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정유/화학분야_ESG시야로 본 책임투자 전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44
용량 3.32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정유_화학분야_ESG시야로 본 책임투자 전략.pdf 3.3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2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64 

< 목 차 >

I. 넷제로, 얼마나 진심이십니까?

1. 들어가며

2. 넷제로, 얼마나 진심이십니까?

3. 사회 이슈

4. 환경 이슈

5. 정유/화학 ESG 평가 결과

6. 책임투자 전략

 

II. ESG, 정유/화학에 “중립/긍정적”

 


 

1. 들어가며 정유·화학산업은 좌초자산? ESG시야로 투자하는 법 [한화리서치센터]  정유·화학사가 직면한 중요한 지속가능 이슈는 기후변화 대응 및 장기 저탄소 발전 전략임. 이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은 필수  정유·화학사가 앞으로 기후변화 이슈를 어떻게 대응하고 극복할 수 있는지 사업전략을 점검해보고 전망을 해보는 것이 훨씬 더 중요  금융안정위원회(FSB), 녹색금융협의체(NGFS) 등 국제기구와 글로벌 투자자들은 기업에 TCFD 가이드라인 적용을 권고  1.5℃ 시나리오에 연계해 리스크 및 기회를 점검하고 미래 자산가치와 수익변화를 예측하여 중장기 사업전략에 반영  우리나라 제조업 중 좌초자산으로 분류될 수 있는 산업(정유화학, 자동차, 철강 등) 모두가 좌초자산? 무조건 투자기피가 답이 아님. 장기투 자를 전제로 하는 ESG는 무조건 특정 산업을 배제하고 보는 네거티브 전략보다 ESG 통합전략을 당연시 하는 시대.  결국, ESG 투자는 넷제로 이행을 위해 사업 전환을 얼만큼 진정성을 가지며, 빨리 달성 할 수 있는 기업을 발굴하는 것이 핵심 Sabin Center에 따르면, 기후변화 관련 소송은 최근 급증(1984-2014년까지 누적 약 800건  2015-2020까지 약 1,550건)  주요 에너지 기업(ExxonMobil/Chevron/Shell/BP/TotalEnergies)은 기후변화 관련 소송 위기에 직면 - 2021.06 헤이그 법원은 Shell에게 탄소배출 저감을 요구(정부가 아닌 민간기업에 기후변화 책임을 물은 첫 판결) - 2022.03 Shell과 TotalEnergies는 그린워싱을 근거로 행동주의투자자들에게 피소  소송 근거는 1) 불분명한 Net zero 실천 전략, 2) 석유/가스 위주의 사업구조 지속, 3) 무분별한 친환경 마케팅 전략 → 파리협정에 부합하는 배출목표(2030년까지 2019년 수준 대비 45% 감축) 권고(Shell은 애초 2030년까지 20%축소 의지 표명)  수출입은행, SK E&S의 바로사 가스전 사업 금융지원 보류  국내외 환경단체는 SK E&S가 내세운 친환경 이미지에 대해 의문 제기 및 그린워싱이라 주장하며 소송 커버리지 기업 모두 넷제로 계획을 수립  그 중 SK이노베이션은 파리협정에 부합하는 기후시나리오 및 넷제로 이행전략을 수립  최근 SEC에서도 논란이 많은 Scope3까지 산정, 공시를 권고  운영단계보다 Upstream과 DownStream 비중이 절대적으로 많은 산업특성 상 넷제로 이행을 위해서는 Scope3 까지 포함하여 달성하려는 노력은 중요하며, 최근 넷제로 전략에 대한 그린워싱 및 소송까지 이어지는 경향이 두드러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9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멕시코 산업기밀 취급에 관하여 1도토리 노민우
419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굿 푸드 & 와인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시 중 우크라이나 수입 허가 품목 알아보기 1도토리 노민우
418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싱가포르 정보통신전시회(CommunicAsia)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리핀 자동차용 휘발유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으로 변화한 필리핀의 웰빙 트렌드 1도토리 노민우
418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미얀마 유아용품 시장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체코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이탈리아 진단키트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임플란트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브라질 소형 가전제품 시장 1도토리 국준아
417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의약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2022년 중국 폴리우레탄 산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은 일본 드론 산업의 원년이 될 수 있을 것인가 1도토리 국준아
41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주목하라! 1도토리 국준아
41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자기기 사용 확대로 눈 건강에 신경 쓰는 소비자 증가, 아이케어 제품 수요로 연결 1도토리 국준아
417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의 특수강 업계 현황 1도토리 국준아
41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밀 생산강국으로 부상하는 브라질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