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출범에 대한 일본 현지 반응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40
용량 691.4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출범에 대한 일본 현지 반응.pdf 691.4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6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2022년 5월 23일, 미국 주도 IPEF(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공식 출범

타 무역협정과 가장 큰 차이는 ‘관세에 대한 논의가 없다는 점’

 

5월 23일, 일본 기시다 총리와 하기우다 경제산업부 장관은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에 대한 참여 의사를 표명했다. 이후, 6월 11일 프랑스 파리에서 IPEF 무역 분야에 관한 비공식 각료급 회의가 개최되었으며, 히로세 경제산업심의관이 등이 참석하여 참가국 간 협력과 균형 잡힌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IPEF 개요

 

IPEF는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의 약자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를 의미하며 미국 주도로 ’22년 5월 23일 공식 출범한 다자 경제협력체이다. ‘22년 6월 14일 기준 IPEF 경제협력체 참가국은 미국, 한국, 일본, 인도, 뉴질랜드,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호주, 피지*로 총 14개국이다.

    주*: 미국 정부, 피지가 새롭게 IPEF에 참가해 14번째 참가국이 되었다고 발표(’22.5.26.)

 

IPEF 회원국의 총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60%, GDP는 전 세계 GDP의 약 40%를 차지하기 때문에 IPEF는 향후 회원국 간 경제협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IPEF는 ① 무역, ② 공급망(서플라이체인), ③ 인프라·탈탄소, ④ 탈세·반부패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참가국 간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IPEF는 CPTPP나 RCEP과 달리 참가국 간 관세 철폐나 관세 인하 협상을 하지 않는 부분이 주목할 점인데 이로 인해 IPEF를 ‘느슨한 연계’로 보는 시각도 있다.

 

현지 언론 동향 및 반응

 

IPEF가 타 무역협정과 가장 차이가 나는 부분이 ‘관세에 대한 논의가 없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IPEF에 참가해도 참가국은 대미 수출을 확대하는 혜택은 누릴 수 없다. IPEF의 한계점에 대해 IPEF의 4개 주요 논의 분야에서 회원국 간 국제 협조가 안정적으로 이뤄진다면, 이를 토대로 앞으로 더욱 실효성 있는 경제협력체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기대하는 의견도 있다.

 

한편 시노다 쿠니히코 정책연구대학원 교수는 ‘환경, 인권 문제에 관해 IPEF 참가국 간 이루어지는 논의 내용은 신흥국 등의 경제활동에 있어 큰 제약이 될 가능성이 있다. 미국 시장 개방 등의 혜택이 없으면 신흥국이 참가하는 인센티브는 줄어들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노무라 종합 연구소 칼럼에 따르면 ’일본이 미국 주도의 IPEF에 참여하는 것은 중국을 자극하여 일본과 중국 간 경제환경 및 관계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미국과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9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 수급 현황(2020년도 기준) 1도토리 조정희
359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2021년 의약외품 허가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359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금리 상승기 회사채 시장의 특성 변화 1도토리 김민성
359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가상자산 사업화를 위한 금융회사 및 테크기업의 경쟁과 협력 가속화 1도토리 김민성
359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코로나19 재확산 및 중국경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59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융환경의 긴축적 변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359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지털 경제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주요 ICT 기술·시장·정책 동향 및 대응방향 3도토리 조정희
358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통화정책의 긴축적 변화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358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사례 조사를 통한 한국 증권업 및 건전성 규제의 개선 방향 7도토리 김민성
3587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에 대한 규제와 관리 정책 전망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358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의 효과, 선결과제 및 시사점 3도토리 김민성
358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신용평가업에 대한 규제강화는 기업 신용평가의 질을 향상시켰는가 7도토리 김민성
358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재생의료 산업 및 임상 동향 -첨단바이오의약품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358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소재 신연구방법론 3도토리 김민성
358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일본 상공금융, 중소제조업체의 디지털전환 대응 포인트 분석 1도토리 김민성
358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금융플랫폼에 대한 정책대응 및 방안 3도토리 김민성
3580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기후위기 및 보험 산업 7도토리 김민성
3579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미얀마 쿠데타 발발 1년-정치경제 동향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김민성
35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을 위한 농업부문 디지털 전환 및 플랫폼 구축 방안 7도토리 나혜선
35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지능형 반도체의 최신 기술 및 산업 동향 7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