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폴란드 주류 시장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37
용량 52.6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동향]폴란드 주류 시장 동향.pdf 52.6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7-06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코로나19로 인한 폴란드인의 주류 소비 증가

-유럽 내 저알코올/논알코올 주류와 하드셀처의 비약적인 성장

 

폴란드인은 한국인 못지않게 술을 좋아한다. 한국인에게 소주가 있다면 폴란드에는 보드카가 있다. 대부분 보드카는 러시아 술로 생각하지만 역사적으로 보드카가 가장 먼저 기록되어 있는 곳은 1405년 폴란드 법원 문헌이다. 이미 폴란드에서는 15세기 초부터 보드카가 인기 주류로 자리 잡았고 16세기 말에는 크라쿠프를 중심으로 대형 보드카 양조장이 생겨났다.

 

이렇게 중세시대부터 영향력 있는 주류 생산 및 소비국으로서 폴란드의 위치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EMIS Insights 보고서에 따르면 보드카 생산량으로는 EU 내에서 폴란드가 1위, 맥주 생산량은 폴란드가 2위, 맥주 소비량은 3위이다. 역사적으로 보드카 생산 강국이었던 폴란드가 건강,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2000년을 기점으로 보드카와 맥주 소비량이 역전된 후 맥주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해온 점도 눈여겨 볼만하다. 이러한 특이점을 잘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폴란드 주류 시장에서 우리 주류 기업은 새로운 기회를 발견 할 수 있을 것이다.

 

 

폴란드 주류시장의 수출입 현황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맥주'하면 독일, '보드카'하면 러시아, '와인'하면 프랑스·이탈리아 등 나라를 떠올린다. 그런 점에서 폴란드는 우리나라에서 주류로 인지도가 있는 시장은 아니다. 하지만 이는 폴란드의 입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식당, 온라인 마켓 등에서 우리나라의 소주를 팔고 인지도도 다소 있으나 실제 한국 주류 수입 규모는 미미한 수준이다.

 

폴란드는 주류시장에서 순 수입국이다. EMIS 보고서에 따르면 폴란드 알코올 음료의 무역수지는 와인의 대량 수입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적자이기 때문이다. 폴란드가 수입하는 주류는 대부분 독일,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산이다. 이 4개국으로부터 수입량이 전체의 약 53%를 차지한다. 한국의 경우 폴란드 주류시장에서의 위치는 미미한 수준이다. 2021년 기준 수입량 15만 8043달러인데 이는 전체 수입 상대국 중 45위로 전체 수입량의 0.01%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2021년도 폴란드의 알코올 음료 4대 수입국 현황>

(단위: 달러,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ba8363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17pixel, 세로 289pixel

국가

수입액

비율

독일

170,264,199

14.92

영국

168,028,330

14.72

이탈리아

164,556,745

14.42

프랑스

98,190,586

8.60

기타

540,235,098

47.34

전체

1,141,274,958

100.00

 

 

< 2021년도 폴란드의 알코올 음료 4대 수출국 현황 >

(단위: 달러,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ba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30pixel, 세로 289pixel

국가

수출액

비율

독일

142,551,480

18.00

프랑스

97,638,862

12.33

네덜란드

69,742,007

8.81

미국

58,881,689

7.44

기타

423,045,183

53.42

전체

791,859,221

100.00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35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불가리아 스킨케어 화장품 시장 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5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자동차분야_세르비아 트랙터 시장 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스위스, 바디케어 산업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조선분야_베트남 선박용 부품 시장 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헝가리 영유아용 미용제품 시장동향 1도토리 한상윤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폴란드 주류 시장 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역대급 엔저, 우리나라 산업의 대응책 1도토리 나혜선
434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인도네시아 경제 1도토리 나혜선
434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2022년 상반기 베트남 경제동향 및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나혜선
434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경제동향_태국의 경제 전망 1도토리 나혜선
43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섬유분야_2022 독일 산업용·가정용 섬유 동향 1도토리 나혜선
43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한국-탄자니아 ICT 파트너십 세미나 1도토리 나혜선
43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2022 필리핀 국제 해양 산업전 1도토리 나혜선
433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2022 에콰도르 피트니스 산업 동향 1도토리 나혜선
433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농업분야_한-칠레 스마트팜 협력 웨비나 1도토리 나혜선
433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산업전반분야_멕시코 벤처기업 동향 1도토리 나혜선
433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디지털트윈,일본에서 발전하는 가상현실 1도토리 나혜선
433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블록체인 기술 등을 활용한 일본 산업 저작권 동향 1도토리 나혜선
43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산업전반분야_중국 전력난과 관련한 산업 전망 1도토리 나혜선
43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철강분야_루마니아 철강산업 동향 1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