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유로존 가입을 앞둔 크로아티아 투자 환경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34
용량 1.0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유로존 가입을 앞둔 크로아티아 투자 환경.pdf 1.0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6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저렴한 투자비용과 인센티브, 지정학적 위치, 영어생활권 등 투자 매력도 높아

 

일반 개황

 

크로아티아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사안들에 대해 빠르게 대응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는 미래지향적 국가다. 크로아티아 하면 쉽게 떠오르는 것이 아름다운 자연, 세계적으로 유명한 발명가(낙하산, 펜, 어뢰 등), 최고의 운동선수 등이 있지만 이에 못지 않게 잘 준비된 투자 인센티브와 경제 인프라, 우수한 인력과 높은 수준의 삶의 질 등으로 기업들이 투자하고 사업하기에 좋은 곳이기도 하다. 2019년 OECD에서 발표한 국가별 투자 환경 비교 자료에 의하면 크로아티아는 외국인투자(FDI)에 대해 가장 개방된 국가 중 하나로 OECD 평균에 비해 FDI 규제 제한 정도가 매우 낮다고 발표되었다. 또한 S&P와 Fitch는 모두 크로아티아의 신용 점수를 투자 등급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어 경제가 안정적이기도 하다. 2021년 크로아티아 경제는 10.2%의 성장률을 기록하여 코로나 이후 강력한 반등을 한 바 있다. 2022년 GDP 성장률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당초 예상보다는 다소 낮아지겠지만 그 영향이 제한적이어서 과거와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3.4%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크로아티아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2013년 EU 가입 이후 새로운 전환기를 앞두고 있다. 지난 6월 EU 집행위에서 크로아티아가 유로존 가입을 위한 대부분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이에 따르면 크로아티아는 2023년 1월에 유로존에 정식 가입할 예정이며 같은 시기 쉥겐 지역에도 포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투자 혜택

 

크로아티아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혜택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1) 편리한 위치  EU 중심부

 

크로아티아는 중부 및 동부 유럽의 심장부인 전략적인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런 지리적 이점으로 중부와 동부 유럽 지역의 국가들의 무역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크로아티아의 수도인 자그레브는 인접국의 주요 도시인 비엔나, 베니스, 부다페스트, 베오그라드까지 차로 약 4시간 거리이며 크로아티아의 주요 항구가 있는 아드리아해 연안에서 자그레브까지는 차로 단 2시간 거리에 있다. 또한 동유럽으로의 수출입 물류는 아드리아해의 항구를 이용할 경우 가장 짧다. 이로 인해 크로아티아 투자는 단지 인구 400만 명의 크로아티아뿐 아니라 다른 EU 수도와의 근접성으로 4억5000만 명 이상의 잠재 고객을 보유한 대규모 유럽 시장에 진출하는 것과 같다.  

 

2) 경쟁력 있는 투자 비용

 

Eurostat-OECD 구매력 평가(PPP) 프로그램에서 2020년에 수행된 투자 시 수반되는 비용 비교 조사 결과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의 일반적인 투자 비용 수준은 EU 평균보다 35% 낮으며 EU 회원국 중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19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멕시코 산업기밀 취급에 관하여 1도토리 노민우
419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굿 푸드 & 와인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시 중 우크라이나 수입 허가 품목 알아보기 1도토리 노민우
418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싱가포르 정보통신전시회(CommunicAsia)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418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리핀 자동차용 휘발유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으로 변화한 필리핀의 웰빙 트렌드 1도토리 노민우
418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미얀마 유아용품 시장동향 1도토리 노민우
418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체코 태양광 패널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합성필라멘트사 직물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이탈리아 진단키트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임플란트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8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브라질 소형 가전제품 시장 1도토리 국준아
417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의약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2022년 중국 폴리우레탄 산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은 일본 드론 산업의 원년이 될 수 있을 것인가 1도토리 국준아
41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주목하라! 1도토리 국준아
41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캄보디아 핸드폰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417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전자기기 사용 확대로 눈 건강에 신경 쓰는 소비자 증가, 아이케어 제품 수요로 연결 1도토리 국준아
417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의 특수강 업계 현황 1도토리 국준아
41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 불안에 밀 생산강국으로 부상하는 브라질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