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48
용량 1.9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pdf 1.9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통신 인프라 개선과 함께 핸드폰 사용자 확대

코로나19 이후 핸드폰 수입 규모 증가

 

캄보디아 인구 전체 1,671만 명중 47.8%가 25세이하인 만큼 젊은 국가로, 핸드폰 등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다. 전체 인구 중 25.1%만 도심 거주자임을 고려할 때, 향후 캄보디아 내 5G 등 인터넷 인프라 확대되면 관련 시장 성장이 예상된다.

 

통신 인프라 개선으로 성장하는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 동향

캄보디아 모바일 사용자(유심 사용자 기준)은 약 2,206만 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약 130%에 이른다. 사용자가 통신사 별로 다른 유심을 사용하는 경우도 빈번하지만, 유선 전화 보급률이 낮아 캄보디아 내에서 핸드폰 사용자가 많기 때문이다. 인터넷 사용자도 약 1,344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78.8%에 이른다. 더욱이 모바일 사용자와 인터넷 사용자는 2021년 대비 각각 2.2%, 1.3% 성장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모바일 및 인터넷 사용자 시장 확대와 함께 통신인프라도 개선되고 있다. 2022년 평균 모바일 인터넷 연결 속도는 16.51Mbps로 2021년 대비 5.16Mbps 증가한 수치이다. 데이터 사용 비용 역시 감소했는데, 세계은행에 따르면 2019년 데이터 비용은 기가바이트 당 0.13달러로, 저소득 및 중하위 소득 국가 중 데이터 비용 가장 저렴한 국가 중 하나이다. 캄보디아 내 통신사 cell card, Smart, Metfone, Seatel 등의 가격 경쟁과 인프라 구축 경쟁을 통해 캄보디아 4G 보급률은 인구 대비 80%에 이르고, Smart와 Cell card 등 주요 통신사는 5G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코로나 19 이후 증가한 핸드폰 수입 동향

캄보디아의 핸드폰(HS코드 851712) 수입 규모는 2021년 1,883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5% 증가하였다. 캄보디아 핸드폰 수입은 소규모로 수입되었으나, 코로나 19 이후 수입 규모가 증가했으며 특히 락 다운 및 캄보디아 내 코로나 19 정도가 확산이 심했던 2021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코로나 19 이후 E-commerce가 확대되면서 자연스레 핸드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주요 수입 국가는 베트남, 중국, 홍콩, 한국, 미국이며 이 중 對베트남 수입이 전체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캄보디아 핸드폰 경쟁 동향

2019년 2022년 5월 캄보디아 핸드폰 제조사 별 점유율은 Apple, Oppo, Samsung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한다. 47.35%를 차지하는 애플의 경우, 캄보디아 공식 애플 스토어는 없지만 공식 판매점(Authorized Reseller)을 통해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미국 애플 스토어 대비 20% 비싼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캄보디아 내 애플의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 비싼 가격에도 선호도가 높다. OPPO는 중국 휴대전화 브랜드로 $140 ~ $1,200로 다양한 제품 군을 바탕으로 점차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 점유율을 높여왔다. Samsung도 다양한 가격대로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 점유율 3위를 기록하고 있다. 핸드폰 운영 시스템은 안드로이드 52.2%, iOS 47.35%로 양분 되어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9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멕시코 산업기밀 취급에 관하여 1도토리 노민우
419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굿 푸드 & 와인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시 중 우크라이나 수입 허가 품목 알아보기 1도토리 노민우
418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싱가포르 정보통신전시회(CommunicAsia)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리핀 자동차용 휘발유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으로 변화한 필리핀의 웰빙 트렌드 1도토리 노민우
418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미얀마 유아용품 시장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체코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이탈리아 진단키트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임플란트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브라질 소형 가전제품 시장 1도토리 국준아
417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의약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2022년 중국 폴리우레탄 산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은 일본 드론 산업의 원년이 될 수 있을 것인가 1도토리 국준아
41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주목하라!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자기기 사용 확대로 눈 건강에 신경 쓰는 소비자 증가, 아이케어 제품 수요로 연결 1도토리 국준아
417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의 특수강 업계 현황 1도토리 국준아
41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밀 생산강국으로 부상하는 브라질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