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화장품/의류분야_BACK TO BASIC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43
용량 1021.7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화장품_의류분야_BACK TO BASIC.pdf 1021.7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5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2022년 하반기 전망 시리즈 4 (해설판) [화장품/의류] BACK TO BASIC ▲ 화장품/섬유의복 Analyst 하누리 02. 6454-4892 nuri.ha@meritz.co.kr  [업종] 단기: 화장품 투자 모멘텀 강화 및 의류 실적 고성장 기반 주가 반등 예상 중장기: 화장품 De-rating 및 의류 Re-rating  [시장] 중국 상저하고, 한국 상고하중, 미국 상고하저  [종목] 비우호적 업황에도 구조적 성장 실현 업체 선별 필요  [투자전략] 화장품 선별적 Trading Buy! 최선호주 신세계인터내셔날 (Buy/50,000원) 의류 구조적 Buy! 최선호주 F&F (Buy/240,000원) Part 1 1H22 Review: 주가 반전 거듭 2022년 상반기 생활소비재의 주가는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며 상승과 하락 반전을 거듭했다. 중국 코로나 재확산, 내수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미국 물가 상승 우려 등에 기인한다. 중장기적으로 화장품은 약세, 의류는 강세 기조를 유지할 전망한다. 2016년 대비 화장품 EPS 감소 폭은 -34%에 달한 데에 비해 PER 하락 폭은 -21%에 불과 하다. 수요 감소(한국 · 한방 · 세트 화장품 판매가 감소)와 공급 우려(중국 현지 유통점 강화, 다이공 위축)로 중국 사업 관련 구조적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 이다. 반면, 의류는 이익 체력 강화에 대한 주가 반영이 필요하다. 동기간 의류의 EPS는 +286% 증가, PER은 -50%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이익 체력 강화에 대 한 주가 반영이 필요하다. 브랜드사의 카테고리 다각화 효과와 OEM사의 벤더 점 유율 상승을 기반으로 구조적 성장이 가능하다Part 2 시장: 중국 > 한국 > 미국 2H22 국가별 소매판매 성장률은 무차별적할 것으로 전망한다(소매판매: YoY 기 준 중국 +7% 증가, 한국 +6% 증가, 미국 +5% 증가). 절대적인 수치는 유사하 나 상대적인 방향성은 상이하다. 중국은 기저 효과와 영업 정상화로 상저하고, 한 국은 위드 코로나 수혜에 따른 상고하중 흐름이 예상된다. 미국의 경우, 역기저 부 담 및 구매력 저하로 상고하저가 불가피하다. 중국은 기저 효과에 봉쇄 해제 및 경기 부양책 투입에 따른 낙수효과가 기대된다. 지난 6월 1일 상해 봉쇄를 완전 해제하였고 지난 5월 금리를 추가 인하했다. 한국 은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소비 심리가 개선 및 소매판매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거리두기 완화 시점(2Q22)을 감안하여 2Q23까지 성장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예 상된다. 이동 통제 전면 완화 이후 도소매업향 소비지출이 지속 증가되는 추세이 다. 미국은 물가 상승 압력으로 인한 소비자 구매력 약화가 나타나고 있다. 서구권 매출 의존도가 높은 의류 OEM사의 업황이 부진한 모습이나, 달러 강세 및 협상 력 우위를 기반으로 단가 상승을 통한 실적 방어가 가능하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51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2분기 NIM 상승세 지속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5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터넷/게임분야_1Q22 실적발표 이후 실적 전망치 변경률 VS 주가 변화율 1도토리 황세영
4049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리츠분야_REITs & Cash 7도토리 황세영
404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담배분야_어려운 환경에서 어렵지 않은 답 찾기 7도토리 황세영
40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4월 은행 금리: 2분기 NIM도 높은 한 자릿수 확대 가능 1도토리 황세영
40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경제분야_4월 가중평균금리 동향 1도토리 황세영
40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증권분야_지표와 업황 모두 바닥권, 긍정적 신호에 탄력적으로 반응할 주가 1도토리 황세영
4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전기차분야_전기차관련 산업동향 1도토리 황세영
4043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유통분야_2022상반기 기업분석 1도토리 황세영
404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증권/보험분야_Rebalancing 1도토리 황세영
404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자동차분야_Safe Haven 1도토리 황세영
»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화장품/의류분야_BACK TO BASIC 1도토리 황세영
403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화학/정유분야_화확 관련주 동향 1도토리 황세영
4038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5월 여신_수신 동향 1도토리 황세영
40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보험분야_자본 확충 리스크 해소 1도토리 조정희
40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대한항공의 진에어 지분 취득 1도토리 조정희
40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주분야_누리호 2차 발사, 우주산업 성장 신호탄 1도토리 조정희
403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대출증가 둔화에도 이자이익 증가세 유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40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주가동향 1도토리 조정희
40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필수생산재와 원자재 이집트 신용장 의무화 조치에서 제외, 세부 품목 리스트 공개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