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FOODSTYLE KANSAI 2022를 통해 본 일본 식품시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80
용량 30.3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FOODSTYLE KANSAI 2022를 통해 본 일본 식품시장.pdf 30.3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10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 오미크론 바이러스 확산 중에 1만명이 넘는 참관객 방문

- 한국식 치킨은 여전히 인기, 한국식 디저트는 인스타각으로 주목 가치

 

개최지인 오사카시는 상업 도시로서 유명하며 오사카 시 산업 구성비의 약 4분의 1은 소매업, 도매업이 차지하고 있다. 도쿄와 비교할 경우 도매업 사업자 수는 약 1.4배, 백화점 판매액은 약 1.3배에 이르는 거대 시장이다. 간사이 전체로는 음식점 수가 168,314 점포, 식품 소매점은 12,058 점포, 테이크 아웃, 택배 전문점은 11,635 점포가 있으며, 해당 업태의 점포 수는 지역별로 봤을때 전국 상위권에 들어가는 수치이다.

 

코로나19사태로 인해 외식 산업은 전반적으로 매출 감소가 심각한 상황이다. 도매상의 경우 신규 아이템 발굴, 판로 확대 등의 문제들을 대면하고 있는 등 식품 업계 전체가 코로나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는 오미크론 바이러스가 확산됨에도 불구하고 313개 업체가 참가해 10,368명이 참관했다.

 

전시회를 통해 보인 식품시장 트랜드

 

일본은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어, 내국인 수요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식품 유통 시장 규모가 축소되고 있다. 식품 소매시장의 경우 2019년까지 3년간 방일 외국인의 증가 등으로 성장세를 보였으나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전년비 0.9% 감소한 48조9,634억 엔을 기록했다. 식품 소매 시장 전체를 보면, 종합 슈퍼·대형 식품 슈퍼가 전년비 18.1% 증가한 한편, 백화점(식품매장) 매출이 16.1% 감소했고, 중소형 식품 슈퍼·기타 음식료품 소매업이 5.1% 감소했다.

 

                                                                   <식품 소매시장 규모 추이 (단위:10억 엔)>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48,744

49,360

49,383

48,963

47,620

주: 2021년은 예측치, 사업자 매출액 기준

 

반면 식품 배달 시장은 해마다 확대되고 있어 유망시장으로 꼽힌다. 식품 배달 시장은 2020년 코로나 19 사태를 계기로 수요가 급격하게 확대되어 전년비 14.3% 증가한 2조4,969억엔을 기록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27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탈리아 2022년 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27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렉시트 1년, 영국 경제 및 EU관계 전망 1도토리 민준석
»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FOODSTYLE KANSAI 2022를 통해 본 일본 식품시장 1도토리 민준석
426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이차전지 공급망 확대 전망에 따른 호주 핵심광물 행보 1도토리 민준석
426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26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26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26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26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26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26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26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25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의료분야_인도네시아 의료 전시회(HOSPEX)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의료 산업 1도토리 황세영
425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25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25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25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25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2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25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