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 눈(雪)을 찾는 중국 소비자들 : 중국 겨울스포츠 산업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34
용량 30.1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동향] 눈(雪)을 찾는 중국 소비자들_중국 겨울스포츠 산업현황.pdf 30.1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11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동계올림픽 계기로 겨울스포츠에 관심 크게 증가해

개요

 

눈과 겨울을 자원 및 테마로 하는 겨울산업은 겨울스포츠와 여행관광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겨울스포츠는 눈·얼음 위에서 진행하는 각종 체육활동을 포함하고, 겨울스포츠를 즐기기 위해 필요한 각종 장비, 공간, 기자재, 부품 등 산업으로까지 파생된다.

 

중국 입장에서 겨울산업은 신흥산업 중 하나이다. 겨울스포츠 강국 대비 중국의 겨울스포츠에 대한 투자와 발전은 상대적으로 늦게 이뤄지며 소수만이 관심을 갖는 것으로 분류됐다. 그러나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 확정을 계기로 중국 정부는 겨울스포츠 산업 육성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고, 그와 관련된 파생산업의 육성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특히 겨울스포츠를 즐기는 인구의 증가에 따라 겨울여행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며 여행관광 산업도 탄력을 받고 있다.

 

겨울스포츠 발전 동향

 

중국 CCTV의 통계에 따르면, 2016년부터 인터넷에서 스키나 스케이트 등 겨울스포츠 관련 내용을 검색하는 빈도가 증가했다. 2020년을 제외하면 실제로 겨울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특히 스키를 즐기는 소비자는 2014년 대비 2019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또한 중국정부는 2025년까지 중국내 겨울스포츠를 직접 즐기는 인구는 5천만 명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iiMedia의 “2022년 중국 겨울스포츠 산업발전 추세보고(2022年中国冰雪运动行业发展趋势报告)”에 따르면, 2016년 중국 겨울스포츠 산업의 시장규모는 350억 위안 규모에 불과했으나, 코로나19가 발발한 2020년 제외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며 2021년에는 약 600억 위안 규모까지 성장했다. 향후 성장세는 더욱 가팔라지며, 2025년까지 연평균성장률 20.3%를 기록하며 시장규모는 120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됐다.

 

< 중국 겨울스포츠산업 시장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4345ce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8pixel, 세로 350pixel

[자료: iiMedia]

 

겨울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문턱이 대폭 낮아지면서 소비자가 전국적으로 크게 증가했고, 인기종목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중국국가체육총국에서 발간한 통계조사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징 동계올림픽 유치 성공 이후, 겨울스포츠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한 인구는 3.5억 명으로 전체 인구의 24.6%에 달했다. 이 중 18~30세의 젊은 인구층이 8천만 명, 3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겨울스포츠는 특수조건으로 인해 동북 3성이나 신장, 베이징, 허베이 등 북쪽 지역 소비자들만 즐기는 경우가 많았으나, 설비와 각종 기술의 발전으로 4계절과 무관하게 언제 어디서든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눈이 거의 오지 않는 남쪽 지역에서도 겨울스포츠를 즐긴 인구는 2020년 기준 1억6천만 명에 달했다는 사실이 이를 방증해주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산업과 기업들도 빠르게 발전하며, 최근 수년간 관련기업의 수는 매우 가파르게 증가했다. 기업정보를 제공하는 치차차(企查查)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중국 내 스키 관련 기업 수는 약 6,700개사로 전년대비 61% 증가했다.

 

또한 국가체육총국에 따르면, 2021년 초 기준 전국 29개 성시에 654개의 표준 아이스링크와 803개의 실내외 스키장이 있다. 흔히 중국에 31개 성시가 있다고 하는데, 대부분의 지역에 아이스링크와 스키장이 있는 셈이다. 전체적인 산업규모는 외국 대비 상대적으로 작지만 수요에 따라 관련 시설의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실내스키장만 해도 2020년 기준 36개로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7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분야_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 발표 1도토리 정한솔
47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 IRA EV 인센티브 도입 3도토리 정한솔
470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분야_270만호 인허가 정책 발표 1도토리 정한솔
47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모비스가 쏘아올린 지배구조 개편 이슈 1도토리 정한솔
470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하이트진로_2Q22 분석, 시장 눈높이 상회 3도토리 노민우
470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헥토이노베이션_분기 최고 매출 달성하며 안정적 실적 성장 3도토리 노민우
4705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한국콜마_국내와 HK이노엔 호실적 3도토리 노민우
470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헥토파이낸셜_시장 기대치 하회했으나 매출 성장 지속 3도토리 노민우
470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G_2Q22 분석, 가치 반영 필요 3도토리 노민우
470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금호건설_2Q22 분석 1도토리 노민우
470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엔씨소프트_유일하게 기댈 곳은 리니지M뿐 1도토리 국준아
470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넷마블_반복되는 어닝쇼크 3도토리 국준아
469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덕산테코피아_반도체 부문은 안정적 성장 지속 1도토리 국준아
469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리노공업_2Q22 분석, OPM 기대치 상회 3도토리 국준아
4697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한국콜마_2Q22 분석 1도토리 국준아
469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두산퓨얼셀_CHPS 시행 수혜로 성장성 가시화 3도토리 국준아
469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범한퓨얼셀_잠수함 및 충전소 등 수소로 성장 3도토리 국준아
469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성광벤드_수주증가로 실적개선 지속 1도토리 국준아
469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씨에스베어링_내년부터 매출 성장성 가속화 3도토리 이지훈
469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코스모화학_폐배터리 사업 등 성장성 가속화 3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