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이차전지/스몰캡분야_이차전지 산업: 양극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71
용량 2.18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이차전지_스몰캡분야_이차전지 산업_양극재.pdf 2.1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19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29 

< 목 차 >

1. 양극재 가격은 오늘도 상승 중

 

2. 니켈 가격 상승으로 하이니켈 한국 양극재 업체들 경쟁력 약화? Nope!!

 

3. 하이니켈 수요 여전히 견조. 하이니켈 양극재 업체들 실적 호조 전망

 

4. 셀 업체들의 양호한 실적은 소재업체들에게도 긍정적

 

< 기업분석 >

에코프로비엠(A247540

 


 

양극재 가격은 오늘도 상승 중 그린인플레이션,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공급 차질, 인도네시아 공급 차질 등 2 차전 지 생산에 필요한 리튬,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등의 가격 상승이 부담스러운 수준까지 지속되고 있다. 2021 년 평균 가격이 톤당 13 만위안이었던 탄산리튬(Li2CO3, 전해액과 양극재의 주요 원재료)가격은 2022 년 4 월 282% 상승한 49.6 만위안에 거래되고 있으 며, 삼원계 양극재(NCA, NCM)의 주 원재료인 니켈, 코발트, 망간도 2021 년 평균 가 격보다 각각 78%, 56%, 27% 상승한 수준이다.리튬은 배터리 충방전시 에너지 이동을 매개하는 이차전지 양극재 및 전해액(전해질) 의 핵심 소재이다. 생산 방식은 주로 원광석(스포듀민)을 제련하거나 염수에서 추출하 는 방식으로 탄산리튬(Li2CO3)을 정제해 생산하며, 글로벌 탄산리튬의 60%는 스포듀 민을 제련해서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제된 탄산리튬을 추가 가공하여 수산화리튬(LiOH)을 생산하며, 수산화리튬은 고용량, 고출력 배터리에 사용되는 하이니켈 양 극재에 사용되고 있다2021 년 기준 국가별 리튬(광산 및 염호) 매장량은 칠레가 44%로 가장 많으며, 호주 22%, 아르헨티나 9% 등이며, 글로벌 리튬 최대 생산국은 호주, 칠레, 볼리비아 등이다. 생산된 리튬의 89%는 중국으로 수출돼 배터리 소재용으로 가공되어 전세계 배터리 업 체들에게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은 2021 년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대비 124% 증가한 299 만대(글로벌 비중 46%)를 기록하면서 극심한 공급 부족 사태를 겪 었으며, 2021 년 하반기부터 리튬 가격이 급등하면서 2022 년 4 월에는 톤당 49.6 만 위 안으로 전년대비 458% 급등한 상황이다.니켈은 리튬이온 2 차전지의 용량과 출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소형전지에서 주로 사용되는 LCO(LiCoO2)에서 자동차용 전지는 하이니켈 양극재(NCM, NCA)로 진화 하면서 니켈의 전기차에서의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삼원계 양극재는 Co(코발트)대 비 단가가 1/2 ~ 1/3 수준인 니켈 함량을 높이면서 단가도 낮추고, 고용량화에 대응 중 (최근 니켈 가격 급등에도 톤당 가격은 코발트 8 만불, 니켈 2 만불 대)에 있다. 2021 년 글로벌 니켈 매장량은 9,400 만톤으로 추정되며, 인도네시아, 호주, 브라질 등 이 주요 매장지로 알려져 있다. 니켈은 글로벌 사용량의 70%가 스테인리스 스틸 제조 에 사용되고 있으며, 배터리용으로는 과거 5% 내외가 사용됐지만, 전기차 판매량 급증 에 따라 2021 년 기준으로는 배터리가 글로벌 니켈 수요의 15%를 차지한 것으로 추정 된다. 배터리에 사용되는 Class1 니켈(니켈 99.8% 이상 함유)은 주로 러시아, 캐나다, 호주에 매장돼 있고, 러시아 노르니켈사는 배터리 등급 니켈의 17%를 공급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어 최근 니켈 가격 급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2022 년에는 인도네시 아 NPI(니켈선철, Nickel Pig Ion)의 확장으로 공급 증가가 예상되지만, 노르니켈사의 공급 차질 가능성, 인도네시아 NPI 공장의 초기 수율 문제 등으로 니켈가격의 방향성 을 예단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9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멕시코 산업기밀 취급에 관하여 1도토리 노민우
419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굿 푸드 & 와인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시 중 우크라이나 수입 허가 품목 알아보기 1도토리 노민우
418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싱가포르 정보통신전시회(CommunicAsia)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리핀 자동차용 휘발유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으로 변화한 필리핀의 웰빙 트렌드 1도토리 노민우
418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미얀마 유아용품 시장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체코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이탈리아 진단키트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임플란트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브라질 소형 가전제품 시장 1도토리 국준아
417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의약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2022년 중국 폴리우레탄 산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은 일본 드론 산업의 원년이 될 수 있을 것인가 1도토리 국준아
41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주목하라! 1도토리 국준아
41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자기기 사용 확대로 눈 건강에 신경 쓰는 소비자 증가, 아이케어 제품 수요로 연결 1도토리 국준아
417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의 특수강 업계 현황 1도토리 국준아
41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밀 생산강국으로 부상하는 브라질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