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2022년 인터클린 암스테르담(INTERCLEAN AMSTERDAM) 전시회 참관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37
용량 2.4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2022년 인터클린 암스테르담(INTERCLEAN AMSTERDAM) 전시회 참관기.pdf 2.4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4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1967년 개최 이래 55년의 역사를 가진 전시회

대형 청소 및 위생용품 전시회로 기술집약 첨단제품 및 트렌드 소개

 

 

전시회 소개

 

인터클린(Interclean)은 청소 및 위생 부문을 위한 최고 규모의 국제 전시회로 글로벌 제조업체, 유통기업, 계약 관련 대표자 및 의사 결정자를 포함한 다양한 참석자를 유치하는 행사로 1967년 처음 개최되었으며, 2022년 올해 28번째를 맞이했다. 이번 전시회는 코로나의 여파로 2020년과 2021년 두 차례 취소된 이후 4년 만에 처음 개최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었다. 중국 업체들은 코로나 출입국 제한으로 인해 대부분 참석하지 못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으로 양국 참가 업체도 참석이 어려워 2018년도 대비 총 참가업체 수 감소에도 영향을 끼쳤다.

 

전시회 구성

 

인터클린 암스테르담 전시회는 고압 제품(High Pressure), 스팀 청소(Steam Cleaning), 관리 및 이동성 솔루션(Management & Mobility Solutions), 보건의료 청소업종(Healthcare Cleaning), 창문 청소(Window Cleaning), 화장실 위생(Washroom), 청소 기기(Machines), 청소 장비(Equipment), 세제 및 소독제품(Detergents & Disinfection) 등 총 9개 분야로 구성했으며, 홀 구역은 중앙의 인터클린 스테이지를 기점으로 크게 좌측(Hall 10-Hall 12)과 우측(Hall 1-Hall 7)으로 나뉘어 배치했다. 특히 이번 2022년 전시회에는 로봇 아레나(Robot Arena), 아웃도어 데모쇼(Outdoor Demo Show), 이노베이션 랩(Innovation Lab), 제로 웨이스트 돔(Zero Waste Dome) 등의 특별구역이 신설되어 다양한 흥미 요인을 통해 많은 참석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2022 산업 트렌드를 엿본 암스테르담 혁신상 2022(Amsterdam Innovation Award 2022)

 

지난 2018년 암스테르담 혁신상(Amsterdam Innovation Award 2018)의 카테고리는 기계 및 부품, 장비 및 도구, E-cleaning 및 관리 및 기술이었으며 올해에는 혁신적 제품과 솔루션이 업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새롭게 분류하였는데 이는 지속가능성 및 환경(Sustainability & Environment), 스마트기술 및 디지털화(Smart Technologies & Digitalisation), 인력 및 인체공학(Workforce & Ergonomics), 위생 및 건강(Hygiene & Health) 총 4가지로 구성되었다.

 

2022년 암스테르담 혁신상 종합 부문에서는 Tork 친환경 청소용 천(Tork Biobased Heavy-Duty Cleaning Cloth)를 개발한 Essity기업이 수상했다. 특히, 제품 개발에서 더 나아가 환경을 생각하는 기업의 핵심 가치(탄소 배출량, 물소비량, 에너지 소비 감소, 발생 폐기물 최소화) 및 친환경 소재 천 제조 기술의 사업 범위 확장성이 심사과정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3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미얀마 외화 강제 환전 조치의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403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싱가포르 국제 커피 및 차 전시회(ICT Asia 2022) 방문기 1도토리 조정희
40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영국 국제 시설관리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미국 플라스틱 사출 성형 디자인 엑스포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터키 치과기자재 전시회 IDEX 2022 참관기 1도토리 조정희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2021년 통계로 보는 한국의 북마케도니아 수출 특징 1도토리 조현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방글라데시, 환율 및 물가 상승으로 주요 경제지표 악화 우려 1도토리 조현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중국, 전국 단위의 조업 재개 움직임 1도토리 조현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마트시티 아시아 2022 참관기 1도토리 조현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美, 중국 신장위구르산 제품 수입 전면 금지 예정 1도토리 조현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협상 출범에 따른 현지 반응 및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이집트 COP27 개최 준비에 박차, 환경 프로젝트 각광 1도토리 조현상
401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InterFood Caspian Agro 전시회 현장 인터뷰 1도토리 조현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아연도금철선에 대한 반덤핑 관세 조사 기간 연장 1도토리 조현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말레이시아 글로벌 공급망(GVC) 산업 동향 1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터클린 암스테르담(INTERCLEAN AMSTERDAM)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이지훈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네덜란드 수소 전시 참관기 1도토리 이지훈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아프리카 외국인 직접투자(FDI) 동향 1도토리 이지훈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전 참관기 1도토리 이지훈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에너지분야_슬로바키아 에너지 시장 및 가격 전망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