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한국-탄자니아 ICT 파트너십 세미나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37
용량 50.7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한국-탄자니아 ICT 파트너십 세미나.pdf 50.7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7-05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ICT, 탄자니아 사회 및 경제 성장의 핵심

-인프라 구축 활발, 디지털 경제 전환에 따른 보안 솔루션 분야 유망

 

탄자니아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선언과 더불어 전자정부 사업 추진 및 각종 정보보안 분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난 6월 8일 주 탄자니아 대한민국 대사관은 한국인터넷진흥원, 다레살람 무역관과 공동으로 ‘한국-탄자니아 ICT 파트너십 세미나’ 행사를 개최했다. 본 행사에서는 ICT 관련 탄자니아 디지털 정책과 사업 추진 사항 및 향후 계획에 대한 발표와 우리나라의 정보보호 기술 및 발전 방향에 대한 발표가 있었으며, 세미나는 온∙오프라인 동시에 진행됐다.

 

<세미나 개요>

행사명

한국-탄자니아 ICT 파트너십 세미나

일시

2022년 6월 8일 수요일 오후 4시-6시 (한국시간)

연사

Nkundwe Moses Mwasaga 탄자니아 ICT 위원장

신진환 딜로이트 코리아 공개키기반구조 컨설턴트

Edson Guyai 탄자니아 주민등록청 주민등록 관리 디렉터

고영주 한국정보인증 정보보호팀장

Cecil Komora Francis TTCL 기술운영디렉터

김도상 KT 수석 이사

주요 내용

탄자니아 ICT 투자 기회

한국의 정보보안 기술과 사회적 영향

NIDA 프로젝트 현황 및 경제적 효과

PKI/CA와 구현에 대한 조언

탄자니아 네트워크 구축 정책 및 사업계획

한국 ICT 기술의 아프리카 적용 사례

 

 

탄자니아 ICT 분야 투자 기회

 

 

<탄자니아 정보통신기술위원회(ICTC) 발표>

 

 

먼저 탄자니아 정보통신기술위원회(ICTC) 측에서는 탄자니아의 ICT 정책 및 관련 기관 소개와 함께 탄자니아 ICT 투자 기회에 대해 소개했다. 탄자니아는 ICT를 사회 및 경제 성장의 핵심으로 보고 각종 정책을 수립하여 다양한 디지털 경제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다. 탄자니아의 대표적인 ICT 정책으로는 National Telecommunication(1997), National Postal Policy(2003) 및 National ICT Policy(2016)이 있다. 1997년 National Telecommunication의 수립되면서 기존 회사들의 독점을 없애고 다른 기업들이 통신 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됐으며, 2003년 제정된 우편 정책은 우정산업의 자유화를 규정하여 민간 부문의 참여를 허용하는 정책으로 탄자니아 전자상거래의 기반이 됐다. 아울러 2016년 국가 ICT 정책을 수립하여 ICT 인프라 구축과 관련 분야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Global Connectivity Index 2020 보고서에 따르면 탄자니아 스마트폰 보급률은 전체 이동통신가입자(약 5,400만 명)의 약 21~30%에 달한다. 또한 탄자니아의 2020년 통신 서비스 가입과 전화밀도(teledensity)는 89% 수준에 도달했다. 한편, 탄자니아 인구의 66%가 3G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2G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는 약 93%에 달하고 있어 향후 4G 및 5G 기술 전환 분야에 투자 기회가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탄자니아의 통신 부문에 있어 혁신적인 분야는 주로 모바일 결제 시스템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M-Pesa와 같은 앱과 기타 솔루션이 탄자니아 대부분 지역에서 제공되고 있다고 한다. Mwasaga ICTC 위원장은 탄자니아 인구의 65%가 도심이 아닌 농어촌 지역에 살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도심이 아닌 지역에서도 쉽게 이용가능한 다양한 결제 솔루션 분야가 유망하다고 조언했다.

 

탄자니아 전자상거래는 아직 초기단계로 가치사슬을 살펴보면 새로운 기술이나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영역이 많다. 탄자니아는 배송 분야에서 미흡한 점이 많기 때문에 전자상거래에서 물류 및 기술솔루션을 사용하는 기업이나 또는 드론 분야가 유망하다. 탄자니아 정부는 디지털 전환을 위해 전자정부기관을 만들기 시작했으며 탄자니아 모든 지역을 연결하기 위한 국가 네트워크망을 구축하였고 2003년 이후 해저 케이블 연결망도 구축했다. 해저 케이블망의 경우 현재까지 3개가 구축되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케이블을 설치할 계획이다. 더불어 정부는 통신서비스 강화를 위해 정책적 노력을 펼치고 있는데 2007년 보편통신접근법을 제정하고 보편통신서비스접근기금을 마련해 통신 사각지대에 놓인 지역으로의 서비스 확대를 위한 투자를 펼치고 있다. 전자정부 구축 사업 개시와 함께 다양한 사이버보안 기술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으며 더불어 e-service 및 콘텐츠 개발 분야에도 진출 기회가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35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불가리아 스킨케어 화장품 시장 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5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자동차분야_세르비아 트랙터 시장 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스위스, 바디케어 산업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조선분야_베트남 선박용 부품 시장 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헝가리 영유아용 미용제품 시장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폴란드 주류 시장 동향 1도토리 한상윤
434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역대급 엔저, 우리나라 산업의 대응책 1도토리 나혜선
434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인도네시아 경제 1도토리 나혜선
434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2022년 상반기 베트남 경제동향 및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나혜선
434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경제동향_태국의 경제 전망 1도토리 나혜선
43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섬유분야_2022 독일 산업용·가정용 섬유 동향 1도토리 나혜선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한국-탄자니아 ICT 파트너십 세미나 1도토리 나혜선
43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2022 필리핀 국제 해양 산업전 1도토리 나혜선
433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2022 에콰도르 피트니스 산업 동향 1도토리 나혜선
433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농업분야_한-칠레 스마트팜 협력 웨비나 1도토리 나혜선
433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산업전반분야_멕시코 벤처기업 동향 1도토리 나혜선
433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디지털트윈,일본에서 발전하는 가상현실 1도토리 나혜선
433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블록체인 기술 등을 활용한 일본 산업 저작권 동향 1도토리 나혜선
43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산업전반분야_중국 전력난과 관련한 산업 전망 1도토리 나혜선
43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철강분야_루마니아 철강산업 동향 1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