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협상 출범에 따른 현지 반응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37
용량 950.7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협상 출범에 따른 현지 반응 및 시사점.pdf 950.7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4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미국, 우리나라 포함 14개국 IPEF 체제 출범에 합의

역내 ‘연결되고’ ‘복원력 있는’ ‘청정’하고 ‘공정한' 경제 협력 추구

참여 인센티브, 구속력, 경제 효과 등에서 일부 한계 평가

 

지난 5월 23일 일본을 방문 중이던 바이든 대통령은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협상 개시를 공식 발표했다. 미국, 우리나라를 포함한 총 14개국이 참가하게 될 경제무역 협의체인 IPEF 세부 내용 및 추진 전망과 관련해 현지 전문가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IPEF 체제 출범 경과

 

5월 23일 일본 기시다 총리와 인도 모디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은 IPEF 체제 출범을 공식 선언했다. 여기에는 미국, 한국, 호주, 브루나이,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피지(5.26. 별도 참여 발표) 이상 14개국이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

 

IPEF 출범 관련 백악관 성명에서 회원국 간 경제협력과 공동 번영을 위한 4대 의제가 제안됐다. ⒧ 연결된 경제(Connected Economy), ⑵ 복원력 있는 경제(Resilient Economy), ⑶ 청정 경제(Clean Economy), ⑷ 공정 경제(Fair Economy)가 IPEF의 4개 핵심축(Pillar)이 된다. IPEF 역내 경제는 글로벌 GDP의 약 40%를 차지한다. 회원국 전체 대미 직접투자는 연간 9000억 달러에 달하고, 이를 통한 창출된 미국 내 일자리는 약 300만 개에 달하는 바, 백악관은 인태 지역의 경제적 가치와 성장 잠재력에 주목했다.

 

작년 10월 동아시아 정상회의(East Asia Summit)에 참석한 바이든 대통령은 인태 지역 내 지속 가능한 경협을 위한 IPEF 구상을 최초 공개한 바 있다. 당시 △무역 촉진 △디지털 경제․기술 표준정립 △공급망 협력 △탈탄소화 및 청정에너지 △인프라 △노동기준 및 기타 공통 관심사가 주요 의제로 제안됐다.

 

IPEF 추진을 맡게된 미국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은 협상을 위한 사전 작업 및 외국과 의제 조율에 즉각 착수했다. 작년 11월 국무장관, 상무장관, USTR 대표는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순방에서 IPEF 추진을 위한 예비 협의를 진행했다. 그리고 상무부와 USTR은 각각 4월 11일까지 업계·학계 등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서둘러 마무리했다.

 

5월 12~13일간 미국이 주최한 특별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이 회의에 참석한 동남아시아 정상 간 IPEF가 비중있게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서 바이든 정부는 동남아시아 지역과 에너지 인프라, 불법조업 대응, 디지털 경제 협력 등에 1억5000만 달러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현지 전문가들은 이런 미국의 투자 계획을 IPEF 착수를 위한 사전 포석으로 해석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59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지주회사_주목해야 할 투자가치 7도토리 노민우
40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2H22 반도체 산업 전망 3도토리 노민우
405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High Yield 채권이 되어버린 은행주 3도토리 노민우
405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은행/증권/보험분야_2022 하반기 전망 7도토리 노민우
40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펀더멘털, 안녕합니다 1도토리 노민우
405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통신/지주 투자지표 1도토리 노민우
405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보험분야_2분기도 어닝서프라이즈 1도토리 노민우
40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통분야_2022년 4월 유통업체 매출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051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2분기 NIM 상승세 지속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5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터넷/게임분야_1Q22 실적발표 이후 실적 전망치 변경률 VS 주가 변화율 1도토리 황세영
4049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리츠분야_REITs & Cash 7도토리 황세영
404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담배분야_어려운 환경에서 어렵지 않은 답 찾기 7도토리 황세영
40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4월 은행 금리: 2분기 NIM도 높은 한 자릿수 확대 가능 1도토리 황세영
40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경제분야_4월 가중평균금리 동향 1도토리 황세영
40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증권분야_지표와 업황 모두 바닥권, 긍정적 신호에 탄력적으로 반응할 주가 1도토리 황세영
4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전기차분야_전기차관련 산업동향 1도토리 황세영
4043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유통분야_2022상반기 기업분석 1도토리 황세영
404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증권/보험분야_Rebalancing 1도토리 황세영
404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자동차분야_Safe Haven 1도토리 황세영
404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화장품/의류분야_BACK TO BASIC 1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