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통신분야_요르단, 5G 도입에 나서다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35
용량 20.3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통신분야_요르단, 5G 도입에 나서다.pdf 20.3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03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요르단 정부, 5G 네트워크 라이선스 보급을 위한 주파수 선정 중

각 통신사 라이선스 입찰 후 본격적인 5G 네트워크 장비 구입 나설 듯

 

요르단은 2020년 이후 5G 시대의 개막을 준비하고 있다. 요르단 디지털경제창업부 주도로 국가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5개년(2021~2025) 계획이 발표되면서 5G 인프라 도입에도 속도가 나고 있다. 아래에서는 현재 요르단에서 5G 도입과 관련한 움직임을 살펴본다. 

 

요르단 5G 분야 현황 및 정부 정책

 

요르단의 통신분야 사업은 요르단 최대 통신사업자인 Orange Jordan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 2010년 1월 Orange Jordan(요르단 최대 통신사업자)은 요르단에서 최초의 3G 네트워크를 시작했다. 이후 2010년 9월까지 3G 네트워크 사용자는 당시 요르단 인구의 30% 수준인 200만 명에 도달했다. 이어 2014년에 Orange Jordan은 요르단 최초로 4G 네트워크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2년 뒤인 2016년에는 Nokia의 GPON(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 기술을 활용하여 FTTH(Fiber to the home) 방식의 5G망 구축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Orange Jordan에 이어 Zain, Umniah 등 요르단 대표 통신사들 역시 5G 구축을 위한 FTTH 사업에 참여했다. 

 

5G 네트워크 확장은 2021년 7월 요르단 디지털경제창업부에서 발표한 "국가 디지털 혁신 전략 및 구현 계획(2021~2025)" 보고서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동 보고서는 2019년부터 중동 걸프국을 중심으로 5G 기술이 확산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요르단도 주변국처럼 5G 네트워크 구축 및 네트워크 인프라 확장을 위해 스마트 솔루션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디지털경제창업부는 국가 디지털 혁신을 위한 성과지표로 "연결성 향상" 지표를 설정하고, 2025년까지 광케이블 가설 및 5G 네트워크 보급률 목표를 선정했다. 아래 표는 연도별 목표를 보여준다. 

 

현재 요르단 정부는 1,361개 정부기관을 국가 차원의 FTTH 광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국가 광대역 네트워크 사업을 활발히 진행중이다. 요르단 통신사들의 경쟁적인 사업 확장에 따라 요르단의 통신망은 계속 촘촘해지고 있는데, 2018년 기준 요르단의 인터넷망 보급률은 88.8%로, 같은 해 미국의 88.5% 인터넷 보급률보다 높은 수치에 도달했다. 또한 디지털 혁신 전략 보고서(2021-2025)에 따르면 정부부문의 광케이블 보급률이 2022년 기준 전체 45%로 가장 높으며 나머지 민간 사업장 및 가정에서 사용되는 광케이블은 22~25%로 보급이 미비한 수준이다. 

 

2022년 3월에 KOTRA 암만 무역관이 요르단 디지털경제창업부의 국가정보시스템과 총괄과장인 Nisreen Al-Sayyed 박사와 진행한 인터뷰에 따르면, 요르단의 5G 기술은 아직 설계 단계에 있다. 현재 정부에서 수행되는 연구는 기술적 측면과 상업적 측면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는데,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5G 네트워크에 가장 적합한 주파수, 5G 인프라 기술 및 파일럿 프로젝트를 구현하기 위해 최적의 위치를 테스트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즉, 요르단 정부는 5G용 주파수 대역폭 확정을 위해 5G 서비스에 할당된 타국의 주파수 대역폭 연구, 특정 주파수 대역폭을 통한 5G 서비스 실험 등을 진행 중이다. 또한 요르단 정부는 5G 서비스 보급에 따른 기존 주파수 대역의 재분배 방향도 함께 연구 중이며, 주파수 사용 절차를 포함한 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있다. 2019년 9월에 요르단 통신규제위원회는 정부부문 관계자들이 5G 관련 최신 정보를 습득하도록 Huawei, Ericson 등과 협력하여 5G 규제 및 서비스에 관한 워크샵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97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이스라엘의 2022년 상반기 경제 동향 분석 및 하반기 경제 전망 1도토리 강정훈
397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터키에만 있는 생소한 자원활용지원기금(KKDF) 1도토리 강정훈
396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10년의 러시아 경제실적, 그리고 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강정훈
396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루블화 강세, 기회인가 위기인가 1도토리 강정훈
396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경제동향] 방글라데시, 환율 및 물가 상승으로 주요 경제지표 악화 우려 1도토리 강정훈
3966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중국 치아 교정기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6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모로코 자동차 시장 구매심리 회복 1도토리 강정훈
396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미국 소매업계에서 부상하고 있는 리커머스(Re-commerce) 1도토리 강정훈
3963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베트남 과일시장 규모 및 한국 과일 수입 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6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손소독제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6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말레이시아 로봇 청소기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6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중국 정부 자동차 소비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강정훈
395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中 홈코노미, 2년 전과 다르다! 1도토리 강정훈
3958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베트남 과자(스낵)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5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독일 소비자들의 태도 및 현황 1도토리 강정훈
395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사우디 CEP시장(택배, 특급, 소포) 트렌드 1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통신분야_요르단, 5G 도입에 나서다 1도토리 강정훈
395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카자흐스탄 굴삭기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53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에콰도르, 천연 원료 활용 에너지 드링크 인기 1도토리 강정훈
395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중국, 이색 아이스크림 열풍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