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정책동향] 美, 중국 신장위구르산 제품 수입 전면 금지 예정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38
용량 956.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美, 중국 신장위구르산 제품 수입 전면 금지 예정.pdf 956.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4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위구르 강제 노동 방지법(UFLPA)’ 다가오는 6월 21일 발효

中 신장 위구르산 제품은 강제 노동 생산으로 추정, 명확한 증거로 반박하지 않는 한 수입 불가

 

최근 미국은 대중 무역과 관련된 새로운 규제인 ‘위구르(웨이우얼) 강제 노동 방지법’의 시행을 곧 앞두고 있다. 작년 말에 법제화돼 이번 달 21일부터 발효 예정인 본 법은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에서 생산된 모든 제품을 강제 노동에 의해 생산되었다고 추정해 이에 대한 미국 수입을 전면 금지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해당 규제는 중국산 제품 혹은 중국산 원료로 만든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많은 기업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위구르 강제 노동 방지법’ 주요 내용

 

작년 미국 국회에서 발의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 제품의 미국 시장 반입 금지(To ensure that goods made with forced labor in the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do not enter the United States market, and for other purposes.)’와 관련된 법안 H.R.6256이 조만간 미국 전역의 세관에서 전면 적용될 예정이다. 작년 12월 23일 조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으로 공식 법제화된 본 법, 일명 ‘위구르 강제 노동 방지법(Uyghur Forced Labor Prevention Act, 이하 UFLPA)’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상당량의 중국산 제품 및 해당 무역 관련 업계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법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에서 전부(Wholly) 혹은 일부(In part) 채굴, 생산 및 제조된 제품·상품·물품은 모두 강제 노동(Forced labor)에 의해 생산되었다고 추정해 해당 제품의 미국 반입을 전면적으로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에 따라 집행 관할 정부 기관인 미국 세관, 즉 미국 관세국경보호청(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이하 CBP)은 다가오는 6월 21일부터 수입 제품이 들어오는 미국 내 모든 항구(Port)에서 이 법을 적용하게 된다.

 

본 규제는 ‘반박 가능한 추정(Rebuttable presumption)’으로, 관련 수입자(Importers)는 해당 제품이 강제 노동으로 생산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는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증거(Clear and convincing evidence)’를 제시함으로써 이 추정을 반박할 수 있으며 CBP에 예외(Exception)를 요청·신청할 수 있다. 관련 수입자들은 또한 관련 제품의 통관 시 CBP의 요구사항에 즉각적으로 대응해야 하며, 그에 앞서 수입하는 제품과 연관된 공급망(Supply chain)의 강제 노동 관련 여부에 관한 철저한 평가 및 실사(Due diligence)의 실행 역시 요구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미얀마 외화 강제 환전 조치의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403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싱가포르 국제 커피 및 차 전시회(ICT Asia 2022) 방문기 1도토리 조정희
40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영국 국제 시설관리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국 플라스틱 사출 성형 디자인 엑스포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터키 치과기자재 전시회 IDEX 2022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2021년 통계로 보는 한국의 북마케도니아 수출 특징 1도토리 조현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방글라데시, 환율 및 물가 상승으로 주요 경제지표 악화 우려 1도토리 조현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 전국 단위의 조업 재개 움직임 1도토리 조현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마트시티 아시아 2022 참관기 1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美, 중국 신장위구르산 제품 수입 전면 금지 예정 1도토리 조현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협상 출범에 따른 현지 반응 및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집트 COP27 개최 준비에 박차, 환경 프로젝트 각광 1도토리 조현상
401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InterFood Caspian Agro 전시회 현장 인터뷰 1도토리 조현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아연도금철선에 대한 반덤핑 관세 조사 기간 연장 1도토리 조현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말레이시아 글로벌 공급망(GVC) 산업 동향 1도토리 조현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터클린 암스테르담(INTERCLEAN AMSTERDAM)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이지훈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네덜란드 수소 전시 참관기 1도토리 이지훈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아프리카 외국인 직접투자(FDI) 동향 1도토리 이지훈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전 참관기 1도토리 이지훈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에너지분야_슬로바키아 에너지 시장 및 가격 전망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