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주목하라!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6
용량 1.0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주목하라!.pdf 1.0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소비 주도하고 유행 선도하는 캄보디아 MZ세대

MZ세대 소비 패턴을 보면 캄보디아 시장이 보인다

 

'연간 7%의 경제 성장',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 '아세안에서 가장 젊은 인구'는 캄보디아를 묘사하는 주요 수식어들이다.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25세 이하의 젊은 캄보디아인들은 디지털 기술에 밝고 새로운 상품이나 트렌드에 대한 호기심이 많으며 소셜미디어도 적극 활용한다. 빠른 경제 성장 및 소득 증가 등에 힘입어 급부상한 젊은 중산층은 이제 캄보디아 내에서 소비를 주도하고 유행을 선도하고 있다. 젊은 세대들의 취향이나 기호, 습관 등은 다양한 디지털 경험을 통해 빠르게 형성되고 또 빠르게 변화한다. 얼리어댑터인 이들의 소비 패턴은 다양한 소비자들과 판매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새로운 기술 도입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젊은 소비자에 맞춰 젊어지는 마케팅

 

캄보디아는 젊은 세대들은 여전히 전통을 중시하고 부모 세대를 존중하지만 높은 교육 수준이나 소득 증가 등을 통해 보다 많은 자율성과 권한을 갖게 되었으며, 특히 소비나 구매 결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디지털과 온라인에 아주 강하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각종 소셜미디어를 통해 새로운 브랜드나 문화를 접한 뒤 직접 경험해 보고 이를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전파하는 것에 능숙하다.

 

현지 업계 관계자들도 MZ세대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는 '젊은 마케팅' 구사에 힘쓰고 있다. 현지 온라인 쇼핑몰 기획 담당 Ly씨는 자사 쇼핑몰 이용자 대다수가 최신 기술 및 소셜미디어 사용에 능숙한 10대부터 30대까지의 젊은 고객이며, 이들에게 맞는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화장품 유통업체를 운영 중인 Sok 대표도 소셜미디어나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제품 언박싱 및 실사용 라이브 영상 게시, 모바일 앱 개발 등 젊은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을 주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캄보디아 젊은 소비자들은 K-Pop, K-Drama 등 한국 문화를 비롯한 외국 문화도 적극 소비한다. 프놈펜 도심 공원에는 매일 저녁 K-Pop 동아리가 아이돌 춤을 연습을 하기도 하고 유명 할리우드 영화가 개봉하면 극장으로 몰려든다. 하지만 이렇게 외국 문화를 적극 소비하면서도 자국에 대한 애국심이나 자부심 또한 중시해 자국 상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애정도 유지하고 있다. 캄보디아 현지 유명 커피 프랜차이즈인 Brown Coffee and Bakery가 글로벌 커피 전문점 스타벅스의 기세에도 밀리지 않고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이유이다.

 

변화하는 쇼핑 습관 및 소비자 행동

 

한편 캄보디아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따라 캄보디아 소비자들의 쇼핑 습관도 달라지고 있다.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쇼핑몰, 슈퍼마켓, 편의점 등 현대적 유통채널보다는 전통시장을 즐겨찾는다. 특히 현대적 유통채널에 익숙하지 않은 부모 세대에게 최신 쇼핑몰이나 슈퍼마켓을 방문, 쇼핑하는 것은 다소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그런 장소에 익숙한 젊은 세대들이 이 간극을 좁혀주는 역할을 한다. 주말이면 젊은 자녀들의 주도로 온 가족이 Aeon, Chip Mong 등의 쇼핑몰을 방문해 인증샷을 찍고 시식 코너에서 신제품을 맛보기도 한다. 이런 기회를 활용하고자 주말이나 연휴 기간 신제품 홍보를 위한 집중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업체들도 많다.

 

부동산 컨설팅업체 Knight Frank가 캄보디아 소비자들의 쇼핑몰 방문 실태에 대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응답자의 47%가 한 달에 한 번꼴로 쇼핑몰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에 한 번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21%, 일주일에 두 번 이상 10%, 3개월에 한 번은 8%로 나타났다. 방문 목적에 대해 외식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39%를 기록했으며, 영화·게임·오락 29%, 상품 구매 21%, 구경 9%, 모임 8% 등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 84%가 쇼핑몰 방문시 평균 1~3시간 가량 머무른다고 밝혔으며, 한 번 방문 시 평균 지출액은 11~30달러라고 응답한 사람이 69%, 31~50달러는 15%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자의 74%가 주말인 토요일과 일요일에 쇼핑몰을 찾는 것을 선호한다고 응답했으며, 시간대별로는 주로 오후(41%)나 저녁(35%) 시간대에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9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멕시코 산업기밀 취급에 관하여 1도토리 노민우
419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굿 푸드 & 와인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시 중 우크라이나 수입 허가 품목 알아보기 1도토리 노민우
418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싱가포르 정보통신전시회(CommunicAsia)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리핀 자동차용 휘발유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으로 변화한 필리핀의 웰빙 트렌드 1도토리 노민우
418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미얀마 유아용품 시장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체코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이탈리아 진단키트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임플란트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브라질 소형 가전제품 시장 1도토리 국준아
417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의약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2022년 중국 폴리우레탄 산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은 일본 드론 산업의 원년이 될 수 있을 것인가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주목하라! 1도토리 국준아
41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자기기 사용 확대로 눈 건강에 신경 쓰는 소비자 증가, 아이케어 제품 수요로 연결 1도토리 국준아
417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의 특수강 업계 현황 1도토리 국준아
41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밀 생산강국으로 부상하는 브라질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