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밀 생산강국으로 부상하는 브라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6
용량 1.0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밀 생산강국으로 부상하는 브라질.pdf 1.0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22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브라질 밀생산은 대두, 옥수수, 쌀 등에 비해 뒤쳐졌으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증가세

히우그란지두술, 파라나 등 남부지역이 80~90%의 밀을 생산

고온건조한 브라질 중부지역에 재배할 수 있는 밀 종자도 개발 중

 

브라질 밀 생산 개요

 

브라질 남부 3개주인 히우그란지두술(Rio Grande do Sul), 산타카타리나(Santa Catarina), 파라나(Paraná)는 브라질 밀 생산의 90%를 담당하는데 밀은 10~19ºC의 상대적으로 차가운 지역에서 잘 자라기 때문이다. 다만, 품종 개량 덕분에 상파울루, 미나스제라이스 등 중부지역과 마토그로쑤, 고이아스, 바이아 등의 고온건조한 세하두 지역들도 밀을 재배하기 시작했다. 브라질에서 밀 파종은 보통 5~6월에, 수확은 10~11월에 실시한다. 아시아에서 처음 재배하기 시작한 밀은 1530년 포르투갈인에 의해 브라질에 도입된다. 1800년대 초 '녹병(Rust)'에 의해 브라질 밀은 거의 멸종하였으나 1967년부터 연방정부가 밀 재배를 관리함에 따라 남부 3개주를 따라 경작지가 넓어졌다. 당시 연방정부는 밀을 재배하는 농가에 보조금을 지불하고 일정량을 매입해 주었다. 다만, 정부의 밀 산업 지원제도가 사라지자 밀 재배면적은 1968년 391만 헥타르에서 1995년 100만 헥타르로 감소하고 아르헨티나 등 수입산 밀이 많이 유입되기 시작했다. 메르코수르가 출범하여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등 역내국 제품에 부과되는 관세 인하도 수입산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참고로 아르헨티나는 브라질 밀 수입의 약 70~80%를 차지한다. 

 

브라질 식품공급공사(Conab)에 따르면 브라질은 2021년 770만 톤의 밀을 생산하고 620만 톤을 수입하였으며 2022년 생산량은 79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브라질의 밀 수입 의존도는 약 60%에 달한다. 상품·금융 컨설팅 회사인 StoneX는 2022년 브라질 밀 경작 면적이 2022년에 비해 20.6% 늘어난 340만 헥타르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브라질은 곡물 경작에 좋은 날씨·토지를 보유하고 있기에 남부 등 일부 지역은 3모작이 가능하다. 파라나나 히우그란지두술의 농가들은 옥수수를 경작하고 나서 대두를 파종하기 전에 밀을 재배한다. 아직 생산 원가가 러시아, 우크라이나, 미국 등 경쟁국에 비해 높아 밀을 재배하기를 망설이는 브라질 농가들이 많은데 밀 국제 가격이 높은 상태로 유지된다면 많은 농가들이 밀을 재배하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 사람들은 빵, 비스켓, 파스타 등을 많이 소비하는데 인구증가, 중산층 소득증가에 따른 밀 소비량 증가도 현지 생산을 견인할 것이다. 밀은 사료의 원료로 투입되기에 축산업이 발달하면 밀 수요가 늘어난다. 주로 품질이 낮은 밀이 사료 원료로 사용된다. 

 

브라질 밀이 주목받는 이유

 

1)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전 세계 밀 수출의 25~30%를 담당하는데 러시아 농기업들은 서구의 제재로 수출에 지장을 받고 있으며, 우크라이나도 농지 상당 비율과 흑해 항만이 교전 지역에 있기 때문에 수출이 어려운 상태다. 브라질 밀은 원가가 경쟁국에 비해 높아 생산량이 많지 않았으나 밀 국제가격이 대폭 상승하자 경제성이 생겼다. 히우그란지두술의 대표적인 협동조합인 코트리자우(Cotrijal)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밀 국제가격이 높아져 많은 농가들이 겨울철에 재배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상파울루 주립대학교(CEPEA/ESALQ-USP) 연구원인 마우루 오사키(Mauro Osaki)는 "2015/16~2019/20년 밀 생산 데이터를 분석하였는데 러시아 62달러/톤, 우크라이나 96달러/톤에 비해 브라질의 톤당 생산원가는 177달러로 높았다"고 발표했다. 전쟁으로 인한 높은 밀가격은 브라질 농가들이 점차 삼모작의 한 차례로 밀을 재배하는 것을 유도할 것이다. 

 

2) 이상기온 등

이상 기온으로 미국, 아르헨티나, 인도, 중국 등 주요국의 밀 생산도 차질을 빚고 있다. 인도는 이상 기후로 온도가 높아져 밀 경작량이 줄어들자 2022년 5월 16일 밀 수출을 금지하였다. 인도 농가들은 '신용장이 이미 발행된 건'이나 '특정국가가 식량안보를 위해 인도에 공급을 특별히 요청한 건'을 제외하고는 밀을 수출할 수 없다. 아르헨티나의 밀 경작 면적도 2021년 680만 헥타르에서 2022년 630만 헥타르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비 증가, 밀의 대체재인 보리단가 상승, 내부 정치적 불안성 등이 아르헨티나 밀 생산 감소를 이끌었다. 미국과 중국 등도 2021년 이상기후로 밀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9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멕시코 산업기밀 취급에 관하여 1도토리 노민우
419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굿 푸드 & 와인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시 중 우크라이나 수입 허가 품목 알아보기 1도토리 노민우
418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싱가포르 정보통신전시회(CommunicAsia)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리핀 자동차용 휘발유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으로 변화한 필리핀의 웰빙 트렌드 1도토리 노민우
418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미얀마 유아용품 시장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체코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이탈리아 진단키트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임플란트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브라질 소형 가전제품 시장 1도토리 국준아
417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의약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2022년 중국 폴리우레탄 산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은 일본 드론 산업의 원년이 될 수 있을 것인가 1도토리 국준아
41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주목하라! 1도토리 국준아
41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자기기 사용 확대로 눈 건강에 신경 쓰는 소비자 증가, 아이케어 제품 수요로 연결 1도토리 국준아
417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의 특수강 업계 현황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밀 생산강국으로 부상하는 브라질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