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산업동향] 위기의 브라질 조선업 및 기회요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46
용량 37.5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산업동향] 위기의 브라질 조선업 및 기회요인.pdf 37.5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07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브라질 조선산업 개요 

 

브라질 조선산업은 식민지 시대 때 포르투갈인들이 상선이나 군함을 건조하면서 시작했다. 브라질은 해안가에 나무가 많이 자라고 유럽에서 아시아, 인도 등으로 가는 경로에 위치해 조선업을 육성하기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포르투갈 해군이나 무역회사들은 브라질 조선소에서 신규 선박을 발주하거나 정박해 배를 수리했다. 19세기까지 브라질에서 가장 큰 조선소는 1549년에 건설된 바이아주 살바도르 무기고 겸 해군기지(Arsenal da Marinha da Bahia)였는데 이 조선소는 포르투갈 리스본의 히베이라 조선소(Fábricas da Ribeira)가 규정한 표준으로 배를 건조했다. 1600년대 이후 리우데자네이루에도 많은 조선소가 건설됐고 1763년 이곳으로 수도를 이전하면서 해군 및 조선의 허브로 거듭났다.

 

포르투갈로부터의 독립 이후 브라질은 1846년 니테로이에 첫 조선소를 건설했는데 민간자본이 투자해 프로젝트 파이낸스 방식으로 배를 건조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 조선소는 브라질-파라과이 전쟁에 투입된 군함의 1/3 이상을 생산했다. 1956년 취임한 쥬셀리누 쿠비체크(Juscelino Kubistchek) 대통령 집권시기부터 브라질은 현대식 조선소를 건설했다. 쥬셀리누 대통령은 브라질 산업화의 주역으로 조선, 자동차, 철도, 석유화학, 철강 등의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시작했다. 그는 1958년 'Lei 3.381 법률'을 제정해 '상업용 선박 펀드(FMM)'를 만들었고 브라질에서 선박을 제조하는 회사들에 저리로 대출을 해주었다. 브라질 정부는 선박관리기구(SUNAMAM)도 설립해 회사들이 배를 건조할 때 따라야 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정책적으로 지원했다. 코스타 시우바(Costa Silva) 대통령도 1967년 대통령에 취임해 '긴급 조선산업 육성계획(Plano de Emergência de Construção Naval)', '조선업 육성 프로그램(Programas de Construção Naval)' 등을 마련했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브라질은 1970~80년대 세계에서 두번째로 많은 배를 건조하는 국가로 성장했다.  

 

1980년대 이후 브라질 경제가 침체기에 빠지자 정부는 '영속적인 조선업 육성 계획(Plano Permanente de Construção Naval)'을 제시하고 경제사회개발은행(BNDES) 조선금융을 담당하게 하면서 산업을 되살리고자 한다. 하지만 1990년대 초 콜러 정부가 자유주의 정책을 펼치면서 국영기업들이 몰락하고 외국자본까지 모든 산업영역으로 파고들면서 브라질 조선업은 수렁에 빠지게 됐다. 1990년대 후반 해상유전(Pré-Sal)이 발견되고 '신규 석유법(Lei 9.478/97)'이 통과돼 페트로브라스 외 민간기업들도 브라질에서 석유개발/정유사업을 할 수 있게됐다. 이에 해양플랜트 발주량이 늘어나 브라질 조선/해양 산업이 극적으로 성장했다. 페트로브라스는 2000년대 초부터 부유식 생산 저장 하역 설비(FPSO) 등 많은 해양플랜트를 발주하면서 '현지 생산규정(Conteúdo Local)' 정책을 추진했다. 조선회사들은 브라질에서 일정 비율의 공정을 거치거나 현지부품 사용 의무를 지켜야 페트로브라스 해양플랜트 입찰을 통과할 수 있었다. 페트로브라스의 물류 자회사인 트란스페트로(Transpetro)도 브라질 조선소들에 많은 유조선을 발주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95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1도토리 오민아
395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일본의 자동차 애프터마켓 시장 최신 동향 1도토리 오민아
394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기술동향] 눈을 활용한 홋카이도의 '화이트' 데이터센터 1도토리 오민아
394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분야_日 기업, 전기차 배터리 주도권 전쟁에 참전 1도토리 오민아
394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정책동향] 日 플라스틱 관련 신규 법 제정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재료 사라진다 1도토리 오민아
394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일본 폴리카보네이트 시장동향 1도토리 오민아
394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사례로 보는 日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 현황 1도토리 오민아
394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낮에 커피, 밤에 멜라토닌…中 젊은 세대의 수면경제 1도토리 오민아
394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싱가포르의 디지털 결제 시장 현황 및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4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베트남 의료용 마스크 시장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4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남아공 식품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는 가공 1도토리 이지훈
394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깨끗한 집안을 위한 남아공 청소기 트렌드 1도토리 이지훈
39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남아공 식기세척기 트렌드 1도토리 이지훈
393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이탈리아 친환경 포장재 트렌드 1도토리 이지훈
»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위기의 브라질 조선업 및 기회요인 1도토리 이지훈
393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탄자니아 비료시장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3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모잠비크 농기계 시장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3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수단 건설 장비 산업 시장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9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시장동향] 시스템반도체분야_중국 MCU 시장 동향 1도토리 이지훈
393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산업동향] 미국 내 두 번째 규모 희토류 매장량 발견, 미국 희토류 산업 동향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