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영국 에너지안보 전략 발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37
용량 9.7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영국 에너지안보 전략 발표.pdf 9.7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19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 2050년까지 신규 원전 추진 및 원자력 발전용량 24GW로 확대

- 2030년까지 해상풍력 발전용량 50GW까지 확대

- 북해 천연자원(석유 및 가스)에 대한 활용도 제고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가동을 중단했던 공장들이 재가동되면서 글로벌 에너지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로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이 영향을 받으면서 에너지 가격 또한 급상승하고 있다. 특히 푸틴 대통령이 유럽으로 가는 러시아산 가스 공급을 제한하면서 유럽을 중심으로 에너지 가격 상승이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다. 유럽 가스 가격은 전년대비 200% 이상 상승했고 석탄 가격 또한 100% 이상 올랐다. 급격한 에너지 가격 상승은 영국 일반 가정이 부담해야 할 전기, 가스 등 에너지 비용 상승 문제를 가져온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촉발된 전 세계 에너지 가격 상승과 국가별 에너지 안보에 대한 시급성으로 인해 영국은 2022년 4월 7일 에너지안보 전략(Energy Security Strategy)을 발표했다. 이번 에너지 정책은 영국의 에너지 독립성을 높이는 것으로 목표로 원자력, 풍력,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가스 석유 등을 통한 발전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담고 있다. 

 

에너지안보 전략 발표 배경 및 핵심

 

영국은 2020년 11월 녹색 산업혁명을 위한 10대 중점계획(The 10 Point for a Green Industrial Revolution)을 발표하면서 브렉시트 이후의 독자적인 탄소중립 정책의 방향을 정립하였다. 이후 에너지백서 2020(Energy White Paper)을 편찬해 영국의 장기적인 전략 방향을 설명했다. 그리고 2021년 10월에는 2050 넷-제로 전략 보고서(Net Zero Strategy)를 통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이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탄소중립을 위한 일련의 전략 및 보고서를 통해 영국은 청정 에너지원인 태양열, 풍력 등을 적극 활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대러 제재의 여파로 국내 에너지 수급 상황에 문제를 겪자 화석연료 감축에 대해 재고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영국은 장기적 관점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하고 적정 수준의 에너지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선 청정 에너지원을 사용해야 한다는데 이견이 없다. 다만 에너지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상당 부분 자급자족할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일정 부분 용인할 수밖에 없다는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보리스 총리는 에너지안보 전략을 발표하면서 "외국산 석유 및 가스 수입을 줄인다 하더라도 앞으로 몇 년간은 가정용 난방 등에 석유, 가스가 필요하다"라고 언급하며, 넷-제로 전략이 석유 가스를 즉시 중단하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고 설명한 바 있다.

 

기본적으로 이번 영국 정부의 에너지안보 전략은 고비용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장기적으로 어떤 에너지원을 활용할 것이고 어떻게 하면 외국산 에너지 의존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리고 그 핵심은 원자력, 북해(North sea)에서 생산되는 석유와 가스 그리고 재생에너지, 크게 3가지 에너지원을 중점적으로 개발, 관리하는 것에 있다. 궁극적으로 영국은 2030년까지 소비 전력의 최대 95%를 저탄소 에너지원으로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2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아제르바이잔 경제 전망 1도토리 김민성
423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요르단 경제 요약 및 2022년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풍력발전산업, 해상풍력 성장 기대 1도토리 김민성
42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베트남의 LNG 발전 프로젝트 전망 1도토리 김민성
422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분야_영국, 식음료전시회로 본 식품 트렌드 1도토리 김민성
42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대만,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발표 1도토리 김민성
42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베트남 인프라 산업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김민성
42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하얀 황금’ 리튬 생산에 뛰어든 핀란드 1도토리 김민성
42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이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42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자동차 분야_2026년부터 미국 내 판매 신차 연비규제 강화 1도토리 김민성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영국 에너지안보 전략 발표 1도토리 김민성
42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2분기 일본 주요 산업 경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1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독일, 재생에너지로의 ‘완전한 전환’ 위해 주요 에너지정책 개정 예정 1도토리 노민우
42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한-스웨덴 수소파트너십 행사로 알아본 스웨덴 수소 기업 현황 1도토리 노민우
42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2022 한-캐 수소 에너지 포럼으로 알아본 캐나다 수소산업 발전 현황 1도토리 노민우
421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화장품 분야_일본 셀프 에스테틱 업계에서 부는 K-뷰티 열풍 1도토리 노민우
421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틸리티·철강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1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유통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1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제약분야_P_CAB기전 치료제들의 시장 확대에 주목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