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전자기기 사용 확대로 눈 건강에 신경 쓰는 소비자 증가, 아이케어 제품 수요로 연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9
용량 1.7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전자기기 사용 확대로 눈 건강에 신경 쓰는 소비자 증가, 아이케어 제품 수요로 연결.pdf 1.7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아이케어 식품으로 블루베리와 루테인 인기...다만, 건강식품은 인증의 벽을 넘어야

아이케어 기기 시장규모, 2020년, 2021년에 이어 꾸준히 확대 전망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사용과 함께 눈 건강에 신경 쓰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이전에는 노화로 시력 저하를 느끼기 시작한 40대 이후의 소비자가 중심이었지만, 최근 '스마트폰 노안'이라는 단어까지 생겨날 정도로 나이를 불문하고 눈에 대한 건강의식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2020년 이후 코로나19 사태를 배경으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택배 수요, 눈 건강 수요 등 각종 새로운 수요가 생겼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PC 등 전자기기 사용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눈의 피로를 느끼는 소비자는 아이케어(Eye care) 제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아이케어 제품으로서 인지도가 높아지는 블루베리, 루테인

 

최근 아이케어 제품으로 자리 잡은 것이 블루베리와 루테인을 원료로 한 건강식품이다. 블루베리의 효능은 일반 소비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영양제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다. 2020년 블루베리 건강식품 시장 규모는 200억 엔 안팎(소매 기준, 후지경제 데이터)으로 추정되며, 아이케어 제품(건강식품) 시장의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루테인은 2015년에 시작된 '기능성 표시 식품제도'에 의해 주목받게 된 아이케어 제품으로, 콘트라스트 감도(흐릿함 완화, 선명하게 보이도록 돕는 기능)와 같은 시각 기능을 돕는 효능이 있다. 2020년 루테인 건강식품 시장 규모는 아이케어 제품 시장의 약 43%, 145억엔 안팎(후지경제 데이터)으로 예측된다.

 

루테인 제품 중 가장 인지도가 높은 제품은 FANCL사의 엔킨(2,160엔/30일분)이다. 판매가 시작된 2015년 6월부터 2021년 1월까지 1,700만 개가 판매되었으며, 대히트 제품으로 자리잡았다.

 

일본 아이케어 제품시장에는 건강식품 제조사뿐만 아니라 의료기기 제조사도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콘택트 렌즈 메이커인 'MENICON'은 2020년 12월에 '目にサプリメント(제품명:눈 영양제)' 라는 제품(6종)을 출시했다. 여성 소비자를 겨냥하여 가방에 넣어 다닐 수 있는 패키지 디자인을 채택했으며, 판매 가격은 1,080엔(20일치)이다. 이외에도 'BAUSCH LOMB JAPAN'이 루테인을 배합한 건강식품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일본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에 등장한 한국산 아이케어 기기

 

2021년 아직 일본 시장에서 판매실적이 없는 한국의 고가 기기(4만엔 이상)가 Makuake(일본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에서 1억751억 엔의 펀딩을 받았다. 해당 기기는 눈 근육을 단련시키는 트레이닝 기기 'Otus'로, 아이케어 제품으로는 최초로 1억 엔이 넘는 펀딩을 받은 제품이 됐다. 목표 금액을 달성한 역대 제품 15,691개 제품(2022.6.8 기준) 중 29번째로 높은 펀딩액을 기록했다.

 

Otus는 2,476명으로부터 펀딩을 받아 2022년에 업그레이드된 제품을 출시하며 소비자에게 7월부터 발송 예정이다. 펀딩에 참가한 소비자들은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시력 저하를 걱정하고 있으며, '눈의 피로를 줄이고 싶다', '짧은 시간에 매일 훈련할 수 있는 기기를 찾고 있었다'는 등의 댓글을 펀딩 사이트에 남기고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9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멕시코 산업기밀 취급에 관하여 1도토리 노민우
419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굿 푸드 & 와인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시 중 우크라이나 수입 허가 품목 알아보기 1도토리 노민우
418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싱가포르 정보통신전시회(CommunicAsia)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리핀 자동차용 휘발유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으로 변화한 필리핀의 웰빙 트렌드 1도토리 노민우
418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미얀마 유아용품 시장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체코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이탈리아 진단키트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임플란트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브라질 소형 가전제품 시장 1도토리 국준아
417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의약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2022년 중국 폴리우레탄 산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은 일본 드론 산업의 원년이 될 수 있을 것인가 1도토리 국준아
41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주목하라! 1도토리 국준아
41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자기기 사용 확대로 눈 건강에 신경 쓰는 소비자 증가, 아이케어 제품 수요로 연결 1도토리 국준아
417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의 특수강 업계 현황 1도토리 국준아
41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밀 생산강국으로 부상하는 브라질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