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64
용량 1.9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pdf 1.9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통신 인프라 개선과 함께 핸드폰 사용자 확대

코로나19 이후 핸드폰 수입 규모 증가

 

캄보디아 인구 전체 1,671만 명중 47.8%가 25세이하인 만큼 젊은 국가로, 핸드폰 등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다. 전체 인구 중 25.1%만 도심 거주자임을 고려할 때, 향후 캄보디아 내 5G 등 인터넷 인프라 확대되면 관련 시장 성장이 예상된다.

 

통신 인프라 개선으로 성장하는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 동향

캄보디아 모바일 사용자(유심 사용자 기준)은 약 2,206만 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약 130%에 이른다. 사용자가 통신사 별로 다른 유심을 사용하는 경우도 빈번하지만, 유선 전화 보급률이 낮아 캄보디아 내에서 핸드폰 사용자가 많기 때문이다. 인터넷 사용자도 약 1,344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78.8%에 이른다. 더욱이 모바일 사용자와 인터넷 사용자는 2021년 대비 각각 2.2%, 1.3% 성장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모바일 및 인터넷 사용자 시장 확대와 함께 통신인프라도 개선되고 있다. 2022년 평균 모바일 인터넷 연결 속도는 16.51Mbps로 2021년 대비 5.16Mbps 증가한 수치이다. 데이터 사용 비용 역시 감소했는데, 세계은행에 따르면 2019년 데이터 비용은 기가바이트 당 0.13달러로, 저소득 및 중하위 소득 국가 중 데이터 비용 가장 저렴한 국가 중 하나이다. 캄보디아 내 통신사 cell card, Smart, Metfone, Seatel 등의 가격 경쟁과 인프라 구축 경쟁을 통해 캄보디아 4G 보급률은 인구 대비 80%에 이르고, Smart와 Cell card 등 주요 통신사는 5G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코로나 19 이후 증가한 핸드폰 수입 동향

캄보디아의 핸드폰(HS코드 851712) 수입 규모는 2021년 1,883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5% 증가하였다. 캄보디아 핸드폰 수입은 소규모로 수입되었으나, 코로나 19 이후 수입 규모가 증가했으며 특히 락 다운 및 캄보디아 내 코로나 19 정도가 확산이 심했던 2021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코로나 19 이후 E-commerce가 확대되면서 자연스레 핸드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주요 수입 국가는 베트남, 중국, 홍콩, 한국, 미국이며 이 중 對베트남 수입이 전체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캄보디아 핸드폰 경쟁 동향

2019년 2022년 5월 캄보디아 핸드폰 제조사 별 점유율은 Apple, Oppo, Samsung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한다. 47.35%를 차지하는 애플의 경우, 캄보디아 공식 애플 스토어는 없지만 공식 판매점(Authorized Reseller)을 통해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미국 애플 스토어 대비 20% 비싼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캄보디아 내 애플의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 비싼 가격에도 선호도가 높다. OPPO는 중국 휴대전화 브랜드로 $140 ~ $1,200로 다양한 제품 군을 바탕으로 점차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 점유율을 높여왔다. Samsung도 다양한 가격대로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 점유율 3위를 기록하고 있다. 핸드폰 운영 시스템은 안드로이드 52.2%, iOS 47.35%로 양분 되어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5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금리인상 및 한국의 정책대응 1도토리 조현상
3752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바이든 행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 및 글로벌 기업 동향 7도토리 조현상
37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 공유·연계를 통한 디지털 사회 발전 및 시사점 3도토리 조현상
375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핵융합 R&D 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374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포용적 혁신성장 기반 선도적 선진경제 확립을 위한 정책방향 1도토리 노민우
374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및 주요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노민우
37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中,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공장 가동 중단, 글로벌 공급망 타격 1도토리 이지훈
37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삼성전자, 6세대 이동통신 비전 제시하며 리더십 추구 1도토리 이지훈
37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현황 및 지원사업 분석 3도토리 이지훈
37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신용평가(TCB) 기반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진단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7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구글 2022 HW 생태계 확장 본격화 1도토리 이지훈
37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의핵심 과제 및 정책 제언 3도토리 이지훈
37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D.N.A 기반 스마트 양식 정책 방향과 기술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7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건설업 ESG 경영 실태와 대응 방안 3도토리 이지훈
3739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윤 정부, 균특회계 개편에 대한 정책제언 1도토리 이지훈
373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오픈뱅킹시스템의 성장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3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포스트코로나 시대 여행보험시장 전망 및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보험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김민성
373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중국의 반도체 제조 설비 기술 개발 동향 3도토리 김민성
3734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동향] 중국 14・5 계획 바이오 기술혁신 분석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