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자동차분야_세르비아 트랙터 시장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42
용량 39.3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세르비아 트랙터 시장 동향.pdf 39.3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7-06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정부의 농촌 진흥 정책과 트랙터 인센티브 강화로 지속 성장하는 세르비아 트랙터 시장

-환경 규제 강화와 러시아발 공급망 변화로 한국기업의 트랙터 시장 진출기회 확대

 

 

품명 및 HS코드

 

상품명 : 37kW 이상 75kw 이하의 파워 트랙터

HS 코드: 8701.93

 

이 제품에는 주로 농업용 트랙터(HS 코드 8701.93.10)와 37kW 이상 75kW 미만(HS 코드 8701.93.90)의 기타 트랙터가 포함되며, 조립된 트랙터와 조립되지 않은 트랙터를 모두 포함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세르비아의 신규 트랙터 등록 건수는 2018년 이후 4년 동안 증가하고 있다. 세르비아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에 5,213대의 신규 트랙터가 등록되어 전년대비 20% 증가하였다. (출처: SORS). 세르비아 트랙터 시장 규모는 정부와 인센티브 정책과 농경지 활용 정책에 따라 확대되고 있다.

 

<지난 5년간 등록된 신규 트랙터 수(단위:PCS(>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등록 트랙터수

5,423

2,933

3,859

4,338

5,213

 

 

먼저 인센티브 분야이다. 세르비아는 EU 가입 후보로서 IPARD II 프로그램을 통해 농업 개발을 위한 EU 기금 지원을 받고 있으며, IPARD II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트랙터 구입 인센티브가 제공되고 있다. 올해 2월, 신규 트랙터 구매에 대한 인센티브 조치가 발표되어 총 1,100만 유로가 배정되었다. 이번 조치에 따라 트랙터 구매 시 구매 비용의 약 60~70%를 지원받게 된다.  다만 지원을 위한 조건으로, 구입한 트랙터가 T1에서 T5 또는 C1에서 C5 카테고리에 속해야 하며, 5년 이내에 제조된 제품이어야 한다.

 

세계은행의 농업 지원 프로젝트도 있다. 지난해 발표된 세계은행의 농업 지원 프로젝트에는 50%는 사업자금으로, 40%는 시중은행 대출로, 10%는 농가와 기업별로 트랙터 구입 자금을 조달하는 50-40-10% 구입 지원 프로그램이 포함됐다. 인센티브 지급 대상은 80kW 미만 엔진을 탑재하고 가격이 최소 2만 유로인 이상인 신형 트랙터이다.

 

다음은 세르비아의 농업 잠재력 부분이다. 세르비아의 농지 면적은 3,861,477 헥타르로, 631,552개의 농지가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부지가 비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어 개선 여지가 많다. 세르비아 정부는 농지 생산성을 높이고, 농촌 개발을 늘리기 위해 여러 개의 작은 부지를 하나의 큰 부지로 연결하는 농경지 통합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통합의 효과는 연료 비용, 종자 비용 및 기계화 비용의 감소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농업 생산을 증가시키고 농업 기계화에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수입 동향 및 대한수입규모

 

세르비아 시장은 현지 제조업이 약해 수입 부품 조립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수입 의존도가 높다. 37kW 이상, 75kW 이하 동력 트랙터의 수입은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GTA에 따르면 세르비아는 2021년 2747만 달러의 트랙터를 수입했다. 수량으로는 2,151대의 트랙터가 수입되어 전년대비 수입액은 36.04%, 수입량은 19.04% 증가했다.

 

<세르비아의 최근 5년간 트랙터 수입량>

단위

2017

2018

2019

2020

2021

수입액 (달러)

11,247,091

16,424,050

22,344,141

20,192,060

27,470,256

수입량 (pcs)

939

1,356

1,743

1,807

2,151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35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불가리아 스킨케어 화장품 시장 동향 1도토리 한상윤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자동차분야_세르비아 트랙터 시장 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스위스, 바디케어 산업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조선분야_베트남 선박용 부품 시장 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헝가리 영유아용 미용제품 시장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폴란드 주류 시장 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역대급 엔저, 우리나라 산업의 대응책 1도토리 나혜선
434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인도네시아 경제 1도토리 나혜선
434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2022년 상반기 베트남 경제동향 및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나혜선
434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경제동향_태국의 경제 전망 1도토리 나혜선
43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섬유분야_2022 독일 산업용·가정용 섬유 동향 1도토리 나혜선
43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한국-탄자니아 ICT 파트너십 세미나 1도토리 나혜선
43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2022 필리핀 국제 해양 산업전 1도토리 나혜선
433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2022 에콰도르 피트니스 산업 동향 1도토리 나혜선
433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농업분야_한-칠레 스마트팜 협력 웨비나 1도토리 나혜선
433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산업전반분야_멕시코 벤처기업 동향 1도토리 나혜선
433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디지털트윈,일본에서 발전하는 가상현실 1도토리 나혜선
433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블록체인 기술 등을 활용한 일본 산업 저작권 동향 1도토리 나혜선
43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산업전반분야_중국 전력난과 관련한 산업 전망 1도토리 나혜선
43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철강분야_루마니아 철강산업 동향 1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