈 혹은 장갑과 같은 수술용 소모품, 의료보조기구, 수술기구 등 부가가치가 낮은 제품들의 생산 비중이 컸으나, 대만의 ICT 기술을 융합한 의료기기 개발, 인구 고령화에 따른 재택의료 및 비대면의료 시스템의 발전, 국가 차원의 첨단의료기기 연구개발 지원 등과 같은 요소에 힘입어 향후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7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분야_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 발표 1도토리 정한솔
47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 IRA EV 인센티브 도입 3도토리 정한솔
470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분야_270만호 인허가 정책 발표 1도토리 정한솔
47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모비스가 쏘아올린 지배구조 개편 이슈 1도토리 정한솔
470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하이트진로_2Q22 분석, 시장 눈높이 상회 3도토리 노민우
470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헥토이노베이션_분기 최고 매출 달성하며 안정적 실적 성장 3도토리 노민우
4705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한국콜마_국내와 HK이노엔 호실적 3도토리 노민우
470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헥토파이낸셜_시장 기대치 하회했으나 매출 성장 지속 3도토리 노민우
470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G_2Q22 분석, 가치 반영 필요 3도토리 노민우
470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금호건설_2Q22 분석 1도토리 노민우
470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엔씨소프트_유일하게 기댈 곳은 리니지M뿐 1도토리 국준아
470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넷마블_반복되는 어닝쇼크 3도토리 국준아
469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덕산테코피아_반도체 부문은 안정적 성장 지속 1도토리 국준아
469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리노공업_2Q22 분석, OPM 기대치 상회 3도토리 국준아
4697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한국콜마_2Q22 분석 1도토리 국준아
469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두산퓨얼셀_CHPS 시행 수혜로 성장성 가시화 3도토리 국준아
469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범한퓨얼셀_잠수함 및 충전소 등 수소로 성장 3도토리 국준아
469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성광벤드_수주증가로 실적개선 지속 1도토리 국준아
469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씨에스베어링_내년부터 매출 성장성 가속화 3도토리 이지훈
469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코스모화학_폐배터리 사업 등 성장성 가속화 3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