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1Q22 Review: 한국전력, 한전 KPS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41
용량 921.5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1Q22 Review_한국전력, 한전 KPS.pdf 921.5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16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 한국전력: 6 월 연료비조정단가 발표에 주목할 필요  한전 KPS: 중장기 외형 성장 지속 전망 한국전력: BUY, TP 28,000 원 유지 매출액 16.5조원(+9%yoy), 영업손실 7.8조원(적전yoy), 당기순손실 5.9조원(적전yoy)으로 부진한 실적 기록.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에 비 해 요금 인상 규모가 적어 적자 확대. 연료비는 전년대비 32%, 구입전력비는 44% 증가하며 변동비 부담 지속. 원전이용률이 84%까지 회 복되었으나 석탄발전소 이용률은 59%에 머물렀고, 발전믹스 개선 영향은 미미 선거 이후 3 분기 연료비조정단가의 인상이 예상됨. 현재 요금제도는 1 년전 평균 연료비를 후행적으로 반영하는 ‘기준 요금’과 직전 분기 연 료비를 반영하는 ‘연료비 조정 요금’, RPS, 탄소배출권 등 환경비용을 반영하는 ‘기후환경요금’으로 구성. 현재 원가 상승률을 감안했을 때 전 체 요금 인상이 40~50% 규모로 이루어져야 손익분기점을 달성할 수 있음. 그러나 ‘조정 요금’은 분기 상한 3 원/kWh, 연간 상한 5 원/kWh 으로 제한되어 인상하여도 5% 수준에 불과하고,3~4분기 3원/kWh, 2원/kWh 인상 전망되나 실적에 유의미한 기여는 어려움 기준 연료비는 2023 년 총 10 원/kWh, 기후환경요금은 3 원/kWh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며, 전체 요금 인상률은 15% 수준으로 추정. 그러 나 러-우 사태가 장기화되는 국면에서 제도의 전면 개편이 없는 한 2022~2023 년 한국전력의 연결 영업이익은 20 조원 이상 적자, 자기자 본 감소가 이어질 전망. 여기에 투자비 15조원을 고려하면 현금흐름은 악화될 수 밖에 없고, 신용등급 하향 예상 이러한 제도의 한계로 인해 정부는 SMP 상한제(구입전력단가를 부동산 분양가상한제처럼 제한), 석탄발전 총량제 한시적 유보 등을 검토하 며 비용절감을 유도할 것으로 예상. 2013년 당시 민자발전사의 반발로 SMP 상한제가 도입되지 못한 점, 시장경제를 추구하는 새 정부의 기 조를 고려하면 정책 변화 가능성을 확신하기 어려움. 그러나 회사채 발행, 정산 시기 조정 등의 방법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전력시장 운영이 가능할지 의문 최악의 펀더멘털과 외부 환경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여러 지원책 도입 가능성을 고려할 때 트레이딩 관점의 매수 전략은 충분히 가능한 상황. 2021~2022년이 원자재 가격 상승 규모가 한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고, 정부의 한전 지원책 시행 가능성을 고려하면 2023~2024년까 지 재무상태는 적자 축소 예상. 3분기 연료비조정단가 발표에 주목할 필요 한전 KPS: BUY, TP 58,000 원 유지 매출액 3,030억원(-20%yoy), 영업이익 225억원(-60%yoy), 당기순이익 208억원(-53%yoy)으로 영업이익 기준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 노후 석탄발전소 삼천포 #1,2, 호남 #1,2, 울산 #4~6 폐쇄로 기존 대비 석탄발전소 설비 용량이 8% 감소했고 매출액이 175 억원 감 소하며 부진한 실적 기록. 반면, 원자력/수력 매출액은 계획예방정비 착공 수는 감소하였으나 경상정비 등 정비 대상 설비 증가로 전년 수준 을 유지. 신고리 시운전, 신한울 경상, 개보수 물량이 추가되며 외형 성장 지속 전망. 이외에 UAE 정비 및 신규 해외 화력 프로젝트가 연간으 로 모두 반영될 전망 新정부의 노후 원전 수명 연장, 건설 중인 원전 및 10 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될 신규 원전 도입으로 중장기 먹거리 확대 전망. 현재 상 업운전 중인 원전 외에 신한울 #1~4, 신고리 #5~6 를 고려하면 계획예방정비, 오버홀 등 정비 물량 증가 기대. 또한 UAE 바라카 원전#2~4 의 상업 운전이 연이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어 긍정적으로 평가 유틸리티 2_ Eugene Research Center 도표1. 한국전력 1Q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91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자사주 매입 및 소각, 합병비율 산정 논란 등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한 지주회사 3도토리 나혜선
409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분야_배당 매력 상승 기대 1도토리 나혜선
4089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분야_4월 여수신: 하반기 저원가수신 비중 축소 예상 1도토리 나혜선
408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항공관련주 주가동향 3도토리 나혜선
40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이 높은 정제마진이 2 개월째 유지되고 있음에 주목 7도토리 나혜선
4086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분야_4월 여수신동향: 가계대출 감소세 벗어났으나 회복강도는 강하지 못할 전망 1도토리 나혜선
40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보험분야_1Q22 Review: 자동차에 이어, 실손 개선 기대 1도토리 나혜선
40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1분기 실적, 해외 방산업체는 고전한 반면 국내 방산업체는 서프라이즈 기록 1도토리 박민혁
408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엔터분야_주가동향 및 하반기전망 3도토리 박민혁
40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조선/운송분야_2022 하반기 전망 해설 1도토리 박민혁
40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주요 지표 점검 1도토리 박민혁
40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소매/유통분야_이커머스 경쟁 완화, 롯데쇼핑과 이마트에 주목 1도토리 박민혁
407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점차 짙얻지는 리세션이라는 암운(暗雲) 1도토리 박민혁
40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차전지분야_양극재 5월 수출액 코멘트 1도토리 박민혁
4077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금융분야_2022 하반기 금융주 투자 포인트 점검 7도토리 박민혁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1Q22 Review: 한국전력, 한전 KPS 1도토리 장민환
40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2분기 실적은 개선되고, 밸류에이션 부담은 낮은 Overweight 메모리 섹터 주목 1도토리 장민환
40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차전지/석유화학분야_나노신소재, CNT 도전재 Game-changer 등장 1도토리 장민환
40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Q22 Review (SK, 티케이케미칼, 이수화학, 남해화학 등) 1도토리 장민환
407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업분야_이제부터 진짜 7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