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공급망 후폭풍과 차별화되는 실적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98
용량 766.5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공급망 후폭풍과 차별화되는 실적 전망.pdf 766.5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02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What’s New: DRAM 현물가 하락세 지속, 고정가격 보합세 4 월 메모리 고정 거래 가격은 전월 수준을 유지 - PC용 DIMM D4 8GB: $29.3 (전월과 동일):  대부분 협상 지연되면서, 가격이 결정되지 않은 상황. 분위기는 약세 흐름 - 서버용 R-DIMM D4 32GB: $136 (전월비 1.45% 하락) - NAND MLC 64GB: $3.44 (전월과 동일) 지난 주 DRAM 현물가는 제품별로 -0.7%~-4.8%로 하락하며 하락세를 이어감. 이에 따라 DXI 지수는 -1.7%로 지난주 대비 하락폭 확대. 실적을 발표한 주요 기업들의 가이던스가 이전에 비해 조심스러워진 가운데 FOMC 를 앞두 고 일부 업체를 제외한 테크 주가의 약세가 지속됨. 메모리 업종 주가는 상대적으로 양호. (주간 주가: 나스닥 -3.9%, 애플 -2.6%, 아마존 -13.9%, 테슬라 -13.4%, 알파벳 -3.9%, 엔비디아 -5.0%, 인텔 -6.3%, 퀄컴 +5.2%, 삼성전자 +0.6%, SK 하이닉스 +1.8%, WDC +7.3%, 마이크론 -1.8%) 중국 봉쇄 영향의 후폭풍 상하이의 확진자 수 감소로 봉쇄 영향이 피크를 지날 것이라는 기대가 생겨나고 있으나, 상 하이와 장쑤정, 저장성 등을 연결하는 창장 삼각주의 봉쇄 후폭풍은 쉽사리 해소되기 어려 울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 세계 전자 산업에 큰 피해를 안긴 쿤산시 봉쇄가 해제된다 하더 라도 물류 차질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주요 부품이 ODM 으로 배송되는데 2~4 주의 시간이 소요될 전망. 따라서, 이번 중국 봉쇄와 관련된 적어도 5 월 중순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이는 고스란히 기업들의 코스트 부담으로 이어질 전망. 애플도 컨퍼런스콜에서 상하이 커리더(corridor)의 공급망 훼손으로 인해 아이패드의 주요 부품 (특히 레거시 반도체)공급에 중대한(significant)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설명. 이에 따 라, 현 상황이 더 악화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번 분기에 최소 40~80 억 달러의 매출 차질 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 So What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마무리되어 가고 있다. 뚜껑을 열어보니 기업들의 코스트 부담 이 확실히 커졌다는 점이 확인됐다. 또한, 향후 전망에 있어서도 조심스러운 스탠스의 비중 이 더 높아졌다. TI 를 비롯해 애플, 인텔, 메타, 아마존 등은 매출 감소 또는 손익 감소 가능 성을 예고했다. 반면, TSMC 와 퀄컴, 마이크로소프트는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가이던스를 제시했다. 메모리 업체들의 2분기 손익도 개선될 전망이다. 특히 국내 업체들은 환율 효과와 1분기에 반영된 일회성 비용 등의 영향으로 상당 폭 개선된 실적을 예상한다. 매크로와 지정학, 그리고 코로나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서도 양호 한 실적을 낼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선택지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92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터넷·소프트웨어 분야_2022년 디지털 광고시장, 이커머스 및 콘텐츠 시장 전망 1도토리 강정훈
39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제조업 분야_일본 공작기계 통계(5월) 1도토리 강정훈
391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운송분야_2022년 전망, Next Container. Endemic에서 찾는 기회 3도토리 강정훈
391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EU 재생에너지 목표 상향 입법화로 관련 업체들 수혜 1도토리 강정훈
39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22년 3분기 연료비 조정단가 발표 1도토리 민준석
391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소매/유통 분야_5,6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91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 분야_6월 항공 관련주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9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증강현실(AR) 분석 보고서 1도토리 민준석
391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위드 COVID-19 시대의 수출 유망품목 및 수출 증대 방안 연구 7도토리 최민기
391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391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틸리티·철강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390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유통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390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제약분야_P_CAB기전 치료제들의 시장 확대에 주목 1도토리 노민우
39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탈세계화 및 공급망 블록화가 에너지 관련주에 미치는 영향 7도토리 노민우
390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무인항공기 태양전지 시장 분석 보고서 1도토리 이지훈
390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무인운반차_관련 업체와의 협약이나 파트너쉽이 장기적으로 중요한 전략 1도토리 이지훈
39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로봇분야_협동로봇시장 트렌드 및 시장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90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분야_메타버스의 대두와 시장 경쟁 1도토리 이지훈
390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자율주행차분야_2022 ICT 시장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정유분야_바이든: 미국 정유주 Sell, 한국 정유주 BUY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