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 뷰티분야_미얀마 미용기기 시장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46
용량 40.7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미얀마 미용기기 시장동향.pdf 40.7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02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미용기기로 확대되는 미얀마의 뷰티 트렌드

-복잡한 수입 절차는 시장 확대의 걸림돌로 남아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 미용기기

HS Code : 8543.70

 

시장규모 및 동향

 

미얀마인들은 오래전부터 미용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전통 화장품 ‘따나카(Thanakhar)’는 2천년 전 베익따노(Beikthano) 왕국의 왕비와 기원 후 5세기경 바고(Bago) 왕국의 공주가 사용했다는 기록이 석판에 남아 있을 만큼 오래됐다. 우리나라의 창포 물과 비슷한 전통 천연샴푸 ‘타요킨문(Tayaw Kinmun)’은 지금까지도 애용되고 있다. 이처럼 몸을 아름답게 가꾸는 것을 중시하는 미얀마의 전통문화 덕분에 2010년대 경제개방 이후 미용 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할 수 있었다. 특히 화장품은 소비자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데다 사용 빈도도 높은 품목이었기 때문에 제일 먼저 시장의 확대를 주도했다. 우리나라의 ‘K-Beauty’ 제품들도 우수한 품질과 브랜드 이미지를 앞세워 이렇게 급성장한 화장품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얀마의 미용 트렌드가 화장품 소비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뷰티 클리닉들도 인기를 끌며 미용기기의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불과 10년 전까지만 해도 주사나 레이저 치료에 거부감이 있었던 미얀마인들도 이제는 미용 목적의 시술에 큰 관심을 갖게 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도시에 거주하는 중산층 이상의 주민들은 피부관리에서부터 보톡스 주사, 지방 제거 시술 및 레이저 제모 시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뷰티 케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뷰티 클리닉도 수요에 맞춰 빠른 속도로 늘어나 현재 경제 수도인 양곤(Yangon)시에서 운영 중인 시설만 70개소가 넘는다. 이처럼 뷰티 클리닉의 수가 증가하고 제공하는 시술의 종류도 다양해졌기 때문에 시설에서 사용하는 고가의 미용기기 수요도 큰 폭으로 늘어났다.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소형 미용기기를 찾는 소비자들도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특히 마시지 기기나 보습기, 클렌징(Cleansing) 제품들은 미용전문 샵이나 클리닉을 방문할 필요 없이 집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인기를 끌고 있다.

 

이처럼 클리닉용 대형 장비와 가정용 미용기기 수요가 동시에 증가하고 가운데 조사기관들도 미얀마 미용기기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통계자료를 내놓고 있다. 인근국 인도의 시장조사업체인 Allied Market Research는 2019년 2억 7,230만 달러 정도였던 미얀마의 피부관리 제품 시장이 2027년에는 약 2배인 5억 160만 달러 규모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특히 2021년부터 2027년까지는 매년 꾸준히 8.6%의 시장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수입 동향

 

미용기기는 품질과 기술이 중요한 제품이기에 아직 제조업의 수준이 높지 못한 미얀마에서의 생산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미얀마의 미용기기 제조업체들도 자국에서의 직접 생산은 하지 못한 채 중국과 같이 제조업이 발달한 인근 국가에 OEM 방식으로 위탁 생산을 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미얀마의 미용기기 시장에서 수입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은 편이다.

 

이 때문에 늘어난 미용기기의 수요는 곧 수입의 증가로 이어졌다. 물론 코로나19로 미얀마의 대외교역이 위축되기 시작한 2020년과 국가 비상사태라는 정치적 불안 속에 경제위기가 본격화된 2021년에는 통계상 수입액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온다. Global Trade Atlas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가정용 미용기기(HS Code 8543.70)의 수입 규모는 약 6,896만 달러 수준이었으나, 2020년에는 2,453만 달러로 줄어들며 무려 64%의 감소폭을 기록했고 2021년에는 1,855만 달러까지 축소됐다. 우리나라 제품의 수입도 이 기간 동안 약 75%가량이 줄어들었다.

 

<국가별 가정용 미용기기 수입 현황>

(단위 : 미 달러)

순위

주요 수입국

2019년

2020년

2021년

증감률 (2021/20)

총계

68,963,779

24,531,158

18,553,056

-24.40

1

중국

53,197,643

9,687,104

8,306,418

-14.25

2

태국

7,103,962

8,090,085

6,565,389

-18.85

3

일본

660,943

262,882

1,337,908

408.94

4

싱가포르

3,455,141

1,152,578

504,207

-56.25

5

독일

160,840

490,497

95,646

-80.50

6

홍콩

221,397

81,794

82,676

1.08

7

말레이시아

90,287

448,873

63,073

-85.95

8

대한민국

208,055

233,675

60,168

-74.25

9

러시아

1,889,874

1,864,415

5,216

-99.72

10

대만

79,657

277,492

2,991

-98.92

[자료: Global Trade Atlas]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65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전기차분야_튀르키예 전기차 기술 로드맵 1도토리 이지훈
465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에너지분야_풍력, 고정가격입찰제 도입 국내 시장 활성화 3도토리 이지훈
464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7월 전국공항 수송실적 3도토리 이지훈
464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방산분야_방산 수출국가 TOP5 로 도약할 결심 5도토리 이지훈
46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분야_배터리 리사이클링 9도토리 이지훈
46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에너지분야_풍력, 긍정론으로 돌아선 터빈 회사들 1도토리 이지훈
464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전기전자분야_갤럭시 언팩 행사 후기 1도토리 이지훈
46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IT분야_대만 7월 IT 매출 동향 3도토리 이지훈
4643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건설/건자재 분야_ 건설업종 전망과 투자전략 3도토리 이지훈
46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필수에너지 태양광 9도토리 이지훈
46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자동차분야_튀르키예 브레이크 패드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464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소부장분야_그리스, 안경용 렌즈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46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기계분야_미국 사출 성형기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463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자재분야_브라질 포장재 시장분석 3도토리 강정훈
463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암호화폐분야_비트코인으로 쇼핑을? ‘암호화폐 결제방식’ 늘리는 美 소매업계 1도토리 강정훈
463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자재분야_프랑스 PVC 바닥재 시장 정보 3도토리 강정훈
463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의료분야_캐나다에서는 암 치료비가 0원? 사용되는 의료기기 인증 방식은? 1도토리 강정훈
463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반려동물분야_집사들의 시대가 온다, 남아공 반려동물용품 시장 성장세 1도토리 강정훈
46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IT분야_코로나19 를 계기로 더 성장하는 멕시코 전자상거래 시장 1도토리 강정훈
46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태양광분야_계속 상승하는 멕시코 태양광 산업의 온도 1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