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이차전지/석유화학분야_관련 주 기업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34
용량 2.2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이차전지_석유화학분야_관련 주 기업분석.pdf 2.2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8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31 

< 목 차 >

1) LG에너지솔루션 (373220) 

 

2) 엘앤에프 (066970)

 

3) SKC (011790)

 

4) 나노신소재 (121600)

 

5) 포스코케미칼 (003670)

 

6) 천보 (278280) 

 


 

2023년EV배터리Cell 공급 부족 시점은 다가오고, 국내/외대량 생산의경험치가누적된동사의사업 경쟁력재부각  차량용 반도체 공급차질 완화 기조, 낮아진 차량 재고 등의 전방 시장의 변수를 고려, 올 하반기 OEM/Cell 기업들의 생산 정상화 가능  동사는 원통형 전지와 파우치 전지의 Two-Track 전략 유효, 우선순위는 No.1 고객사향 원통형 전지  수요 가시성이 가장 높은 해당 고객사는 2030년 2천만대 생산 가이던스를 제시, 기타 OEM대비 공격적 계획 보유 고객사의 수요에 맞춰 동사는 연간 원통형 전지 생산규모를 20Gw씩 증가하여 시장 선도 2022년Mobility 기업간시장 지배력차별화국면에서동사는1등 고객사와파트너쉽강화로차별화된성장 시현  차량용 반도체 공급 차질 장기화에 전방 OEM들의 EV 생산차질, 또한 관련 Cell 기업들의 출하 가이던스 하향 조정  동사는 1등 고객사 보유 효과로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경쟁사들 대비 차별화된 이익 시현 중 투자의견Buy, 적정주가68만원으로상향 제시(CATL 대비 멀티플할증 유지하나연간 이익 추정치상향)  동사는 22.1월 국내 증시 상장 이후 중국 경쟁사 대비 고평가 우려는 분기/연간 단위로 주가 재평가 진행  중장기 동사의 사업 경쟁력이 경쟁사 대비 우위 구간으로 판단하는 배경은 (1) No.1 고객사와 동행하는 기술 개발 역량, (2) 대량 양산의 누적된 경험치, (3)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서 거점별 생산site를 보유로 시장 선점고객사의선순환으로발생하는이익 차별화, 그리고단결정양극재실적 기여 발생으로실적 추정치추가 상향 가능  동사는 LG에너지솔루션원통형 전지 No.1 양극재 출하, LG에너지솔루션의생산capa 확대에 동사의 출하량 증가  25년 LG에너지솔루션의원통형 전지 150Gw 생산capa에 맞춰동사는 20만톤 이상의 생산capa 확보 계획  2022년 하반기 동사는 경쟁사들과의이익/주가 차별화→ (1) 최종 고객사 Tesla의 생산량 확대, (2) 신제품 단결정 양극재 테스트물량 출하, 23년 매출 발생, (3) 신규 파트너쉽 발생 가능성(OEM향직접 판매 및 Recycling 사업) EV배터리/양극재공급차질구간 도래하며동사는P 결정력보유 및 신규 사업이 가시화될2024년실적 추정치상향  최종 고객사 전지 내재화 전략의 나비효과: 소재 조달(기술력/양산력이검증된 동사) 및 Recycling(파트너쉽을통한 대응)으로 향후 실적 추정치의 상향 가능. 특히 원자재 강세에도 고객사향 판가 인상 계약으로 수익성 유지 투자의견Buy, 적정주가38만원(24년평균 EV/EBITDA 대비 20% 할증 적용)으로국내 양극재기업 최선호주로제시  2022년 북미 신규 고객사향 출하량 증대는 동사의 주가 추가 Re-rating의 계기로 No.1 양극재 기업으로 도약  LG에너지솔루션-Tesla 납품 구조 외에도 배터리 내재화 계획을 추진하는 OEM향 단결정 양극재 직납 가능성 긍정적  2022년 경쟁사들 대비 보유 고객사 프리미엄을 누리는 동사는 Valuation 고평가 논란 종결 엘앤에프에 대해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38만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 적정주가 산출에 적용한 EV/EBITDA는 2024년 국내/외 양극재 기업들의 평균에 20% 할증한 값  프리미엄의 근거는 (1) 해외 관련 기업들 대비 동사의 기술 선도, (2) 보유 고객사(LG에너지솔루션 외)들의 담보된 성장성, (3) Tesla의 배터리 내재화 계획의 2가지 효과(기술 검증이 완료된 동사의 양극재 납품 가능성 높고, Redwood Materials와 예정된 미국에서의 배터리 재활용 사업의 종착지는 Tesla)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차전지/석유화학분야_관련 주 기업분석 3도토리 최민기
415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그린솔루션/항공우주/스몰캡분야_관련 주 기업분석 1도토리 최민기
414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석유화학분야_가성소다 수요 파란불. 가격 정주행 3도토리 최민기
414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슬로바키아 에너지 시장 및 가격 전망 1도토리 최민기
414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아연도금철선에 대한 반덤핑 관세 조사 기간 연장 1도토리 최민기
414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PLMA 세계 프라이빗 라벨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최민기
414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턴기업의 중국 내 지식재산권 처리 방안 및 이슈 1도토리 안소영
414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사우디, 6월 12일 99개 품목 관세 인상 1도토리 안소영
4143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국제 카페 & 음료 전시회 및 말레이시아 내셔널 커피 챔피언십 참관기 1도토리 안소영
414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난민 수용이 폴란드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 1도토리 안소영
41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로존 가입을 앞둔 크로아티아 투자 환경 1도토리 안소영
414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하노버 산업박람회(Hannover Messe) 참관기 1도토리 안소영
41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세계 최대 밀라노 가구전시회 2022 참관기 1도토리 안소영
413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출범에 대한 일본 현지 반응 1도토리 안소영
413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오만 테크놀로지 쇼(COMEX) 참관기 1도토리 안소영
413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방산시장의 큰 손 카타르 1도토리 안소영
413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KOTRA, 태국에서 '과학창의 인재육성 캠프’ 개최 1도토리 안소영
413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중국 新개인소득세법의 변화 및 주의점 1도토리 오민아
41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국 물가 상승률 40년 만에 최고 수준 1도토리 오민아
41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국 재무부 상반기 환율보고서 주요 내용 및 현지 분석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