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임플란트 시장 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62
용량 1.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임플란트 시장 동향.pdf 1.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인 시장 위축 이후 수요는 회복될 전망

지르코니아 소재 및 테이퍼형 임플란트가 신규 트렌드로 부상

 

 

임플란트 및 치과의료기구 시장동향

 

시장조사기관 IBIS World에 따르면, 미국 내 치과 기자재의 2021년 총매출은 47억 달러이며, 그중 임플란트는 8억 2천만 달러로, 17.6%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치과 방문율이 감소하고 치과 치료 연기가 늘어남에 따라 치과 기자재 시장의 최근 5년 평균 매출은 3.1% 감소했으며, 임플란트 시장의 2021년 매출은 전년 대비 12억 달러(-12%) 감소했다.

 

다만 시장조사기관 Mordor Intelligence는 글로벌 임플란트 시장이 2027년까지 연평균 8.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컨설팅 기업 Grand View Research도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을 11%로 분석함에 따라 임플란트 산업은 코로나19가 감염세가 완화되며 다시 성장세를 보일것으로 전망된다. 동 시장 평가 보고서들은 임플란트 시장의 주요 성장 요인으로 치과 보험 접근성 증가, 치과 기자재 및 기술 발전으로 인한 빠른 치료 시간, 노인 연령층 상승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Grand View Research는 향후 지르코니아(Zirconia) 소재의 임플란트 수요가 증가하여, 2020년 기준 92.3%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차지한 티타늄 소재의 임플란트를 대체해 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지르코니아 임플란트는 티타늄 임플란트에 비해 높은 가격, 약한 강도 등의 단점이 존재하지만, 티타늄 임플란트 대비 더 유사한 색상, 알레르기 완화, 플라크(plaque) 축적 방지, 부식 방지 등의 장점이 있다.

 

임플란트 유형별 트렌드로는 테이퍼형(tapered) 임플란트가 각광받을 전망이다. 산업 전문 리서치 매체인 Graphical Research는 테이퍼형 임플란트 시장이 2028년까지 매년 7.4%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테이퍼형 임플란트의 뛰어난 고정력과 회복기간의 획기적인 단축을 장점으로 분석했다.

 

임플란트 수입 동향 및 수입 규모

 

시장조사기관 IHS Markit에 따르면, HS코드 902129과 그 하위분류에 대한 미국의 2021년 수입액은 3억 2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46.74%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은 스위스, 브라질, 스웨덴 등이며, 이 세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수입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2021년 수입액 중 파키스탄과 이탈리아로부터의 수입액 증가율이 327%와 81%로 가장 높은 증가폭을 보였으며, 미국의 2021년 대한 수입액은 전년 대비 35% 증가한 2,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경쟁 동향

 

의료 연구 및 컨설팅 업체 iData Research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미국 내 임플란트 제조 회사는 47개 이상이다. 이 중 3대 기업은 스위스계 다국적 기업 스트라우만 그룹(Straumann Group), 다국적 지주회사 엔비스타(Envista), 미국계 덴츠플리 시로나(Dentsply Sirona)이며, 동 3개 기업이 총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스트라우만 그룹은 2020년 기준 고가의 임플란트 상품을 주력으로 내세워 미국 임플란트 시장 내 점유율 1위를 차지했고, 저가 임플란트 제조 업체를 지속적으로 인수하며 영향력을 더욱 확장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한 엔비스타는 고가의 임플란트 제품 제조업체인 노벨 바이오케어(Nobel Biocare), 저가 제품 특성 제조사인 임플란트 다이렉트(Implant Direct) 등의 다양한 제조사를 보유하고 있다. 3위를 기록한 덴츠플리 시로나는 저가 임플란트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종합적으로 미국 임플란트 시장은 대형 의료기자제 회사들의 인수 합병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저가부터 고가의 임플란트까지 다양한 품목을 보유한 시장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9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멕시코 산업기밀 취급에 관하여 1도토리 노민우
419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굿 푸드 & 와인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시 중 우크라이나 수입 허가 품목 알아보기 1도토리 노민우
418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싱가포르 정보통신전시회(CommunicAsia)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리핀 자동차용 휘발유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으로 변화한 필리핀의 웰빙 트렌드 1도토리 노민우
418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미얀마 유아용품 시장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체코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이탈리아 진단키트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임플란트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브라질 소형 가전제품 시장 1도토리 국준아
417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의약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2022년 중국 폴리우레탄 산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은 일본 드론 산업의 원년이 될 수 있을 것인가 1도토리 국준아
41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주목하라! 1도토리 국준아
41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자기기 사용 확대로 눈 건강에 신경 쓰는 소비자 증가, 아이케어 제품 수요로 연결 1도토리 국준아
417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의 특수강 업계 현황 1도토리 국준아
41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밀 생산강국으로 부상하는 브라질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