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 소부장분야_중국 리튬코발트 산화물 시장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52
용량 43.5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중국 리튬코발트 산화물 시장동향.pdf 43.5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02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중국의 리튬코발트 산화물 생산량은 전 세계 시장의 약 85% 차지

중국은 한국의 최대 고전압 리튬코발트 산화물 수입국

신흥소비전자제품, 리튬코발트 산화물에 새로운 수요증가 기회 제공

제품명 및 HS코드

HS 코드

한글 명칭

영문 명칭

284190

기타산화금속산염 및 과산화금속산염

Salts of oxometallic or peroxometallic acids

[자료: ITC]

 

시장 현황

 

리튬코발트 산화물은 리튬 이온 배터리의 양극재 재료로 사용되는 무기 화합물(화학식 LiCoO2)이다. 양극재는 배터리의 전기화학 반응에 필요한 활성 리튬 이온을 제공하며, 이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가장 중요한 원료이다. 리튬 이온 전지의 원가 중 양극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으며, 전체 원가의 3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리튬 전지의 양극재 재료는 주로 리튬코발트 산화물, 리튬망간 산화물, 리튬 인산철 및 니켈·코발트·망간(NCM) 4가지 종류가 포함되어 있다. 그 중 리튬코발트 산화물은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방전 전압 및 장기간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현재는 상용화되어 전자기기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화학물질이다.

 

리튬코발트 산화물 양극재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조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산업체인이 기타 화학 제품 대비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다. 리튬 코발트산화물 양극재 산업체인은 ‘산화코발트 생산기업 - 리튬 공급기업 - 리튬 코발트 산화물 양극재 제조기업 - 배터리 생산기업 - 소비자 구매용 전자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튬코발트 산화물 양극재 산업 사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3b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7pixel, 세로 178pixel

[자료: 리띠엔슈지에]

 

2003년 이전의 중국 리튬코발트 산화물 시장은 외국기업이 독점했지만, 그 이후 자체 리튬코발트 산화물 양극재 제품 생산 등 중국기업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중국 최대 리튬코발트 산화물 생산기업인 샤우신넝(厦钨新能)은 2021년 기준 중국 시장의 약 50%를 점유하고 있다. 현재 중국 및 외국기업이 중국 내에서 생산하는 리튬코발트 산화물 생산량은 세계 시장의 85% 차지하고 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 리튬코발트 산화물 생산량의 연간 성장률은 20% 이상이며, 2021년에는 5G 기술 상용화와 온라인 교육 보급을 계기로 중국의 리튬코발트 산화물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31.1% 증가하였다.

 

<2016~2021년 중국 리튬코발트 산화물 양극재 생산량 및 성장률>

[자료: 화징산업연구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6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반독점분야_ 반독점법 관련 주의가 필요한 중국의 기업결합 신고제도 1도토리 노민우
46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무역분야_2022년 상반기 對알제리 교역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60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분야_한층 강화된 화장품 원료 관리, 철저한 사전준비 필요 1도토리 노민우
460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무역분야_알제리 수입시장, 하반기 규제 완화 소식 1도토리 노민우
46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기계분야_2022 중국동북국제치과기자재전시회 현장 스케치 1도토리 노민우
46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스마트분야_2022 인도네시아 동부자바 스마트시티 설명회 1도토리 노민우
460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스마트분야_중국 스마트 컨벤션 발전으로 보는 서부 내륙 진출 기회 1도토리 노민우
460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물류분야_증국의 물류중심 후베이성에 아시아 최초 화물 전용 공항, 어저우 화후공항(EHU) 정식 오픈 1도토리 노민우
46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탄소중립분야_ 日 특허청, 탄소중립기술 구분표(GXTI) 수립 1도토리 노민우
46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자동차분야_독일 연방정부 전기차 보조금 삭감안 발표, 무엇이 달라지나? 1도토리 노민우
460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모빌리티분야_고유가 시대,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에 관심 집중 1도토리 정한솔
460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섬유분야_러시아 PVC 방직용 직물 시장 동향 1도토리 정한솔
459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섬유분야_러시아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시장 동향 1도토리 정한솔
459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가구분야_중국 자세교정 의자·의자방석 시장동향 1도토리 정한솔
459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이커머스분야_일본의 넷 슈퍼(온라인 슈퍼) 특징은? 1도토리 정한솔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소부장분야_중국 리튬코발트 산화물 시장동향 1도토리 정한솔
459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기계분야_중국 초고속 블렌더 시장동향 1도토리 정한솔
459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소부장분야_우즈베키스탄 윤활유제품 시장동향 1도토리 정한솔
459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반도체분야_카자흐스탄 SSD 시장 동향 1도토리 정한솔
459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자동차분야_극동러시아, 중고자동차 판매 증가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