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필수생산재와 원자재 이집트 신용장 의무화 조치에서 제외, 세부 품목 리스트 공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34
용량 377.2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필수생산재와 원자재 이집트 신용장 의무화 조치에서 제외, 세부 품목 리스트 공개.pdf 377.2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08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원자재 등 현지생산 필요품 신용장 의무화 조치 제외, 수출제한은 여전할 듯

외환보유액 방어 vs 현지 산업활동 제약 등 민관 간 의견 충돌

 

이집트 중앙은행이 지난 2월 발표한 신용장 의무화 조치에서 필수생산재와 원자재를 제외했다. 이전 발표문에서 명시한 신용장 의무조치 제외 품목인 의약품과 식료품 등에 산업필수재와 원자재가 추가되었으며 이에 해당하는 품목 리스트를 발표했다. 발표된 문서는 HS코드 6자리가 명시된 약 2,000개 품목에 달하는 리스트이며, 거래 바이어와 HS 코드를 사전 확인 후 대금결제 조건을 기존 추심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해당 리스트는 첨부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아랍어로 작성되었다.

 

이집트 업체들 '신용장 의무화 조치 부당, 통관도 지연되는 등 애로 가중'

 

신용장 의무화 조치 이후 이집트 내부에서도 여러 반발의 목소리가 많이 있다. 이집트 비즈니스연합회(EBA)와 이집트상공회의소(FEDCOC), 그리고 이집트 산업연합(FEI) 에서는 해당 조치 직후 곧바로 항의 서명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외에도 여러 단체에서 반발이 많은데, 이번 조치가 이집트 여러 산업 비용을 증가시키고 국가 경제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더불어 이집트 은행 시스템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급격하게 신용장 의무화 조치로 제한하게 되어 외국 거래선과의 관계 악화도 걱정된다는 목소리가 많다.

 

또한 신용장 방식으로 거래대금 결제조건을 제한할 경우 대금결제 외에도 실제 통관이 지연되는 상황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기존의 추심방식의 경우 수입업자의 지불능력을 보증하는 서류(Form4)만으로 수입물품 통관을 쉽게 진행할 수 있었는데, 신용장 조건으로 제한된 이후 통관을 위한 은행 서류 발급이 늦어져 현재 이집트항에 많은 수입물품이 쌓이고 있다고 현지 업체들은 전했다. 업체 인터뷰 결과 신용장 발급까지 최소 60일이 걸리는 것으로 확인되어 통관에까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신용장 발급에도 순서가 있어, 불투명한 행정절차에 어려움 호소

 

조치 시행 외에도 실제 실무에서도 여러 애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지 수입업체 A사는 ‘실제 지급능력이 있고 계약 대금의 120%에 달하는 달러화를 가지고 가도 신용장 발급이 적시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은행에서 특정 품목에 대해서만 신용장을 우선 발급해주는 것 같다’고 전했다. 이에 실제 은행에 문의 결과 2022년 4월 경 현지 시중은행인 Bank Audi 특정 지점에서는 중장비에 대해서 2백만 달러를 할당해 그 이상의 신용장 발급에 대해서는 장담할 수 없다는 답변을 받은 바 있다. 이에 따라 각 은행 지점에서는 실제 조치내용 외에도 각 은행 우수 고객, 거래 제품 등을 따져서 신용장 발급을 결정하게 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처사를 두고 ‘전국적인 조치를 취해놓고 정작 실무판단은 은행에 전임해버리면 지불능력이나 필수산업재 여부 등이 아니라 은행 우수 고객 등 비공식적인 사항으로 신용장 발급여부가 결정되기도 한다’ 면서 점차 어려워지는 상황을 전달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59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지주회사_주목해야 할 투자가치 7도토리 노민우
40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2H22 반도체 산업 전망 3도토리 노민우
405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High Yield 채권이 되어버린 은행주 3도토리 노민우
405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은행/증권/보험분야_2022 하반기 전망 7도토리 노민우
40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펀더멘털, 안녕합니다 1도토리 노민우
405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통신/지주 투자지표 1도토리 노민우
405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보험분야_2분기도 어닝서프라이즈 1도토리 노민우
40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통분야_2022년 4월 유통업체 매출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051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2분기 NIM 상승세 지속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5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터넷/게임분야_1Q22 실적발표 이후 실적 전망치 변경률 VS 주가 변화율 1도토리 황세영
4049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리츠분야_REITs & Cash 7도토리 황세영
404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담배분야_어려운 환경에서 어렵지 않은 답 찾기 7도토리 황세영
40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4월 은행 금리: 2분기 NIM도 높은 한 자릿수 확대 가능 1도토리 황세영
40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경제분야_4월 가중평균금리 동향 1도토리 황세영
40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증권분야_지표와 업황 모두 바닥권, 긍정적 신호에 탄력적으로 반응할 주가 1도토리 황세영
4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전기차분야_전기차관련 산업동향 1도토리 황세영
4043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유통분야_2022상반기 기업분석 1도토리 황세영
404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증권/보험분야_Rebalancing 1도토리 황세영
404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자동차분야_Safe Haven 1도토리 황세영
404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화장품/의류분야_BACK TO BASIC 1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