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경제동향] 10년의 러시아 경제실적, 그리고 2022년 하반기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40
용량 44.0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경제동향] 10년의 러시아 경제실적, 그리고 2022년 하반기 전망.pdf 44.0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3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러시아 경기부양책으로 약 8조 루블 투입 예정

유럽의 6차 제재로 러시아 연간 에너지 연료 수출이 1/3 감소 전망

 

지난 10년간의 러시아 경제 실적

 

2021년 러시아 명목 GDP는 1조7759억 달러로 전년대비 4.7%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경제성장률로는 지난 10년 동안 최고점을 기록했으나, 명목GDP 규모로는 2012년에 최고점(2조2067억 달러)을 기록했다. 러시아는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로 2015년부터 역성장(-2.8%)이 시작됐고, 2017년부터 소폭 회복되기 시작했다. 2020년 코로나19가 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2021년 동안 코로나19 발발 이전 수준 이상으로 경제 회복세를 보였다. 

 

러시아의 2021년 1인당 명목 GDP는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 발발 이후인 지난 7년 중  최고 수준(1만2205달러)을 기록했다. 한편, 2012년 1인당 GDP는 1만4068달러로 지난 10년 기준 최고 수준이었고, 우크라이나 사태가 발발했던 2014년은 그보다 소폭 낮은 1만2972달러를 기록했다. 물가상승률은 2016년이 최고점을 기록하면서 연간 인플레이션이 12.9%였다. 실업률은 코로나19가 발발한 2020년에 최고치를 기록(5.9%) 했다.

 

러시아의 총수출 규모도 2012년에 최대 규모(5280억 달러)를 기록했고 총수입도 같은 해 최고 규모(3,357억 달러)를 기록했다. 대한 수출은 2019년에 176억 달러로 지난 10년동안 최대 규모였고, 수입(한국의 대러 수출)은 2012년에 110억9000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러시아 전체 무역수지 규모로 보면, 2012년 1923억 달러로 최고점을 기록했고 경상수지로는 2021년 1203억 달러를 기록하여 최고점을 찍었다. 

 

2021년 러시아 경제 회복 배경

 

2014년 우크라이나 관련 대러 서방 제재가 시작되면서 러시아는 2016년까지 경기침체를 경험했다. 그리고 2017년부터 회복세에 진입했다가 2020년 세계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다시 마이너스 성장을 피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2021년 ‘봉쇄(록다운) 없는 방역규제’와 백신 개발, 디지털 경제 등의 고부가가치 창출 산업 발전 등으로 2014년 이전의 경제 성장 모멘텀을 회복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97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이스라엘의 2022년 상반기 경제 동향 분석 및 하반기 경제 전망 1도토리 강정훈
397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터키에만 있는 생소한 자원활용지원기금(KKDF) 1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10년의 러시아 경제실적, 그리고 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강정훈
396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루블화 강세, 기회인가 위기인가 1도토리 강정훈
396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방글라데시, 환율 및 물가 상승으로 주요 경제지표 악화 우려 1도토리 강정훈
3966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중국 치아 교정기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6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모로코 자동차 시장 구매심리 회복 1도토리 강정훈
396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미국 소매업계에서 부상하고 있는 리커머스(Re-commerce) 1도토리 강정훈
3963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베트남 과일시장 규모 및 한국 과일 수입 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6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손소독제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6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말레이시아 로봇 청소기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6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중국 정부 자동차 소비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강정훈
395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中 홈코노미, 2년 전과 다르다! 1도토리 강정훈
3958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베트남 과자(스낵)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5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독일 소비자들의 태도 및 현황 1도토리 강정훈
395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사우디 CEP시장(택배, 특급, 소포) 트렌드 1도토리 강정훈
395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통신분야_요르단, 5G 도입에 나서다 1도토리 강정훈
395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카자흐스탄 굴삭기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53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에콰도르, 천연 원료 활용 에너지 드링크 인기 1도토리 강정훈
395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중국, 이색 아이스크림 열풍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