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77
용량 1.3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pdf 1.3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31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12 

 반도체/디스플레이 업황 선도 전방산업인 스마트폰 및 TV 등 세트는 기대 이하의 1Q22 출 하를 기록하며 부품 오더컷 우려 발생 유발  부품사들 역시 하반기 수요 둔화 우려에 이미 사업계획을 하향 조정. 일반 IT 부품은 하반기 Q 감소에서 어려움을 겪을 전망. 하지만 대응적 판가 변화가 가능한 메모리 등 커머디티 부 품은 1) 하반기 계절성 기반 기저효과 성장 (착시) 속 2) 장기 성장을 위한 고객사들의 주문 성장이 지속되며 판가 반등 수혜 누릴 전망  반도체: 다운사이클은 유례없이 완만한 속도로 진행. 공급사들의 수익성 우선 정책에 기반. 미 세공정 한계비용 증가·클린룸 공간 부족으로 23년 이후 공급증가가 불투명. 향후 스마트폰 계절적 수요 성장과 데이터센터 경쟁적 투자구도를 감안 시 업황은 하반기 완만한 개선 예상  디스플레이: 지정학적 리스크 및 중국의 지역봉쇄는 장기 교체주기 제품 수요에 더 큰 타격 발생 (가전, TV 등). 올해 애플XR은 신규 에코시스템 구축과 OLEDoS 개화 견인하며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생성할 전망 표1 22년 테크 이슈 정리 항목 이슈 2022년 상반기 2022년 하반기 산업 결정 요인 기본 가정  감염병 진정세와 함께 각국 정부들의 경제 활성화 및 정책 변화  인플레이션 우려 정점 통과  각 국 정부들의 재정 정책 기대  선진국의 엔데믹과 신흥국 감염 속도 둔화  공급망 병목 현상 완화 기대  인플레이션 우려 둔화  물류 및 공급망 정상화 (수요 회복과 더 빠른 공급 증가)  계절성 기반 경기 회복 지정학적 리스크 (러-우 전쟁)  테크 원자재 수급 이슈  러시아 금융/무역 제재  유럽 위주 공급망 제약  원자재 수급 이슈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  러시아 제재 발동 중이나 테크 전방시장 내 지역 비중이 크지는 않음  동유럽 등 물류 비용 증가 경험 중  전쟁 중단 또는 진정세 예상하나 불확실성 상존  공급업체들의 투자 및 공급계획 하향조정 연중 발생 예상 → 커머디티 부품의 가격 안정화 (및 반등) 중국 지역 봉쇄  중국 제로 코로나 정책  지역 봉쇄 장기화  경기부양책 등장 기대  시안/심천/상해/우시 등 각 도시 봉쇄 기간 당초보다 연장  오프라인 소비와 물류 차질 뚜렷 vs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  중국 내 무증상 환자 수 정체 및 감소 전제 봉쇄책 완화 예상  거주 지역 통행 불편과 물류 정상화 속 하반기 전자제품의 이연 수요 발생 예상  대규모 경제 부양 가능성 낮으나, IT 기기 소비 진작책 등장할 수 있음 자료: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 본 자료의 원본은 2022년 5월 31일 발간된 [2022년 하반기 전망 시리즈 8 – 반도체/디스플레이: 착시+경쟁=긍정적] 임 2022년 6월 21일(화)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 2.0 Meritz Research 3 Part 1 IT 전방시장 전방 수요 – 부진한 1Q22 판매와 나비효과 1Q22 수요 둔화를 직면하고 있는 세트 제조사들은 연간 빌드 계획을 하향 조정하 고 있다. 아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 1Q22 스마트폰, 노트북, 서버 등 IT 완제 품들은 수요 둔화를 경험했다. B2B 및 기업용 수요는 상대적으로 견조했으나, B2C 소비자향은 크게 부진했다. 이와 같은 세트 수요 둔화 과정에서 제조사들은 부품 오더컷을 2Q22 초반에 크게 발생시켰으며, 이런 움직임들이 최근 들어 언론 을 통해 기사화되고 있는 중이다. 역설적으로 소비자향 수요 둔화는 지난해부터 전세계적 문제를 야기했던 공급망 붕괴의 정상화에 일조하는 중이다. 비메모리 업체들은 소비자향 제품 생산 목표를 낮추며 기타 제품 (자동차 등)으로의 일부 생산 믹스 전환을 결정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향후에도 공급부족이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형성되는 중이다. 지난해부터 Capa 증설을 준비한 비메모리 선두권 업체들은 올해 중반부터 신규 주문을 받고 있으며, 중복 주문들은 빠르게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Gartner 반도체 재고 인덱스에 따르면 3Q22부터 반도체 재고는 정상수준으로 완 화될 전망이다. 최근 경기 둔화 우려가 부각되고 있는 만큼, 더블부킹 등 가수요 효과는 올 하반기 중 빠르게 제거되며 글로벌 세트 생산차질을 유발했던 쇼티지 국면은 해소될 전망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2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아제르바이잔 경제 전망 1도토리 김민성
423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요르단 경제 요약 및 2022년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미국 풍력발전산업, 해상풍력 성장 기대 1도토리 김민성
42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베트남의 LNG 발전 프로젝트 전망 1도토리 김민성
422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분야_영국, 식음료전시회로 본 식품 트렌드 1도토리 김민성
42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 분야_대만,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발표 1도토리 김민성
42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베트남 인프라 산업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김민성
42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하얀 황금’ 리튬 생산에 뛰어든 핀란드 1도토리 김민성
42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이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42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자동차 분야_2026년부터 미국 내 판매 신차 연비규제 강화 1도토리 김민성
42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영국 에너지안보 전략 발표 1도토리 김민성
42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2분기 일본 주요 산업 경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독일, 재생에너지로의 ‘완전한 전환’ 위해 주요 에너지정책 개정 예정 1도토리 노민우
42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한-스웨덴 수소파트너십 행사로 알아본 스웨덴 수소 기업 현황 1도토리 노민우
42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2022 한-캐 수소 에너지 포럼으로 알아본 캐나다 수소산업 발전 현황 1도토리 노민우
421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화장품 분야_일본 셀프 에스테틱 업계에서 부는 K-뷰티 열풍 1도토리 노민우
421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틸리티·철강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1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유통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421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제약분야_P_CAB기전 치료제들의 시장 확대에 주목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