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경제동향] 은행분야_배당 매력 상승 기대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01
용량 930.0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경제동향] 은행분야_배당 매력 상승 기대.pdf 930.0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09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13 

업계 전반의 주주환원 강화 신한지주를 시작으로 KB금융도 분기배당 정례화에 참여하면서 은행업 전반적으로 주주환원이 강화되고 있다. 또한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는 각각 1,500억원의 자사주를 소각하기도 했다. 은행업 전반적으로 이렇게 주주환원이 강화되는 점은 1) 작년까지 코로나19에 대한 대비로 인해 최대 실적 달성에도 불구하고 배당에 제한이 있었고 2) 선제적 충당금 적립으로 정책금융 종료 이후에도 자산건전성과 자본적정성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 은행업 전체적으로 작년보다 이익이 10.6%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에 연간 배당수익률은 6.1%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하반기 코로나19 충당금 환입 가능성 상승 여기에 1분기에 코로나19 관련 추가 충당금을 적립했기 때문에 정책금융 종료 시 환입 가능성은 더욱 커졌다고 판단한다. 현재 은행들이 3년째 관련 충당금을 적립하는 것은 실제로 부실이 증가했기 때문이 아니라 당국의 권고에 따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언론에서는 총여신 대비 충당금 적립 잔액이 작기 때문에 부실에 대한 대비가 불충분하다고 보도가 되고 있으나 1) 충당금은 회계법 상 부실채권 규모와 비교하는 것이 맞고 2) 부실채권 커버리지 적립율도 200%를 상회할 정도로 충분한 대비가 되어있다. 여기에 지난 2년 동안은 배당 제한 조치까지 있었기 때문에 올해 충당금 환입에 따른 이익 증가와 이에 따른 주주환원 강화에 대한 정당성은 어느 때보다 높다고 판단한다. Monthly review 4월 은행업 주가는 신한지주와 기업은행, JB금융지주가 증시보다 양호한 수익률을 달성했다. 대형 3사 중에서는 신한지주가 일회성 요인들을 제거했을 때 가장 컨센서스 대비 높은 실적을 달성했는데, 이는 수수료이익 증가 폭이 3사 중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우리금융지주도 일회성 비용에도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보였으나 월말 횡령사건 발생으로 4월 수익률이 부진했다. 기업은행은 1분기 가장 큰 규모의 선제적 충당금을 쌓았음에도 불구하고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실적을 달성했다. 지방은행 3사는 모두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이익을 보였으나 그 중 JB금융지주는 유일하게 순영업수익이 추정치를 상회한 점이 서프라이즈를 견인했다1. 업계 전반의 주주환원 강화 분기배당 정례화와 자사주 매입·소각 신한지주를 시작으로 KB금융도 분기배당 정례화에 참여하면서 은행업 전반적으로 주주환원이 강화되고 있다. 또한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는 각각 1,500억원의 자사주를 소각하기도 했다. 은행업 전반적으로 이렇게 주주환원이 강화되는 점은 1) 작년까지 코로나19에 대한 대비로 인해 최대 실적 달성에도 불구하고 배당에 제한이 있었고 2) 선제적 충당금 적립으로 정책금융 종료 이후에도 자산건전성과 자본적정성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 은행업 전체적으로 작년보다 이익이 10.6%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에 연간 배당수익률은 6.1%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92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터넷·소프트웨어 분야_2022년 디지털 광고시장, 이커머스 및 콘텐츠 시장 전망 1도토리 강정훈
39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제조업 분야_일본 공작기계 통계(5월) 1도토리 강정훈
391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운송분야_2022년 전망, Next Container. Endemic에서 찾는 기회 3도토리 강정훈
391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EU 재생에너지 목표 상향 입법화로 관련 업체들 수혜 1도토리 강정훈
39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22년 3분기 연료비 조정단가 발표 1도토리 민준석
391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소매/유통 분야_5,6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91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 분야_6월 항공 관련주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9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증강현실(AR) 분석 보고서 1도토리 민준석
391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위드 COVID-19 시대의 수출 유망품목 및 수출 증대 방안 연구 7도토리 최민기
391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391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틸리티·철강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390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유통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390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제약분야_P_CAB기전 치료제들의 시장 확대에 주목 1도토리 노민우
39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탈세계화 및 공급망 블록화가 에너지 관련주에 미치는 영향 7도토리 노민우
390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무인항공기 태양전지 시장 분석 보고서 1도토리 이지훈
390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무인운반차_관련 업체와의 협약이나 파트너쉽이 장기적으로 중요한 전략 1도토리 이지훈
39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로봇분야_협동로봇시장 트렌드 및 시장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90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분야_메타버스의 대두와 시장 경쟁 1도토리 이지훈
390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자율주행차분야_2022 ICT 시장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정유분야_바이든: 미국 정유주 Sell, 한국 정유주 BUY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