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시장분석] 위드 COVID-19 시대의 수출 유망품목 및 수출 증대 방안 연구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최민기 | 조회수 | 53 | |
---|---|---|---|---|---|---|
용량 | 1.37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시장분석] 위드 COVID-19 시대의 수출 유망품목 및 수출 증대 방안 연구.pdf | 1.37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4-29 |
---|---|
출처 : | 산업연구원 |
페이지 수 : | 87 |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선행연구
제2장 코로나19 팬데믹과 최근 한국의 수출 동향
1. 세계 교역 동향
2. 한국의 수출 동향
3. 한국의 산업별 수출 동향
제3장 위드 코로나 시대 주요 이슈
1. 비대면 산업 발전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
2.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전환 가속화
3. 신산업 성장으로 산업구조 재편 가속화
제4장 위드 코로나 시대 수출 유망산업의 경쟁력 분석
1. 선행연구
2. 분석 방법
3. 수출 유망산업의 경쟁력 분석
(1) ICT산업군 품목 분석
(2) 신재생에너지산업군 품목 분석
(3) 신산업군 품목 분석
4. 수출전략 품목 검토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주요 연구 결과
2. 한국의 대응 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
3. 본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패러다임 전환의 가속화 요소로 간주하여 현 재 시점에서 향후 수출 유망산업을 예측하고 이들 산업에 대한 수출 경쟁력 분석을 통해 전략 품목을 검토 - 기존 문헌들에서 예측했던 위드 코로나 시대의 사회 변화상을 고려 한수출 유망산업의 경쟁력 분석 및 수출 유망품목 검토를 통해 수출 유망산업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및 이들 산업의 정책 마련에 일조 ○ 한국 경제성장에서 수출의 기여도가 높은 만큼 위드 코로나 시대의 수출시장 변화 및 전망, 수출전략 등에 관한 관심은 상당히 높으나, 아직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인 만큼 본 연구만의 차별성을 가짐.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1년 이상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였 으며, HS 6단위 수출 통계를 이용하여 세밀한 품목 단위 분석을 수행 ○ 한국 수출은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품목별로 수출 실적의 격 차가 커지면서 산업 간 수출 양극화 현상이 발생하였으나, 2021년에 는 거의 전 부문에 걸쳐 수출이 회복 10 위드 코로나 시대의 수출 유망품목과 수출 확대 방안 연구 - 비대면 활동이 늘어나면서 컴퓨터,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단가가 상승하면서 ICT산업 수출 호조세가 지속 -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진단키트 등을 중심으로 바이오헬스산업의 수 출 호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저탄소 정책이 확대되는 세계적 트렌드 에 맞추어 전기차, 이차전지 등 친환경 품목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 ○ 본 연구는 위드 코로나 시대의 글로벌 트렌드 변화로 비대면 산업 발 전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전환 가속화, 신산 업 성장으로 산업구조 재편 가속화 등을 도출 - 이러한 트렌드 변화를 반영한 수출 유망산업으로 ICT산업, 신재생에 너지산업, 신산업으로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신산업은 바이오헬스산 업과 그 외 신산업으로 구분하여 분석 ○ HS 6단위 수출 데이터를 이용한 BCG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수출경 쟁력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발생 전후로 수출 유망산업 내에서도 수출 호조 품목의 개수 등 변화 양상이 상이하게 나타남. - ICT산업은 코로나19 발생 후 수출 호조 품목 개수 자체는 감소하였 으나, 비대면 산업 확대에 따른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맞추어 고부가 가치 품목 수출이 호조를 보임. - 신재생에너지산업은 코로나19 발생 후 수출 호조 품목이 증가하였으 나, 다른 산업에 비하여 현재 수출 유망품목의 수도 적고, 미래의 수 출원동력이 될 잠재적 수출 호조 품목의 수도 적은 편 - 신산업 부문의 바이오헬스산업은 코로나19 발생 후 수출 호조 품목 개수는 감소하였으나, 잠재적 수출 호조 품목 개수가 증가하였으며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