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건축분야_한국산 건축자재 수입 바이어에게 듣는 호주 실란트 시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36
용량 30.9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한국산 건축자재 수입 바이어에게 듣는 호주 실란트 시장.pdf 30.9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7-07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글로벌 기업과 차별화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은 ‘맞춤형’ 제품

-바이어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 할 수 있는 유연성 필요

 

호주는 지난 2년 반의 코로나 유행 기간 동안 세계 어느 곳보다도 높은 수준의 봉쇄 조치를 경험한 나라이다. 외출할 일이 줄어 지출은 감소하고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다 보니 ‘호주 리노베이션 붐(Australian Renovation Frenzy)’이 일어났다. IBIS World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전체 건축 시장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 건축 시장은 코로나 유행 초반인 2020년 6월까지 전년대비 시장 규모가 5.68% 감소를 보이며 다소 주춤했으나 이후 코로나가 한창 성행하던 1년 동안 6.84%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2021-22년 회계연도에는 시장 규모가 7,514만 호주 달러로 전년대비 13.8%의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주택 건축용 필수 내장재 중 하나로 호주 시장에서 높은 인지도를 가진 한국산 실란트(sealant) 제품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호주 주택 건축 산업 매출액>

(단위: A$ 백만, %)

회계연도

시장 규모

전년대비 증감률

2019-20

61,787

-5.68

2020-21

66,014

+6.84

2021-22

75,141

+13.80

 

 

수입 의존도가 높은 실란트 제품

 

호주에서 건축용 접착제 중 실란트는 수입 의존도가 높은 제품이다. HS Code 321410로 본 호주 수입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9년 호주의 연간 수입 규모는 1억1,810만 달러이며, 이후 코로나 기간인 2021년까지 수입액과 물량 모두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왔다. 실란트 제조 강국인 한국은 2021년 수입액 2위, 수입량 부분에서는 1위로 집계된 만큼 호주에서 많은 한국산 실란트 제품들이 수입하고 있다.

 

<호주 실란트 제품 수입 통계 자료(HS CODE 321410)>

(단위: U$, kg)

 

2019

2020

2021

순위

국가

수입액

수입량

수입액

수입량

수입액

수입량

1

독일

19,008,329

2,659,048

17,597,849

3,023,581

21,111,718

3,287,052

2

한국

15,068,422

4,439,899

15,862,843

4,690,461

17,268,202

4,295,333

3

일본

14,162,611

4,008,301

14,100,622

3,683,581

15,976,377

4,183,981

4

미국

15,304,742

2,704,041

15,734,314

2,985,486

15,514,916

2,560,460

5

중국

5,992,567

1,509,040

7,965,840

2,322,615

12,827,320

3,795,715

6

태국

10,400,418

2,531,588

11,768,978

3,098,757

11,399,985

2,866,346

 

 

호주의 실란트 제품 유통 구조

 

호주에는 Sika, HB Fuller, Bostik 등 많은 글로벌 기업들의 실란트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이런 글로벌 기업들은 자사 공장 생산 제품도 판매하지만 호주 내 독립적인 구매팀을 운영하며 호주 및 뉴질랜드 시장을 위한 제품을 타 제조업체 공장들로부터 소싱하기도 한다. Sika의 경우 한국과 일본에 자사 실란트 공장이 있지만 코로나 여파로 인한 원자재 수급 차질로 호주 내 판매되는 실리콘 실란트와 아크릴 실란트를 타 업체 공장으로부터 수입한다. 또한 엔드 유저인 시공 업체들에게 직접 유통되지 않고 리테일 또는 디스트리뷰터를 통해서 유통되기 때문에 수입 가격에 대한 부담이 높다.

 

글로벌 기업들이 정형화된 제품을 낮은 가격으로 대량 유통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면 호주의 중소 실란트 업체들은 맞춤형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호주 업체들은 지역 중심으로 영업을 하며 크고 작은 프로젝트에 직접 공급을 한다. 이들은 해외 공장에서 직수입한 제품을 중간 단계 없이 시공 업체에 직접 공급하기 때문에 가격과 퀄리티를 조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이용해 시공 업체의 구체적인 니즈에 따라 맞춤 제작된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 대기업 기성품과의 가장 큰 차별점이라고 볼 수 있다. 한 업체에서 여러 프로젝트에 공급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물량도 적은 편이 아니며 제조 업체는 바이어의 다양한 요구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5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투자분야_체코 투자 인센티브 변경사항 및 투자 동향 살펴보기 1도토리 강정훈
45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방산분야_불안한 남아공 치안, 우리 제품으로 지켜요 1도토리 강정훈
451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의료분야_콜롬비아 최대 의약품/의료기기 전시회 "Meditech&Odontotech" 1도토리 강정훈
451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일본 최대 콘텐츠 전시회, 콘텐츠도쿄2022(Content Tokyo 2022) 참관기 1도토리 강정훈
451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자동차분야_서남아 전기차 시장동향 온라인 설명회 및 상담회 참관기 1도토리 강정훈
45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에너지분야_ 파키스탄 에너지 발전 현황과 전망 1도토리 강정훈
451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산업용 로봇, 자동화 시스템 전문 전시회 'ROBOT TECHNOLOGY JAPAN 2022' 참관기 1도토리 강정훈
45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스마트농업분야_중국 스마트 농업의 현주소는? (중국 농업박람회 참관기) 1도토리 강정훈
45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영국-베트남 자유무역협정(UKVFTA) 발효 1년, 주목할 만한 결과는? 1도토리 강정훈
45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조선분야_조선업 주가관련 분석 5도토리 김민성
45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콘텐츠,IP 관련 동향 5도토리 김민성
45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에너지분야_에너지분야 투자동향 7도토리 김민성
45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ESG분야_튀르키예 ESG 어디까지 왔나 1도토리 김민성
4506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미국의 톡톡 튀는 헤어케어 트렌드 1도토리 김민성
450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에너지분야_이집트산 천연가스 對유럽 본격 수출, 에너지공급망 편입 가시화 1도토리 김민성
450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전기분야_성장하는 베트남 전력 및 전력기자재 시장 1도토리 김민성
45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기계분야_미국 리프트와 컨베이어 기계 시장동향 1도토리 김민성
45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자동차분야_이집트 승용차 시장동향 1도토리 김민성
450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튀르키예 화장품 시장동향 1도토리 김민성
450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섬유분야_UAE 합성 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