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의약품 시장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44
용량 1.0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의약품 시장동향.pdf 1.0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바이오의약품 성장세 뚜렷

2021년 의약품 총수입액 54.3억 달러로 전년대비 19% 증가

 

시장규모 및 동향

 

대만의 연간 의약품 판매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2021년에는 21억 7,800만 달러로 전년대비 0.9% 소폭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만성 질병 처방약 및 방역 관련 OTC의약품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병원 진료와 수술 건수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대만 의약품은 크게 원료의약품, 완제의약품, 바이오의약품으로 나눌 수 있다. 판매 규모 측면에서 비중이 가장 큰 건 완제의약품으로 2021년 총판매액 기준 75.3%를 차지하였다. 이어서 원료의약품 16%, 바이오의약품 8.7% 로 집계됐다. 한편, 판매액 증감율을 비교해보면 바이오의약품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21년 바이오의약품 판매액은 1억 9천만 달러로 전년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 판매액이 소폭 하락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2021년 8월 대만 제약사 Medigen(高端)이 대만 TFDA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아 코로나19 백신을 대량 공급한 것이 바이오의약품 산업 약진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바이오의약품을 비롯한 바이오의료산업은 대만 정부가 육성하는 혁신산업분야 중 하나다. 대만 정부는 2007년 ‘바이오신약 산업 발전 조례’를 제정한 후 신약, 바이오테크 의료제품, 고부가가치 의료기기의 개발을 위한 투자를 지원하고 조세 혜택도 제공하고 있다. 2022년 1월 1일부터 해당 조례를 ‘바이오의약 산업 발전 조례’로 개정하면서, 지원대상 범위를 재생의학, 정밀의료, 디지털 의료, 신제형 의약품 및 위탁개발생산(CDMO)까지 확대했다.

 

대만은 1995년 3월부터 국민건강보험제도(NHI, National Health Insurance)를 시행중이다. 국민건강보험청(NHIA, National Health Insurance Administration)을 단일보험자로 하는 단일의료보장형식으로, 한국의 국민건강보험과 유사하다. 2022년 기준, NHI 보험보급률은 100%이며 전체 의료기관의 92.4%*가 NHIA와 계약을 맺고 있다. NHIA는 건강보험제도 집행기관이자 동시에 의료서비스 전반의 공급∙관리기관으로서, 의약품 역시 NHIA 관리소관 하에 있다. 2020년 대만의 보험약가 신청 금액은 전년대비 4.4% 증가한 2,159 억 대만달러(약 72억 달러)를 기록했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의약품 수요가 증가하고, 신약의 보험약가 신청이 늘어남에 따라 보건의료 재정지출 역시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NHIA는 보건의료 재정증가에 따른 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2013년부터 약제비 총액 목표 관리제(DET, Drug Expenditure Target)를 시행하고 있다. 기존에는 보험약가를 의료서비스 지출의 일부분으로 다뤘으나, 이를 개별항목으로 분리해 예산을 책정하는 단계에서부터 보험약가를 주요항목으로 두고 관리함으로써 보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DET의 핵심이다. DET 실시 이후 보험적용 의약품의 평균가격이 하락했으며 현재 대만의 의약품 가격은 전세계적으로도 낮은 수준에 속한다. NHIA는 일부 제품을 대상으로 한 약가 조정안을 2022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인하 품목(6,565개) 및 인상 품목(81개)을 합쳐 약가의 평균 감소폭은 약 4.1% 정도이다. 인하 품목에는 약가지출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크레스토(Crestor, 고지혈증 치료제), 플라빅스(Plavix, 항혈소판제), 노바스크(Norvasc, 혈압약) 등 ‘3고(고혈압, 고지혈, 고당뇨)’ 관련 약품이 다수 포함되었으며, 그 중 심혈관약의 인하폭이 8%로 가장 크다. NHIA는 이번 약가 조정을 통해 이미 특허가 지난 지 오래되어 원가가 낮아진 제품들의 약가를 낮추고, 낮춘 비용을 암치료제 등 중대질병 관련 신약의 신규등재에 사용하여 환자의 치료비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NHIA는 이번 약가 조정을 통해 약 74.6억 대만달러의 보험약가 지출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주*: 의료기관별로 대형병원 100%, 개인병원 92.2%, 약국 80.8%가 NHI와 계약을 맺고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3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재료/자재분야_카자흐스탄 폴리에틸렌 필름 시장 동향 1도토리 박민혁
43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통신분야_아르헨티나 광섬유 케이블 시장동향 1도토리 박민혁
43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통신분야_멕시코 네트워크 및 통신장비 시장 동향 1도토리 박민혁
43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2022 상반기 수출실적 및 하반기 전망, 품목별 분석 7도토리 장민환
431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자동차분야_중국을 통해 본 전기차 배터리 리사이클 3도토리 장민환
43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원자재_ 필수 원자재 니켈의 세계 공급망 분석 7도토리 장민환
431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제약/바이오분야_디지털 치료제 기술과 시장동향 1도토리 장민환
431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바이오분야_디지털 치료기기 개발 동향 1도토리 장민환
431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바이오_글로벌 벤처투자가 집중된 6개 바이오 플랫폼 기술 1도토리 장민환
431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조선업분야_자율운항선박 정의 및 기술 동향 1도토리 장민환
43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통신분야_클라우드 보안 인증에 대한 두가지 방식 비교(FedRAMP vs CSAP) 3도토리 장민환
43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자동차분야_친환경소재 패러독스 - LCA 역풍을 우려하는 자동차 경량소재 1도토리 장민환
43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환경분야_배터리 재활용 1도토리 정한솔
430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반도체분야_디램 수요부진 및 반도체 기업 주가 동향 1도토리 정한솔
430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에너지분야_브라질 광물·합금산업 ESG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30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통신분야_중국 IoT 시장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43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자동차분야_중국 자동차 필름 시장 1도토리 국준아
430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미얀마 모발케어 제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30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페루 화장품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30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폴란드 스킨케어 화장품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