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엔터분야_주가동향 및 하반기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43
용량 4.06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엔터분야_주가동향 및 하반기전망.pdf 4.0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7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41 

< 목 차 >

1. 1Q22 실적 Recap 
 

2. 하반기엔 국내에서 얼굴보기 힘들어질 기존 라인업
 

3. 출발선이 다른 신인 그룹들이 몰려온다
 

4. 결론 및 업종 투자전략 
 

5. 기업 분석
(1) 하이브
(2) 에스엠
(3) JYP Ent.
(4) 와이지엔터테인먼트 

 


 

1. 1Q22 실적 Recap 조금씩 재개되는 오프라인 활동 1Q22 부터 아티스트들의 오프라인 활동이 조금씩 재개되기 시작했다. 약 2 년간 부재 했던 대면 콘서트가 국내에서는 작은 규모로 진행되었고, 기획사들의 메인급 아티스트 들은 해외 일정을 소화하기 시작했다. 1 분기 주요 해외 콘서트로는 TWICE 의 미국 투 어, BTS 의 서울, 라스베가스 투어가 반영되며 콘서트 수익이 HYBE 613 억원, JYP Ent. 33 억원 발생했다.여전히 견조한 앨범 판매 1 분기 4 사 합산 음반 판매량은 809 만장(YoY 35.6%)을 기록했다. 오프라인 활동이 점진적으로 재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앨범 판매는 여전히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 다. 아티스트 컴백이 있었던 JYP 와 SM 은 앨범 판매 호조, YG 와 HYBE 는 주요 아 티스트 활동 부재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판매량을 기록했다.1 분기 4 사 합산 영업이익은 815 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2.7% 성장, 아티스트 활동 이 크지 않았던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제외 전 기획사가 성장했다. 인건비와 콘텐츠 제작 비가 지속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업종 전반적으로 음반/원 수익이 견조한 가운 데 콘서트, 출연 등 오프라인 매출이 회복하고 있다. 이에 더불어 2 년전에는 크지 않았 던 MD 매출, 아티스트 IP 를 활용하는 라이선스 및 로열티 매출이 발생하며 견조한 이 익 성장세를 보였다.2. 하반기엔 국내에서 얼굴보기 힘들어질 기존 라인업 최근 해외 투어 일정이 연이어 발표되고 있다. 일정을 살펴보면 미국, 일본 중심으로 콘서트가 예정되어 있다. 코로나19 이전에 미국 투어를 하지 않았던 아티스트들의 미 국 투어가 진행되기도 하고, 미국 투어 경험이 있는 아티스트들도 직전대비 콘서트 베 뉴의 규모가 커지고 횟 수가 많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전 콘서트 경험이 많지 않은 NCT127, StrayKids, TXT, 트레져도 2 년동안 다져진 팬덤을 바탕으 로 일본 아레나~돔 투어, 미국 투어를 진행한다. 과거대비 북미 지역에서의 투어 수요가 높아진 것은 팬덤의 성장과 더불어 해외 레이 블과의 협업의 결과이기도 하다. 해외 레이블과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음반/음원 및 콘텐츠 프로모션, 마케팅을 진행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공연뿐만 아니라 현지 활 동 다양한 방면에서 협업하기 때문에 아티스트의 해외 활동의 반경이 넓어지고 있다.공연 개런티도 확실히 상승했다. TWICE 는 2 월 미국 콘서트 7 회가 전석 매진되며 2 회 추가 공연을 진행했다. StrayKids 도 북미 공연이 매진되며 기존 7 회에서 9 회, 12 회까지 추가했다. 티켓 매진이 계속되면 공연 프로모터 입장에서는 향후 공연에 대한 모객 리스크가 감소하고, 베뉴의 크기, 일정이 늘어나며 아티스트의 공연 개런티도 높 아진다. 빌보드가 밝힌 상반기 공연 매출 순위에 따르면, BTS 는 LA SoFi 스태디움 투어 3,330 만 달러, 라스베가스 Allegiant 스태디움 투어 3,590 만 달러를 기록해 4 위를 기록했다. 공연당 수익은 약 686 만 달러로 롤링스톤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빌보 드 박스스코어 투어 차트에 따르면 2022 년 상위 10 개 그룹의 합산 콘서트 수익은 2019 년 상위 10 개 그룹의 합산 수익보다 20% 증가했다. LiveNation 은 팬들의 콘서 트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며 콘서트 티켓 가격이 지속 상승하고 있다고 밝혔다.콘서트에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MD 다. 콘서트가 재개되면서 투어 MD, 스페셜 MD 가 출시되고, 팬들의 구매율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최근 가수 관련 굿즈 판매율이 지속 상승하고 있는데, 팬들은 적게는 티켓 가격의 80%에서 많게는 2 배이상을 굿즈 구매에 소비하기도 한다. MD 는 마진율이 높은 항목이기 때문에 양호한 판매가 일어 나면 전사 이익에 기여하는 부분이 클 수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91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자사주 매입 및 소각, 합병비율 산정 논란 등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한 지주회사 3도토리 나혜선
409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분야_배당 매력 상승 기대 1도토리 나혜선
4089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분야_4월 여수신: 하반기 저원가수신 비중 축소 예상 1도토리 나혜선
408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항공관련주 주가동향 3도토리 나혜선
40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이 높은 정제마진이 2 개월째 유지되고 있음에 주목 7도토리 나혜선
4086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분야_4월 여수신동향: 가계대출 감소세 벗어났으나 회복강도는 강하지 못할 전망 1도토리 나혜선
40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보험분야_1Q22 Review: 자동차에 이어, 실손 개선 기대 1도토리 나혜선
40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1분기 실적, 해외 방산업체는 고전한 반면 국내 방산업체는 서프라이즈 기록 1도토리 박민혁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엔터분야_주가동향 및 하반기전망 3도토리 박민혁
40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조선/운송분야_2022 하반기 전망 해설 1도토리 박민혁
40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주요 지표 점검 1도토리 박민혁
40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소매/유통분야_이커머스 경쟁 완화, 롯데쇼핑과 이마트에 주목 1도토리 박민혁
407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점차 짙얻지는 리세션이라는 암운(暗雲) 1도토리 박민혁
40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차전지분야_양극재 5월 수출액 코멘트 1도토리 박민혁
4077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금융분야_2022 하반기 금융주 투자 포인트 점검 7도토리 박민혁
40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1Q22 Review: 한국전력, 한전 KPS 1도토리 장민환
40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2분기 실적은 개선되고, 밸류에이션 부담은 낮은 Overweight 메모리 섹터 주목 1도토리 장민환
40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차전지/석유화학분야_나노신소재, CNT 도전재 Game-changer 등장 1도토리 장민환
40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Q22 Review (SK, 티케이케미칼, 이수화학, 남해화학 등) 1도토리 장민환
407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업분야_이제부터 진짜 7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