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국가별동향]재료/자재분야_카자흐스탄 폴리에틸렌 필름 시장 동향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박민혁 | 조회수 | 35 | |
---|---|---|---|---|---|---|
용량 | 31.59MB | 필요한 K-데이터 | 1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카자흐스탄 폴리에틸렌 필름 시장 동향.pdf | 31.59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7-05 |
---|---|
출처 :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페이지 수 : | 3 |
-카자흐스탄 PE필름 시장은 일부 자체 생산하고 있으나 대부분 수입에 의존
-단순 PE필름 수출보다는 스마트팜 설치를 포함한 패키지형 수출 공략이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
품목명 |
사진 |
3920.10 |
Plates. sheets, film, foil and strip of plastics, non self-adhesive, non-cellular, not reinforced or laminated..., of polymers of ethylene |
시장동향
카자흐스탄 개발은행 통계에 따르면, HS Code 3920.10 기준 2021년 카자흐스탄 PE필름 시장규모는 약 4,740만 달러로 작년 대비 26.3% 증가하여 최근 5년 내 가장 큰 성장세를 보였고, 같은 해에 최대 교역규모를 기록했다.
<최근 5개년 카자흐스탄 PE필름(HS Code 3920.10) 시장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연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수입 |
38.7 |
33.1 |
38.8 |
35.6 |
45.1 |
수출 |
0.5 |
0.7 |
0.7 |
1.9 |
2.3 |
교역액 |
39.2 |
33.8 |
39.5 |
37.5 |
47.4 |
증감율 |
19.5% |
∆13.7% |
16.8% |
∆5.0% |
26.3% |
카자흐스탄 PE필름 수입현황
2021년 카자흐스탄은 PE필름을 4,510만 달러 수입하였다. 최근 5개년 수입 동향을 보았을 때, 2018년과 2020년의 감소율보다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5개년 카자흐스탄 PE필름(HS Code 3920.10) 수입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연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수입 |
38.7 |
33.1 |
38.8 |
35.6 |
45.1 |
비중 |
0.1 |
0.1 |
0.1 |
0.1 |
0.1 |
증감율 |
19.0% |
∆14.4% |
17.2% |
∆8.2% |
26.6% |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을 보면, 최근 3개년 간 러시아, 중국, 터키에서 주로 PE필름을 수입해왔으며, 러시아는 연간 PE필름 수입액 중 5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1년에는 중국발 물류 적체가 심해지면서 중국에서 카자흐스탄으로 들어오는 PE필름 규모가 전년 대비 69.3%에 감소하였다. 반면, 같은 해에 말레이시아는 PE필름 수입국 중 825%라는 역대 최대의 증가율을 보였다. 말레이시아 내 석유화학 산업이 고도로 발전하고 있고, 카자흐스탄까지의 물류환경도 나쁘지 않아 공급선을 변경한 것이 주된 이유로 판단된다.
한국도 수입액 기준 7위에 위치해 있으나, 2021년에는 대 카자흐스탄 수출이 전년대비 62.5% 감소하였다. 우리기업이 카자흐스탄으로 수출 시 대부분의 물류가 중국을 경유하는데, 물류 적체 현상으로 운송이 6개월 이상 지연되면서 수출단가가 상승하게 되었고, 이에 카자흐스탄 업체들이 공급선 변경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러시아 및 터키로부터의 수입이 늘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