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7
용량 629.1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pdf 629.1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0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중국, 한국, 이탈리아 제품이 현지 시장 주도

현지 시장 확대를 위해선 가격경쟁력 외 기능성 강화도 필요

 

 

시장동향

 

합성필라멘트사 직물이 주로 사용되는 스페인 봉제산업의 총부가가치(GVA) 규모는 2015년 86억7천만 유로에서 2017년 93억5천만 유로로 동 기간 중 7.8% 증가했으나, 이 후 하향세로 전환되어 2019년에는 88억8천만 유로로 2017년 대비 5.0% 감소했다(2022년 6월 확인 최신 통계 기준). 2020년 이후 통계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으나, 스페인 제봉산업 생산지수가 2020년 8.0% 하락 후 2021년 8.8% 회복되었음을 감안하면 총부가가치 규모도 유사한 흐름을 이어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스페인 의류 시장 규모는 2016년 242억2천만 유로에서 2019년 250억6천만 유로로 동 기간 중 3.5% 성장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여파로 해당 제품 수요가 일제히 감소하며 시장 규모가 192억8천만 유로까지 23.1% 급락했으나, 2021년 들어 소비가 크게 회복되어 전년대비 15.6% 증가한 222억8천만 유로를 기록했다.

 

2021년 기준, 스페인 전체 의류시장에서 일반 의류와 스포츠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78.2%, 21.8%에 해당한다. 일반 의류 품목 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품은 여성용 의류로 47.3%를 차지하며, 그 뒤를 남성용 의류(47.3%), 유아용 의류(15.9%), 패션 액세서리(장갑/모자/넥타이 등, 5.9%), 속옷 (2.8%)등이 따르고 있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HS코드 5407.61 기준, 스페인의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수입액은 매년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특히, 2020년에는 코로나19 여파로 현지 텍스타일 제품 제조가 감소하며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수입이 전년대비 25.2% 감소한 5720만 유로를 기록했으나, 2021년에는 다시 회복세로 전환되어 7,220만 유로를 거두어 전년대비 26.2% 증가했다. 2022년 1분기 중에는 합성필라멘트의 주재료가 되는 석유화학 원자재 등의 글로벌 가격 급등과 스페인 봉제 산업활동 회복 현상이 맞물리며, 동 제품의 수입가격이 전년대비 146.6% 증가했다.

 

스페인의 최대 수입대상국은 중국으로 2022년 1분기 중 843만 유로를 기록해 전체 수입 중 30.1%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뒤를 한국이 796만 유로로 28.5%를 거두었다. 그 밖에, 이탈리아, 터키 등과 같은 국가의 수입 비중은 같은 기간 각각 17.0%, 8.0%를 기록했다.

 

경쟁동향

 

스페인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합성필라멘트사 직물은 중저가 중국산으로, 주로 일반 기성복 제조 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주로 프리미엄급 고가의 원단을 수입하고 있으나, 동 국가에서 활동 중인 대형 수입유통상이 수입 후 재판매하는 중국산 중저가 제품도 구매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산 제품도 품질대비 우수한 가격경쟁력과 디자인 등으로 현지 바이어들에게 높은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9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멕시코 산업기밀 취급에 관하여 1도토리 노민우
419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굿 푸드 & 와인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시 중 우크라이나 수입 허가 품목 알아보기 1도토리 노민우
418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싱가포르 정보통신전시회(CommunicAsia)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리핀 자동차용 휘발유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으로 변화한 필리핀의 웰빙 트렌드 1도토리 노민우
418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미얀마 유아용품 시장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체코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이탈리아 진단키트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임플란트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브라질 소형 가전제품 시장 1도토리 국준아
417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의약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2022년 중국 폴리우레탄 산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은 일본 드론 산업의 원년이 될 수 있을 것인가 1도토리 국준아
41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주목하라! 1도토리 국준아
41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자기기 사용 확대로 눈 건강에 신경 쓰는 소비자 증가, 아이케어 제품 수요로 연결 1도토리 국준아
417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의 특수강 업계 현황 1도토리 국준아
41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밀 생산강국으로 부상하는 브라질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