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이집트 COP27 개최 준비에 박차, 환경 프로젝트 각광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34
용량 1.77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이집트 COP27 개최 준비에 박차, 환경 프로젝트 각광.pdf 1.7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4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대규모 국제행사 개최로 관광산업 등 유관산업 활성화 목표

환경기자재 관련 정부 프로젝트 발표 정부 지속 모니터링 필요

 

2022년 이집트에서 개최되는 가장 큰 행사는 당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UNFCCC COP27, 이하 COP27)라 할 수 있다. COP27은 1994년에 발효된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 협약(UNFCCC)에 서명한 국가들 간 연례 국제행사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각국의 어젠다와 액션플랜 등을 논의하는 회의이다. COP27은 UNFCCC 이후 1995년부터 매년 개최돼 왔으며 2022년 11월에 이집트 휴양도시 샤름엘셰이크에서 27회차 회의가 개최될 예정이다.

 

한편, 2018년 8월 7일에 이집트를 포함한 197개국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 참석해 환경조약에 서명했으며 기후에 악영향을 주는 인위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조절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집트 정부의 COP27 개최 노력

 

이집트 정부는 COP27을 통해 국제사회에 자국의 위상을 높여 뒷따르는 기타 경제적 혜택을 최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집트 환경부와 외교부가 공동으로 성공적 COP27 개최를 위한 계획 구상에 착수했으며 2021년 9월 29일까지 전문 컨설팅 업체 입찰도 진행한 바 있다. 이후 이집트 환경부는 COP27 개최를 위한 4대 목표를 발표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목표는 이집트 관광부와 협업해 샤름엘셰이크의 관광기반시설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골자로 하며 최근 샤름엘셰이크에 국제회의장 보수를 마친 바 있다. 두 번째 목표는 COP27 회의 전까지 샤름엘셰이크와 근처 또 다른 휴양지인 후루가다의 차량을 천연가스나 전기기반 차량으로 변환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세 번째 목표는 전력량 향상, 네 번째 목표는 폐기물 관리를 주내용으로 담고 있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발표

 

이집트 환경부는 최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발표하며 COP27 준비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외에도 이집트 정부는 COP27 개최를 위해 약 1억6000만 달러의 정부 예산을 할당했으며,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등 국제사회의 이집트의 COP27 개최를 위한 금융지원이 예상된다.

 

이집트 정부는 2011년에 처음으로 기후변화 적응과 재난위험 감소전략(National Strategy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Disaster Risk Reduction)을 발표한 이후 2018년에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을 발표한 바 있다. LEDS는 이집트 정부가 발표한 국가발전계획 2030(SDS 2030)과 연계해 이집트 정부의 탄소 배출 감소 노력 등을 담고 있었으나 국가기후변화위원회(NCCC)가 해당 전략을 2050년까지 보완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이에 이집트 환경부를 주축으로 이집트 기후변화전략 2050(NCCS)을 발표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59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지주회사_주목해야 할 투자가치 7도토리 노민우
40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2H22 반도체 산업 전망 3도토리 노민우
405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High Yield 채권이 되어버린 은행주 3도토리 노민우
405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은행/증권/보험분야_2022 하반기 전망 7도토리 노민우
40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분야_펀더멘털, 안녕합니다 1도토리 노민우
405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통신/지주 투자지표 1도토리 노민우
405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보험분야_2분기도 어닝서프라이즈 1도토리 노민우
40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유통분야_2022년 4월 유통업체 매출 동향 1도토리 노민우
4051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2분기 NIM 상승세 지속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5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터넷/게임분야_1Q22 실적발표 이후 실적 전망치 변경률 VS 주가 변화율 1도토리 황세영
4049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리츠분야_REITs & Cash 7도토리 황세영
404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담배분야_어려운 환경에서 어렵지 않은 답 찾기 7도토리 황세영
40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4월 은행 금리: 2분기 NIM도 높은 한 자릿수 확대 가능 1도토리 황세영
40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경제분야_4월 가중평균금리 동향 1도토리 황세영
40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증권분야_지표와 업황 모두 바닥권, 긍정적 신호에 탄력적으로 반응할 주가 1도토리 황세영
4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전기차분야_전기차관련 산업동향 1도토리 황세영
4043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유통분야_2022상반기 기업분석 1도토리 황세영
404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은행/증권/보험분야_Rebalancing 1도토리 황세영
404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자동차분야_Safe Haven 1도토리 황세영
404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화장품/의류분야_BACK TO BASIC 1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