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2022 PLMA 세계 프라이빗 라벨 전시회 참관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34
용량 7.7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2022 PLMA 세계 프라이빗 라벨 전시회 참관기.pdf 7.7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6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프라이빗 라벨 시장 변화

유럽 프라이빗 라벨 시장에서의 한국 기업의 가능성 점검

 

PLMA 프라이빗 라벨 전시회는 1986년부터 매년 개최돼 올해로 37번째를 맞는 행사이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작년 온라인으로 개최한 이후 다시 오프라인으로 돌아왔다.

 

전시회 소개

 

PLMA는 1979년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자체 브랜드 상품’이라고도 불리는 프라이빗 라벨 상품의 홍보와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전 세계 4,400개 이상의 다양한 기업이 회원으로 등록되어있다. 첫 박람회는 1980년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유럽에서는 1986년 처음 개최한 이래 올해로 37번째를 맞이했다. 해당 전시회는 세계 최대 프라이빗 라벨 행사로 명성이 높으며 국내 기업들도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 전시 분야는 크게 식품 및 비식품 소비재로 나뉘며 식품·음료, 미용·화장품, 생활·가정용품, 애견용품으로 구성된다.

 

올해 전시회는 코로나 여파로 작년 12월 온라인으로 진행된 후, 다시 오프라인으로 개최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으며 총 70개국 약 2,500개 업체가 참가하여 코로나 이전인 2019년도(71개국 2,697개 업체)와 견줄 만큼 열띤 현장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다.

 

주요 콘텐츠 구성

 

ㅇ 주 전시장(Trade Show Floor)

 

홀 구역은 중앙의 PLMA 아이디어 슈퍼마켓(PLMA Idea Supermarket)을 기점으로 좌측으로는(Hall 8-Hall 12) 비식품 섹션, 우측(Hall 1-Hall7)에는 식품 섹션을 배치했다. 업체들은 개별적으로 혹은 국가 파빌리온을 통해 부스를 운영했다.

 

ㅇ PLMA 아이디어 슈퍼마켓(PLMA Idea Supermarket)

 

식품 전시장과 비식품 전시장을 잇는 ‘라이 엘리시움(RAI Elicium)’이라고 이름 붙인 공간에는 전 세계 60개 이상의 소매업체에서 만든 수백여 가지의 혁신적인 제품들이 전시되었다. '버려지는 포장제 최소화(Anti-Waste)’ 코너, 고객 편의성을 추구하는 ‘파우치 포장 와인(Wine in Pouch)’ 및 ‘유기농, 식물기반 음식(Organic, Plant-Based Food)’ 등의 코너가 있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차전지/석유화학분야_관련 주 기업분석 3도토리 최민기
415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그린솔루션/항공우주/스몰캡분야_관련 주 기업분석 1도토리 최민기
414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석유화학분야_가성소다 수요 파란불. 가격 정주행 3도토리 최민기
414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에너지분야_슬로바키아 에너지 시장 및 가격 전망 1도토리 최민기
414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아연도금철선에 대한 반덤핑 관세 조사 기간 연장 1도토리 최민기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PLMA 세계 프라이빗 라벨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최민기
414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턴기업의 중국 내 지식재산권 처리 방안 및 이슈 1도토리 안소영
414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사우디, 6월 12일 99개 품목 관세 인상 1도토리 안소영
4143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국제 카페 & 음료 전시회 및 말레이시아 내셔널 커피 챔피언십 참관기 1도토리 안소영
414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난민 수용이 폴란드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 1도토리 안소영
41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로존 가입을 앞둔 크로아티아 투자 환경 1도토리 안소영
414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하노버 산업박람회(Hannover Messe) 참관기 1도토리 안소영
41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세계 최대 밀라노 가구전시회 2022 참관기 1도토리 안소영
413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출범에 대한 일본 현지 반응 1도토리 안소영
413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오만 테크놀로지 쇼(COMEX) 참관기 1도토리 안소영
413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방산시장의 큰 손 카타르 1도토리 안소영
413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KOTRA, 태국에서 '과학창의 인재육성 캠프’ 개최 1도토리 안소영
413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중국 新개인소득세법의 변화 및 주의점 1도토리 오민아
41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국 물가 상승률 40년 만에 최고 수준 1도토리 오민아
41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국 재무부 상반기 환율보고서 주요 내용 및 현지 분석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