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오민아 조회수 47
용량 48.2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공기청정기 시장동향.pdf 48.2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03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공기청정기 수입액 꾸준한 증가세 유지

성능 위주 고가 제품과 실속 위주 저가 제품의 양극화 현상 뚜렷

 

시장규모 및 동향

 

코로나19 발생 이후 실내 공간의 공기품질 관리 및 바이러스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공기청정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1년 대만 공기청정기 시장의 총 매출액은 약 47억 5천만 대만달러로 전년대비 23.7% 증가하였다. 판매량 또한 전년대비 16.2% 증가한 약 44만 대를 기록했다. 2022년에는 총 판매량이 50만 대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5년간 대만의 공기청정기 시장은 성장세를 계속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공기오염 문제는 대만 내 공기청정기 수요를 증가시키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다. 대만의 공기오염 상황은 지역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수도권인 북부는 전체 인구의 약 40%에 달하는 인구가 밀집해 있으며 지형상 분지이므로 교통 및 생활로 발생된 공기오염물질이 빠져나가기 어렵다. 타이중시에는 대만에서 가장 큰 규모의 화력 발전소가 위치해 있어 공기오염 문제가 자주 대두된다. 남부 가오슝시는 대만 철강업 80% 이상이 밀집해 있어 미세먼지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 겨울 동북 계절풍이 불면 바람 하강면에 속하는 남부의 미세먼지 농도는 더욱 심해진다. 대만 환경보호서가 발표한 2021년 지역별 공기품질지수(AQI)* 통계에 따르면 공기품질지수가 100(민감한 집단에게 유해)을 초과하는 날짜 수의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지역은 가오슝시(남부)였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이란현(동부)이었다. 대기오염의 정도는 지역별 공기청정기 판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 생활용품 유통업체인 TESTRITE(特力)는 2020년 1월 기준 가오슝의 공기청정기 판매량은 타이중에 비해 30% 높았으며 대기오염이 심각한 지역에서 공기청정기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전하였다.

 

대만에서는 계절변화로 인해 알러지가 심해지고 독감이 유행하는 가을∙겨울철부터 공기청정기 수요가 많아진다. 매년 9월 이후부터 이듬해 4월까지는 강수량 감소 및 중국발 미세먼지로 인하여 공기품질이 나빠지므로 이 시기 공기청정기 수요는 여름철에 비해 높다. 구글 트렌드 빅데이터에 따르면 대만 내 ‘공기청정기’ 관심도는 여름보다 9월~4월에 급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2021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시기와 무관하게 공기청정기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만 내 공기오염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공포가 확산되면서 소비자들의 공기청정기 구매 니즈가 다변화되고 있다. 대만 전자제품 유통업체 E-Life Mall(全國電子)은 고성능의 고가 공기청정기를 찾는 소비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공기청정기 구매 시 가성비보다 기능 및 품질을 중요시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전자제품 유통업체 Tsannkuen(燦坤)은 공기청정기 기능 중 미세먼지 필터링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 제거 기능 또한 중요한 구매요인이 되고 있다고 전하였다. 대만업체는 고객 니즈 다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중저가 제품 위주에서 나아가 고성능 공기청정기 제품 개발을 적극적으로 진행중이다. 대만 가전제조업체 HERAN은 살균 기능 포함 4단계 필터 시스템 및 스마트 컨트롤 기능을 갖춘 공기청정기를 선보였다. 대만 공기청정기 브랜드 BRISE의 제조업체 AETHER SERVICES는 고성능 공기청정기에 AI기능을 더해 공기품질 모니터링 후 개인 알러지 위험도 등 건강상태를 분석 제공하고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1도토리 오민아
395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일본의 자동차 애프터마켓 시장 최신 동향 1도토리 오민아
394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기술동향] 눈을 활용한 홋카이도의 '화이트' 데이터센터 1도토리 오민아
394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분야_日 기업, 전기차 배터리 주도권 전쟁에 참전 1도토리 오민아
394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日 플라스틱 관련 신규 법 제정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재료 사라진다 1도토리 오민아
394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일본 폴리카보네이트 시장동향 1도토리 오민아
394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사례로 보는 日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 현황 1도토리 오민아
394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낮에 커피, 밤에 멜라토닌…中 젊은 세대의 수면경제 1도토리 오민아
394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싱가포르의 디지털 결제 시장 현황 및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4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베트남 의료용 마스크 시장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4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남아공 식품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는 가공 1도토리 이지훈
394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깨끗한 집안을 위한 남아공 청소기 트렌드 1도토리 이지훈
39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남아공 식기세척기 트렌드 1도토리 이지훈
393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이탈리아 친환경 포장재 트렌드 1도토리 이지훈
393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위기의 브라질 조선업 및 기회요인 1도토리 이지훈
393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탄자니아 비료시장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3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모잠비크 농기계 시장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3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수단 건설 장비 산업 시장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9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시스템반도체분야_중국 MCU 시장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미국 내 두 번째 규모 희토류 매장량 발견, 미국 희토류 산업 동향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