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 인도네시아 라면 시장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40
용량 39.2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동향] 인도네시아 라면 시장동향.pdf 39.2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0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시장동향  규모

세계 인스턴트 라면협회 WINA(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에서 2번째로 라면을 많이 소비하는 국가로 연간 1327억개의 인스턴트 라면이 시장에서 판매된다. 이중 가장 인기있는 형태의 라면은 Mie Goreng으로 국물이 없고 다양한 재료와 함께 볶은 국수 형태로 판매되는 제품군이 인기가 많다. 인구 중 2억2,960만명이 무슬림인 만큼 대부분 현지에서 판매되는 라면제품은 할랄 인증을 받았으며 돼지고기 보다는 닭, 해산물 위주로 만들어진 라면제품을 선호한다.

 

<세계 인스턴트 라면 판매량 순위>

(단위: 백만개)

[자료: 세계 인스턴트 라면협회 WINA]

 

인도네시아에서 판매되는 라면은 개당 가격이 0.25~1달러 사이로 다른 음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기에 주식으로 섭취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또한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간편식 식사류 선호도 상승, SNS 등을 통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해외라면에 대한 인기와 소비 확대 등에 힘을 입어 인도네시아 라면 시장은 최근 5개년(‘16~’20년) 연 평균 5.5%의 높은 성장률 기록했다. Euromonitor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높은 출산율에 따른 잠재소비층 증가, 라면 제조사들의 공격적인 홍보마케팅 등으로 인해 인도네시아 라면시장은 2024년까지 4,08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했다.

 

수입동향  대한 수입규모

 

인도네시아의 라면 수입동향은 크게 2가지 키워드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는 ‘맵고 자극적인 맛’의 강세이다. 이러한 선호 경향은 인도네시아인들의 맵고 짠 음식을 선호하는 식문화에 기인한다. 이에 현지시장 공략을 위해 글로벌 라면 브랜드들은 자사 제품의 맵고 스파이시한 향을 강조하는 라면 라인업을 위주로 인도네시아 시장으로 수출을 진행 중에 있으며, 현지 기호에 맞춰 기존보다 매운맛을 강화한 현지화 버전의 라면을 출시하여 현지시장에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SNS를 중심으로 ‘매운음식 먹기 챌린지’가 인기를 누림에 따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매운 맛 라면에 대한 소비가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불닭볶음면, 신라면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매운 맛 라면을 다수 보유한 한국산 라면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수입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개년 평균 10.9%의 빠른 속도로 늘어 2020년에는 대한 수입규모가 2,920만 달러에 달하였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인도네시아 라면 시장동향 1도토리 안소영
391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전기차분야_2022년 말레이시아 전기차 시장 현황 1도토리 안소영
39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자동차분야_美 자동차 BIG 3, K-배터리 동맹 열풍 1도토리 강정훈
390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미국 헤어케어 제품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0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인도 베이커리 시장의 성장과 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미국 파인 주얼리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0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코로나 19 이후 필리핀 스마트팜 현황 1도토리 강정훈
390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인도의 알루미늄 생산과 가격 상승 1도토리 강정훈
39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UAE 부동산(주택)시장 최신 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카타르의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 1도토리 강정훈
390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미국 의료용 주삿바늘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390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미국 시장이 열광하는 ‘업사이클링’ 트렌드 1도토리 강정훈
389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중국 윤활유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389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사우디 드론시장 트렌드 1도토리 강정훈
389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인도네시아 김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389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동향] 중국 전기밥솥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38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건자재분야_하반기 전망, 위기or기회 3도토리 조정희
389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분야_성장전략 및 투자관점 변환 분석 7도토리 국준아
38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신냉전시대, 해상풍력 고속 성장중 3도토리 국준아
389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기계/조선/운송분야_2022 하반기 기업분석 7도토리 국준아