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 화학분야_코트디부아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시장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39
용량 25.2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코트디부아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시장 동향.pdf 25.2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05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코트디부아르 플라스틱 부문에 500개사가 종사하며 연간 4.3억 달러 규모임

한국은 코트디부아르 폴리프로필렌(2위) 및 폴리에틸렌 (5위)의 주요 수출국임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 및 플라스틱 재활용 부문 기회 포착해야

플라스틱은 폴리머를 주원료로 하는 광범위한 합성 또는 반합성 소재다. 플라스틱의 가소성은 플라스틱을 다양한 모양의 고체 물체로 형성, 압출 또는 압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플라스틱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재료로 쓰인다.

 

UNCTAD에 따르면 전 세계 플라스틱 무역은 1조 달러에 달하며 전 세계 상품 무역의 5%를 차지한다. 전 세계 플라스틱 산업은 환경오염원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번성하고 있다.

 

코트디부아르에서도 플라스틱 산업은 매우 중요하며 약 500개사가 동산업에 종사한다. 코트디부아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 재질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다.

 

코트디부아르 플라스틱 시장 동향

 

코트디부아르에서 플라스틱 부문은 연간 매출이 2,750억 세파(4.3억 달러)에 달하며 500개의 회사가 약 2만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코트디부아르 플라스틱 시장은 본질적으로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의 수입,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 및 유통을 기반으로 한다.

 

코트디부아르에서는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과 같은 원자재 수입에 90% 이상 의존한다.

 

생산되는 제품은 여타 산업을 위한 플라스틱 반제품 및 포장재가 대부분이다. 플라스틱 포장재는 현지 플라스틱 생산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약 950억 세파(1.48억 달러) 규모를 생산한다.

 

현지 플라스틱 시장을 지배하는 기업들은 IPLAST, FILIVOIRE, COTIPLAST, PLASTICA, FILTISAC, SOTICI 등이다.

 

Iplast는 주로 아시아에서 수입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과립으로 플라스틱 반제품, 프리폼을 주로 제조하며 연간 20억 개의 반제품을 생산하고 80억 세파(1,250만 달러)의 매출을 자랑한다.

 

Filivoire는 농식품 산업을 위한 약 4,500만 개의 폴리프로필렌 기반 플라스틱 봉지를 제조한다. 연간 매출이 120억 달러이며 생산량의 약 70%를 주변 나라들로 수출한다.

 

SOTICI는 5000m2 규모의 공장에서 연간 약 1만톤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튜브를 생산하며 5,700만 달러의 매출과 75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코트디부아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수입 동향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수입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21년에 2020년 대비 각각 32.15% 및 25.28%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코트디부아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수입 동향 (2019~2021)>

 

품목

USD$

%

(2021/2020)

2019

2020

2021

폴리에틸렌(PE)

159,023,451

152,896,571

202,052,129

32.15

폴리프로피렌 (PP)

72,884,846

74,116,300

92,854,351

25.28

 

[자료: GTA (Global Trade Atlas)]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6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자동차분야_독일 차량방향등, 지시등 동향 1도토리 장민환
463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제지분야_호주의 종이 및 관련 상품 시장 동향 1도토리 장민환
46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기계분야_스리랑카 전력 공급 차질로 발전기에 대한 수요 증가 1도토리 장민환
46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완구분야_2022 인도 완구산업 동향 3도토리 장민환
462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의료분야_부상하는 인도의 재택의료 시장 1도토리 장민환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화학분야_코트디부아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시장 동향 1도토리 장민환
462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화장품분야_모로코 화장품 시장 성장잠재력 높아 1도토리 장민환
46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항공분야_미국 항공기 시장동향 1도토리 장민환
46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기후분야_카타르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현황 1도토리 장민환
46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자동차분야_2022년 파키스탄 자동차 산업 정보 1도토리 장민환
46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화학분야_러시아의 폴리에틸렌 시장동향 1도토리 장민환
46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기계분야_인도 광섬유 테스트 장치 시장동향 1도토리 장민환
46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소부장분야_러시아 물류 창고 및 지게차 시장 동향 1도토리 장민환
46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자동차분야_러시아 차량 엔진오일 시장 현황 1도토리 장민환
46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제조분야_섬서성 장비 제조업 현황 및 발전 방향 1도토리 장민환
46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기계분야_일본 에어컨 시장 동향 1도토리 장민환
46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지식분야_2022 미국 지식재산 전략 세미나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6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투자분야_수단의 향후 투자 진출에 관한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46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m&a분야_멕시코 M&A 시장 동향 및 제언 1도토리 노민우
46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스마트분야_호주 물류, 스마트 시스템 도입이 해답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