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방글라데시, 에어컨 시장변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33
용량 18.9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방글라데시, 에어컨 필수품화 진행중.pdf 18.9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7-11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도시화 진전, 기후 변화, 중산층 증가 등에 따라 방글라데시 에어컨 시장 고성장세

-현지 생산품이 시장 주도

-현지 조립생산 체제 강화에 따라 부품 및 생산설비 수입수요 높아

 

2022년 7월 기준 1억 6,800만명의 인구를 보유한 세계 8위 인구 대국 방글라데시는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수준 증가와 이에 따른 중산층 증가, 핵가족화, 여성 근로자 증가, 도시화 진전, 현지 생산 증가 등에 따라 에어컨 시장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의 제조업 지원정책에 힘입어 Walton사 등 현지 제조업체들이 크게 성장 중이며 삼성, Gree(중국), Whirlpool 등 해외 브랜드들도 현지 생산중인데, 2022년 7월 기준 25개 국내외 브랜드들이 에어컨을 생산 중이다. 현지 주요 일간지 The Daily Star 2022년 1월 28일자 기사에 따르면, 연간 에어컨 시장은 약 3억 달러 규모이며 지난 6년간 연평균 20%의 성장세를 보여 왔다고 한다. 2020년에는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판매량이 크게 감소했으나 2021년부터는 다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 4월 사상 최고 기온인 섭씨 41.2도를 기록하는 등 방글라데시 기온도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어 에어컨 수요는 지속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에어컨이 필수품이 되어 가는 중

 

방글라데시에서 에어컨은 과거에는 사치품으로 여겨졌으나 근래에는 도시화 진전, 기후 변화, 중산층 증가, 가처분 소득 증가 등에 힘입어 도시지역 뿐만 아니라 농촌지역에서도 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다. 방글라데시 통계청은 전체 인구의 25% 수준인 약 4,000만명을 중산층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대한민국 인구의 80%에 근접하는 막대한 소비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경제성장에 따라 산업용 및 사무용 에어컨 수요도 지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관련 전문가들에 따르면, 지난 60년간 방글라데시 기온은 섭씨 0.9도 가량 상승했으며 30년 후에는 추가로 0.5도가 상승할 전망이다.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은 더 따뜻해지고 있어 에어컨 수요는 지속 증가할 전망이다.

 

전체 수요의 90%를 현지에서 생산중

 

방글라데시 에어컨 시장은 전체 수요의 90%를 현지 생산으로 충당하고 나머지 1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현지 생산중 약 65%는 현지 브랜드가, 나머지 25%는 현지 투자 외국 브랜드가 생산중이다. 10년 전 만 해도 방글라데시는 에어컨 수요를 전량 수입했다. 현지 브랜드의 대표주자인 Walton사의 에어컨 시장점유율은 30%를 웃돌고 있다. 그 외 주요 현지 브랜드는 Vision, Minister, Jamuna, Butterfly 등이다.

2021년 1월부터 삼성전자는 현지 기업과 협력하여 방글라데시에서 에어컨을 생산 중이다. 방글라데시 ICT 장관은 삼성전자 진출 덕분에 일자리가 확대되고 다른 글로벌 기업들의 방글라데시 진출도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가정용은 소용량 에어컨이, 상업용은 대용량 에어컨이 인기

 

방글라데시에서 사용되는 에어컨은 실외기가 별도로 있는 분리형(split) 에어컨이 대부분이며 제품 용량은 1톤, 1.5톤, 2톤, 2.5톤, 3톤, 3.5톤, 4톤, 5톤이다. 가정용으로는 1톤과 1.5톤이 많이 사용되며 상업용으로는 2톤 이상 제품이 인기가 있다.  현지 생산이 활성화됨에 따라 2020년대에는 현지 기업 및 외투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수입품의 시장 점유율이 크게 축소되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4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ESG분야_2022년 태국의 ESG 동향 1도토리 황세영
44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ESG분야_美 건설업계 ESG 동향 1도토리 황세영
44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ESG_일본 기업들은 어떤 ESG 경영을 하고 있을까 1도토리 황세영
440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기계분야_사우디 청소기 시장 트렌드 1도토리 강정훈
4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기구분야_사우디 소형 조리기구 시장 트렌드 1도토리 강정훈
44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교육분야_모잠비크 e러닝 시장 동향과 진출 방안 1도토리 강정훈
440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이탈리아 그린뷰티 화장품 트렌드 1도토리 강정훈
440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자전거분야_캄보디아 자전거 시장 1도토리 강정훈
44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자동차분야_칠레 중고차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44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자동차분야_파라과이 자동차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440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게임시장_브라질 비디오 게임기 시장 1도토리 강정훈
440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IT분야_그리스,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439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기계분야_그리스, 히트펌프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439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섬유분야_중국 탄소섬유 활용 분야 확대 1도토리 강정훈
439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중국 소비자 : 성장하는 바디케어시장 1도토리 강정훈
439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자동차분야_태국 차량용 보호필름(PPF)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439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농업분야_중국 스마트 농업 시장 현황 1도토리 강정훈
4394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식품분야_중국 유기농 식품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방글라데시, 에어컨 시장변화 1도토리 강정훈
439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의학분야_방글라데시, 자가 모니터링 혈당 측정기 수요 증가세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