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캐나다로 가공식품 수출 시 유의사항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48
용량 11.4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캐나다로 가공식품 수출 시 유의사항은_.pdf 11.4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25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가공식품에 대한 강화된 식품안전규제와 수입 과정

철저한 라벨 표기 규정 준수 필요

 

K-콘텐츠 인기와 더불어 한국산 가공식품에 대한 관심이 캐나다 내에서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캐나다에서는 2022년부터 대부분의 수입 식품이 강화된 식품안전규제(SFCR, Safe Food for Canadian Regulations) 대상에 속함에 따라 수입 과정이 더욱 까다로워졌다. 강화된 규제들은 전적으로 수입업자의 책임이지만, 수입 절차 진행을 위해서는 공급업체의 협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도 해당 규제 내용을 인지하고 수입업자와 긴밀히 협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캐나다 식품 시장, 그중에서도 가공식품 시장 진출 시 고려해야 할 점과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캐나다 가공식품 수출 준비

 

가공식품 수출을 위해서는 캐나다 식품의약품규제(Food and Drug Regulation)와 식품안전규제를 준수해야만 한다. 특히 식품 안전규제는 크게 안전 식품 면허(SFC License, Safe Food for Canadian License), 예방적 관리 계획(PCP, Preventive Control Plan), 식품 추적 시스템(Traceability)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당 규제에서 요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캐나다 식품 안전규제>

구분

이름

내용

1

안전식품 면허

(SFC License)

- 캐나다 내 식품을 수출입하는 업체의 경우 캐나다 식품검역청에 신청하는 면허

2

예방적 관리 계획 (PCP)

- 식품의 위해요소 관리

- 식품의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시 어떻게 대처할 계획인지에 대한 안전 예방 계획서

3

식품 추적 시스템 (Traceability)

- 캐나다에서 생산, 유통되는 모든 수출입 식품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시스템

- 원산지부터 유통까지 전반적인 식품 과정을 최소 2년간 기록 보관 의무

 

 

따라서 캐나다로 식품을 수출할 시에는 수입업자가 SFC 면허를 소지하고 있는지, 예방적 관리 계획 절차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지 확인을 거쳐야 한다. 더불어 캐나다로 식품 수출을 준비한다면 다음과 같은 정부 기관의 규제 또는 감독을 받는다.

 

<캐나다 식품 수입 관련 관할 기관>

구분

기관 이름

역할

1

Canada Border Service Agency (CBSA)

- 캐나다 국경관리청

- 식품검역청과 함께 수입식품 전반의 통관 및 검역 담당

- 캐나다에 물품이 도착할 시점에 관세 및 승인 요건을 부과

2

Canada Revenue Agency(CRA)

- 캐나다 국세청

- 사업자 번호(Business Number) 신청심사 및 발급 주체

- 수출입 프로그램 계정 제공

3

Global Affairs Canada(GAC)

- 캐나다 외교부

- 수출입 허가법에 따라 수입통제목록에 포함되는 물품에 대한 수입허가서 발행 주체

- 캐나다 내에서 수입이 규제되는 품목에는 육류, 유제품, 개·고양이 사료, 생선류, 설탕 포함 품목 등이 있음.

4

그 외 도, 준 주 및 시 정부

- 주, 시에 따라 식품안전 시스템 및 요구사항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진출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규제 현황 확인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25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25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24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24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에너지 시장 장기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24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美,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활발 기대 1도토리 안소영
42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증강현실(AR) 분석 보고서 1도토리 민준석
4245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반도체 분야_EU 반도체법 주요 내용과 영향 3도토리 노민우
424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위드 COVID-19 시대의 수출 유망품목 및 수출 증대 방안 연구 7도토리 최민기
424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스웨덴 경제전망 1도토리 최민기
424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중국 양회를 통해 보는 세부정책 분석 ① 탄소중립 1도토리 최민기
42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싱가포르 2021년 경제성과 및 2022년 경제전망 1도토리 최민기
424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이차전지 수요 확대로 주목받는 브라질 니켈·코발트 산업 1도토리 최민기
423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2022년 중국 수입식품 관련 新 정책 시행 1도토리 노민우
4238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의료기기 분야_2022년 중국 남부 국제 치과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캐나다로 가공식품 수출 시 유의사항 1도토리 노민우
42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배터리 분야_유럽의회, 지속가능한 EU 배터리법 채택 1도토리 노민우
423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중국 수소 충전소 운영 현황 1도토리 노민우
423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드론 분야_인도의 드론 시대 1도토리 노민우
42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리튬 대체 공급지로 부상하는 브라질 1도토리 노민우
42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봉쇄로 인해 촉발되는 글로벌 공급망 이슈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