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이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38
용량 60.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이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_.pdf 60.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14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14 

- PMI·경제 동적 운용지표 등 경기선행지수 50 이하, 경기 하방압력 시사

- 완성차, 반도체 고부가가치산업 중점지역인 상하이의 봉쇄로 지역 및 산업 간 영향 이어질 것

- 물류지수(차량화물운송지수, 전국 공공물류단지 물동량) 모두 하락세

 

4월 중순이 되어도 중국의 지역별 오미크론 확산세는 여전히 호전되지 않고 있다. 특히 3월 28일부 실시된 상하이의 도시 통제는 이미 열흘의 기간을 넘어섰다. 상하이는 중국의 물류 최대 중심지로, 이번 봉쇄에서 불거지는 충격이 타 산업 그리고 거시경제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상하이시 봉쇄가 4월 중하순까지 이어진다면 전체 경제에 주는 충격은 더 커질 것이며, 물류 지체로 인한 대외무역 수출입 타격 또한 예의주시해야 한다. 해관총서에서 발표한 3월 대외무역 통계에 따르면 3월 중국의 수입 규모는 전년 동월 대비 -0.1%로, 2020년 8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세부 무역 방식별로 볼 때 일반무역 수입과 수입가공무역 규모가 각각 전년 동월 대비 1%, -4.5%를 기록했다. 중국은 세계 가공무역 중심지로 2021년 전체 교역 규모에서 ‘원자재, 설비 수입가공 교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이로 인한 영향 요인 또한 분석할 필요가 있다.

 

3월 이후 1개월 이상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이어진 지역은 지린성·상하이 등이 가장 심각하고 특히 중국의 주요 산업과 경제 중심지인 상하이는 봉쇄로 인한 충격 여파가 우려된다. 아래 4월 10일 기준 중국 지역별 확진자 수와 화물물동량지수 간 상관 관계를 보면, 3~4월 확진자 증가세가 이어진 지린성, 상하이의 전년 동기 대비 화물물동량지수가 급감한 것을 볼 수 있다. 지난 3월 봉쇄 조치가 이어졌던 지린성의 3월 화물물동량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2% 급감했고 3월 말부터 봉쇄조치가 내려진 상하이는 4월 1~10일에 전년 동기 대비 -81% 급감했다. 상하이 인근지역인 장쑤성과 저장성 또한 4월 1~10일 전년 동기 대비 -41%, -19% 감소한 것을 보면, 한 지역 봉쇄 통제로 인한 여파는 인근 지역에까지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2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아제르바이잔 경제 전망 1도토리 김민성
423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요르단 경제 요약 및 2022년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풍력발전산업, 해상풍력 성장 기대 1도토리 김민성
42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베트남의 LNG 발전 프로젝트 전망 1도토리 김민성
422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분야_영국, 식음료전시회로 본 식품 트렌드 1도토리 김민성
42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대만,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발표 1도토리 김민성
42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베트남 인프라 산업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김민성
42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하얀 황금’ 리튬 생산에 뛰어든 핀란드 1도토리 김민성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이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42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자동차 분야_2026년부터 미국 내 판매 신차 연비규제 강화 1도토리 김민성
42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영국 에너지안보 전략 발표 1도토리 김민성
42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2분기 일본 주요 산업 경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1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독일, 재생에너지로의 ‘완전한 전환’ 위해 주요 에너지정책 개정 예정 1도토리 노민우
42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한-스웨덴 수소파트너십 행사로 알아본 스웨덴 수소 기업 현황 1도토리 노민우
42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2022 한-캐 수소 에너지 포럼으로 알아본 캐나다 수소산업 발전 현황 1도토리 노민우
421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화장품 분야_일본 셀프 에스테틱 업계에서 부는 K-뷰티 열풍 1도토리 노민우
421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틸리티·철강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1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유통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1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제약분야_P_CAB기전 치료제들의 시장 확대에 주목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