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미국 플라스틱 사출 성형 디자인 엑스포 참관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36
용량 3.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미국 플라스틱 사출 성형 디자인 엑스포 참관기.pdf 3.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09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디트로이트서 첫 개최, 이틀간 130개 업체 참가

60명의 업계 전문가 진행한 기술 교육 세션 인기

 

전시회 개요

 

 

북미 지역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 업체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글로벌 폴리머 그룹(Global Polymer Group)과 영국에 본사를 둔 마케팅 리서치 업체 AMI가 5월 25일부터 26일까지 디트로이트의 헌팅턴플레이스(Huntington Place) 전시회장에서 개최한 이번 플라스틱 사출 성형 엑스포(INJECTION MOLDING &DESIGN EXPO)에는 미국과 캐나다 등지의 플라스틱 업체들이 참석해 사출 성형 기술을 선보이고 업계 정보를 교류했다. 특히, 60명의 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다양한 트레이닝 세션과 패널 디스커션이 이어졌으며 엑스포는 무료였지만, 마지막 날 저녁에는 유료 네트워킹 나잇이 이어졌다. 

 

이번 전시는 디트로이트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전시로 내년에는 오하이오주 클리브랜드에서 5월10일부터 11일 양일간 열릴 예정이다. John Hickey 글로벌 폴리머 그룹 세일즈 디렉터는 기조연설에서 “플라스틱 사출 성형 업계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더 낮은 가격에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최신 기술 습득이 굉장히 중요한 분야”라며 “참가자들이 이번 엑스포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전시회 현장 스케치

 

행사가 열린 Huntington Place의 전시회장은 디트로이트 다운타운GM본사 인근 강가에 자리잡은 대규모 컨벤션 센터로 전시회장 규모만 72만3000 제곱피트에 달한다. 130여개 업체가 참가한 이번 행사에서는 특히 친환경 플라스틱 업체들과 자동화, 대규모 사출 성형 기계를 전시한 업체들이 눈에 띄었다. 업체들이 전시장에서 직접 제품을 찍어낼 수는 없기 때문에 거대한 규모의 혁신적인 사출 성형 기계가 찍어내는 제품들의 공정 과정을 영상으로 제작해 고객들에게 선보이기도 했다. 전시회장에 마련된 부스들 중에서는 사출 성형 업체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폐기물 솔루션 제공 업체도 인상적이었다. 

 

전시회 두 섹션에는60명의 연사들이 이틀에 걸쳐 업계 관계자들을 위한 30여개의 교육 트레이닝 세션과 패널 디스커션을 제공하기도 했다. 첫날 오후 시간대에 ‘금형제작(moldmaking)의 미래’ 라는 주제로 진행된 패널 디스커션에는 Accede Mold&Tool의 Camille Sackett 부사장, StackTeck의 Jordan Robertson 부사장, Cavalier Tool&Manufacturing의 Brian Bending 대표, HS Die&Engineering 의 Dale Hermiller 대표가 참석해 업계의 미래와 대응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패널들은 공통적으로 인재 유치와 안정된 공급망에 대해 강조했다. Camille 부사장은 "팬데믹 기간 의료 분야, 패키징 등의 수요가 급증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본다. 다만, 금형 기계 제작을 위해 필요한 스틸(steel)가격 변동이 심해 이 부분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미얀마 외화 강제 환전 조치의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403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싱가포르 국제 커피 및 차 전시회(ICT Asia 2022) 방문기 1도토리 조정희
40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영국 국제 시설관리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국 플라스틱 사출 성형 디자인 엑스포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터키 치과기자재 전시회 IDEX 2022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2021년 통계로 보는 한국의 북마케도니아 수출 특징 1도토리 조현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방글라데시, 환율 및 물가 상승으로 주요 경제지표 악화 우려 1도토리 조현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 전국 단위의 조업 재개 움직임 1도토리 조현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마트시티 아시아 2022 참관기 1도토리 조현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美, 중국 신장위구르산 제품 수입 전면 금지 예정 1도토리 조현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협상 출범에 따른 현지 반응 및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집트 COP27 개최 준비에 박차, 환경 프로젝트 각광 1도토리 조현상
401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InterFood Caspian Agro 전시회 현장 인터뷰 1도토리 조현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아연도금철선에 대한 반덤핑 관세 조사 기간 연장 1도토리 조현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말레이시아 글로벌 공급망(GVC) 산업 동향 1도토리 조현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터클린 암스테르담(INTERCLEAN AMSTERDAM)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이지훈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네덜란드 수소 전시 참관기 1도토리 이지훈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아프리카 외국인 직접투자(FDI) 동향 1도토리 이지훈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전 참관기 1도토리 이지훈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에너지분야_슬로바키아 에너지 시장 및 가격 전망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