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배터리 분야_유럽의회, 지속가능한 EU 배터리법 채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49
용량 12.4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배터리 분야_유럽의회, 지속가능한 EU 배터리법 채택.pdf 12.4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31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 EU, 세계 최초의 지속가능한 배터리 법안 입법 추진 연내 발효가 목표

- 탄소발자국, 라벨링, 실사, 재활용 함유 의무, 폐배터리 회수 등이 주요 골자

 

개요

 

3월 10일, 유럽의회는 본회의에서 지난 2월 10일 의회 환경위원회(ENVI)가 채택한 EU 배터리 법안에 대해 찬성 584표, 반대 67표, 기권 40표 등 압도적인 표 차이로 통과시켰다. EU는 2035년부터 내연기관 자동차의 역내시장 판매 중지와 그린딜 구현을 위해 지속가능한 배터리 법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 동의했고 이에 집행위는 기존 배터리 지침(2006/66/EC)을 폐지하고 역내 제품 감시규정(2019/1020)을 통합한 신 EU 배터리 규정안을 2020년 12월 마련했다. 집행위 법안 상정 후에 유럽의회 환경위원회는 2022년 2월 10일 배터리 법안의 적용 대상 확대, 폐배터리 회수율 목표 강화 등 기존 집행위 내용을 보다 강화시킨 수정안을 채택했다.

 

* (참고) EU 배터리 법안 추진 경과 

집행위 법안 초안 발표(2020.12.) → 유럽의회 환경위원회, 수정법안 채택(2022.2.10) → 유럽의회 본회의, 법안 채택(2022.3.10) → 이사회 표결(예정)

 

법안 주요 내용

 

EU는 배터리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 재활용원료 비율 강화, △ 라벨링, △ 배터리 수거, △ 탄소발자국, △ 공급망 실사 등 지속가능한 기준을 수립할 예정이다. 규정 적용 대상 제품은 이동식(스마트폰, 전자기기 등), EV·차량용, LMT(전기자전거, 스쿠터 등)*, 산업용 등 모든 종류의 배터리가 해당된다.

 

충전식 산업용 및 내부 저장용량이 2kWh를 초과하는 전기자동차(EV)용 배터리의 경우 공급망 실사 의무가 부여되며, 배터리 함유 원자재의 공급망 추적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OECD 실사 가이드라인 부속서 II 적용이 필요하다(OECD 부속서 파일은 하단의 별첨 참조). 즉, 코발트, 흑연, 리튬, 니켈 및 그 외 배터리에 포함되는 화합물에 대한 원자재 정보, 원자재 공급기업 및 원산지 등 정보를 수집 및 보관해야 하며 공급망 내 인권·노동권·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식별, 예방 및 완화·해결하고 관련 자료를 공개할 수 있어야 한다. 실사는 EU 시장에 직접 배터리를 출시하는 제조사·유통사·수입자·대리인(Economic Operator)이 수행해야 하며, 제3자 독립기관을 통해 검증한 후 관련 증빙 문서를 보관해 둘 필요가 있다.

 

산업 및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경우에 2030년부터 코발트, 납, 리튬, 니켈 물질의 재활용 원료 사용이 일정 비율 의무화되며 2035년부터 해당 비율은 증가할 예정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중국 양회를 통해 보는 세부정책 분석 ① 탄소중립 1도토리 최민기
417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싱가포르 2021년 경제성과 및 2022년 경제전망 1도토리 최민기
417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이차전지 수요 확대로 주목받는 브라질 니켈·코발트 산업 1도토리 최민기
416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2022년 중국 수입식품 관련 新 정책 시행 1도토리 노민우
4168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의료기기 분야_2022년 중국 남부 국제 치과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6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캐나다로 가공식품 수출 시 유의사항 1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배터리 분야_유럽의회, 지속가능한 EU 배터리법 채택 1도토리 노민우
416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중국 수소 충전소 운영 현황 1도토리 노민우
416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드론 분야_인도의 드론 시대 1도토리 노민우
416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리튬 대체 공급지로 부상하는 브라질 1도토리 노민우
416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봉쇄로 인해 촉발되는 글로벌 공급망 이슈 1도토리 노민우
416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아제르바이잔 경제 전망 1도토리 김민성
416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요르단 경제 요약 및 2022년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15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풍력발전산업, 해상풍력 성장 기대 1도토리 김민성
415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베트남의 LNG 발전 프로젝트 전망 1도토리 김민성
415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분야_영국, 식음료전시회로 본 식품 트렌드 1도토리 김민성
415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대만,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발표 1도토리 김민성
415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베트남 인프라 산업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김민성
415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하얀 황금’ 리튬 생산에 뛰어든 핀란드 1도토리 김민성
41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이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